[완료]inet_ntoa()함수에 대해
글쓴이: jinprho / 작성시간: 토, 2007/08/25 - 9:40오후
안녕하세요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습니다.
다중 클라이언트의 주소를 알아오는 그런 코드를 구현중인데,
printf("b last %s %d\n", first->ip, first->port);
cli_addr = inet_ntoa(cliaddr.sin_addr);
printf("c last %s %d\n", first->ip, first->port);
이상하게 리스트로 다중 클라이언트의 주소와 포트를 저장하고 있었는데,
계속 처음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리스트 정보가 변했습니다.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원인을 찾다가 겨우 위의 코드에서
b last 127.0.0.1 33317
c last 127.0.0.2 33317
로 출력이 되버리네요
first라고 지정한게 처음 접속한 클라이언트 정보를 보관한 노드입니다.
두 번째 클라이언트를 127.0.0.2로 접속을 하더라도,
inet_ntoa로 얻어온 주소가 두 번째 클라이언트(127.0.0.2)가 cli_addr 변수에 들어가는 거일 뿐일텐데
왜 갑자기
c last 127.0.0.2 33317이 찍히는지를 모르겠습니다.
포트번호는 계속 처음 접속한 클라이언트 주소로 이상없는데 말입니다.
유독 주소만 바뀌네요..
inet_ntoa함수 영향인지...
이유 아시거나 도움 될 만한 정보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Forums:
각 변수 선언부가...
printf("b last %s %d\n", first->ip, first->port);
cli_addr = inet_ntoa(cliaddr.sin_addr);
printf("c last %s %d\n", first->ip, first->port);
여기 사용되는 변수의 선언이 어떻게 되는지요?
포인터 참조 문제는 아닌가요?
각 변수 선언부가...
printf("b last %s %d\n", first->ip, first->port);
cli_addr = inet_ntoa(cliaddr.sin_addr);
printf("c last %s %d\n", first->ip, first->port);
여기 사용되는 변수의 선언이 어떻게 되는지요?
포인터 참조 문제는 아닌가요?
각 변수 선언은,
typedef struct db_t
{
struct db_t *prev;
int socket_num;
int port;
char *ip;
struct db_t *next;
} db_t;
struct db_t *first, *temp, *temp2;
char *cli_addr;
struct sockaddr_in cliaddr, servaddr;
입니다.
temp,와 temp2는 리스트 구성시에 활용할 것으로 잠시 사용하는 것이구요,
먼저 first의 주소와 포트를 첫 클라이언트 접속시에 저장을 한게,
b last 127.0.0.1 33317
에 찍히는것은 확인 가능했는데, 이상하게 inet_ntoa함수를 이용하니,
막상 first는 건드린게 없는데,
c last 127.0.0.2 33317
이렇게 찍히더라구요..
포인터 참조 문제라면 어떤측면을 말씀하시는건가요~?
동일 메모리에 대해
동일 메모리에 대해 2개 이상의 포인터가 참조를 하거나
최초 메모리의 참조를 버리고 새로운 메모리로 참조 되면서 발생한 문제인 것 같아서요..
제 생각이지만
sruct db_t *first 가 처음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주소와 포트를 가지고 있고
다음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first 의 next에 의해 참조 되는 것이 아니라
first에 2번째로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주소와 포트를 지정한건 아닌지요...ㅋ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주소 리스트에 추가하는 루틴과
ci_addr 포인터에 참조되는 메모리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 같군요..
혹시 소스좀 봐주실수 있을련지요..
물론 저도 계속 해보고 있지만,
아직 초보라서 그런지 이해가 될 듯 말듯 하네요..
복잡한 소스지만 봐주실수 있을까요??
클라이언트와 소스 폴더를 나누어 놨습니다.
make
하시면
실행파일 serv와 cli가 나오는데,
아직까진 해봐도 잘 안되네요..
저도 햇갈려서 말한게 있네요..
제가 아까는 다른 부분을 지적했군요....ㅋ
우선 소스를 보면..
처음 클라언트가 접속해
위 함수가 호출되면 first의 ip 문자열 포인터에
현재 문자열로된 IP의 포인터가 저장됩니다.
그리고 두번째 클라이언트 접속시 inet_ntoa 함수는
다시 내부에서 문자열 할당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그 포인터를 돌려주게 됩니다.
inet_ntoa 함수는 즉 공간의 할당을 하고 그 주소를 돌려주며
다시 inet_ntoa 함수가 호출되면 다시 공간을 할당하고 주소를 돌려줍니다.
그러나 inet_ntoa에서 할당한 공간은 임시적이며
다시 inet_ntoa호출시에 그 공간을 재활용 할 수 있죠..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아닐수도 있고요..( 이런 포인터 문제는 예측불허로 프로그램을 자멸하게 만듭니다 )
이 소스에서는 그러한 할당이 없이 inet_ntoa에서 생성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inet_ntoa에 의해 값이 변할수 있게 됩니다.
너무 길게 설명했는데...
이 부분을
로 수정하여 메모리를 할당한 후 복사를 하면 기존 자료가 그대로 보존되죠..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어이없는 곳에서 저는 계속 딴 짓을 하고 있었네요..
아직 능숙하려면 멀었단 생각만 드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namiha님 덕분에 좋은 경험 얻게 되었습니다.
다행이네요..ㅎ 앞으
다행이네요..ㅎ
앞으로도 열심히 하세요~..화이팅!!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