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짐작의 분해능은 얼마일까?

cleansugar의 이미지

한국 사람들은 나이를 잘 따지기로 유명합니다.

그래서 싸우다 보면 나이를 물어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지구의 공전주기와 비슷한 연도로 사람 나이를 말합니다.

그런데 위키백과를 보니까 나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정말 여러가지입니다.

Quote:
Modernization Theory

This is the view that the status of the elderly has declined since industrialization and the spread of technology.

Disengagement Theory

This is the idea that separation of older people from active roles in society is normal and appropriate, and benefits both society and older individuals.

Activity Theory

A view holding that the more active people are,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satisfied with life.

Continuity Theory

The view that in aging people are inclined to maintain, as much as they can, the same habits, personalities, and styles of life that they have developed in earlier years.

Cognitive Theory

A view of aging that emphasizes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 rather than actual objective change itself, as the factor that determines behavior associated with advanced age.

Demographic Transition Theory

The idea that population aging can be explained by a decline in both birthrates and death rates following industrialization.

Exchange Theory

The idea that interaction in social groups is based on the reciprocal balancing of rewards depending on actions performed

Political Economy Theory

A societal perspective on the aging process that explains that the status and resources of the elderly, as well as how people age, are shaped by each person's place in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economic and political forces that impact their sociopolitical location.

Biological theories

Wear-and-Tear theory
The idea that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are the result of chance damage that accumulates over time.

Somatic Mutation Theory
This is the biological theory that aging results from damage to the genetic integrity of the body’s cells.

Error Accumulation Theory
This is the idea that aging results from chance events that gradually damage the genetic code.

Accumulative-Waste Theory
The biological theory of aging that points to a buildup of cells of waste products that presumably interferes with metabolism.

Autoimmune Theory
This is the idea that aging results from gradual decline in the body’s immune system.

Aging-Clock Theory
The idea that aging results from a preprogrammed sequence, as in a clock, built into the operation of the nervous or endocrine system of the body.

Cross-Linkage Theory
This is the idea that aging results from accumulation of cross-linked compounds that interfere with normal cell function.

Free-Radical Theory
The idea that free radicals (unstable and highly reactive organic molecules) create damage that gives rise to symptoms we recognize as aging.

Cellular Theory
This is the view that aging can be explained largely by changes in structure and function taking place in the cells of an organism.


http://en.wikipedia.org/wiki/Ageing

이 중에서 인지이론에 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흔히 외모로 나이대를 추정하기를

몇십대 전후반정도의 정확도로 측정하는 것이 실제 법적인 또는 생물학적인 나이와의 오차는 평균 몇년이나 될까요?

더 자세히 보자면 신체부위, 대상의 성별, 연령대, 보는 거리, 시력, 심리상태, 호감도 등의 변인도 찾을 수 있겠습니다.

시각 뿐 아니라 청각, 촉각, 후각으로 짐작하는 방법도 있을 겁니다.

사실, 사람은 시각과 청각으로 대부분의 정보를 받지만

고전에서는 시각은 착각의 세계라고 말합니다.

특히 아기나 어린 사람들은 나이를 구분하기 쉽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같이 늙어가는 처지란 말도 있듯이 차이가 적어집니다.

그래프로 보면 로그함수 모양일 것 같습니다.

아무튼 눈짐작으로 나이 맞출 때의 분해능이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사람 말고도 동식물이나 산, 호수, 늪같은 자연 환경이나

지구 밖의 행성 같은 것의 나이도 얼마나 잘 맞출 수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걸 수학적으로 표현해서 프로그래밍화한다면 어떤 공식이 좋을까요?

vulpes의 이미지

질문에 대한 답은 아닙니다만... 말씀하시는거랑 위키백과의 저 자료 약간 핀트가 어긋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인용하신 것은 나이 측정방법이 아니라 "늙는다", 혹은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 대한 여러가지 해석해야 옳은듯 합니다.

--
"It's too bad that stupidity isn't painful" - Anton LaVey

밤여우 Tech: http://foxtech.tistory.com
트롤은 말려 죽입시다 - http://kldp.org/files/trollfreeKLDP.user_.js__0.txt

cleansugar의 이미지

네, 에이징은 나이먹음, 노화, 에이징이라고 번역해야 정확합니다.

스피커를 에이징하거나 술을 숙성시킨다고 할 때도 씁니다.

참고로, 스피커 에이징은 콩글리시이고 핀트도 유럽에서 일본을 거쳐 온 콩글리시입니다.

vulpes님의 질문이 잘 이해가 안가는데 좀더 자세히 말씀해주시겠습니까?

혹시 age와 aging은 다르다는 뜻인가요?

언어가 명사+동사로 구분된다고 알고 계시다면 착각입니다..

비가 내린다, 바람이 분다, 나이가 먹는다 이런 표현은 동어 반복입니다.

내리지 않는 비, 불지 않는 바람, 먹지 않는(aging) 나이(age)는 없습니다.

원래 언어는 착각의 세계고 나이, 나이먹은, 늙음 이런 것도

무언가를 가리켜 오래된 것같다고 느끼는 걸 상징한 것입니다.

그래서 나이란 말 자체에 측정이란 뜻이 담겨있습니다.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ulpes님은 아닙니다만...
인용하신 wikipedia 페이지 상에서 제시하는 여러 theory들이
'나이 측정법'과 관련된게 아니라 '나이를 먹는다는 건 무엇일까...'에 대한 철학적인 이론들이라는 겁니다.
즉, cleansugar님께서 말씀하시고 계시는 내용과 사실상 무관하게 보여서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 제가 잘못봤네요... 제 답글은 무시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인용하신, 위키백과에서 가져오신 내용은 나이 측정하는 것과는 전혀 무관합니다. 윗분이 말씀하신대로 나이를 먹는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입니다.

위의 내용 중에서 하나라도 aging을 나이 측정이라고 했을 때 말이 되는 문장이 없습니다. 직접 찬찬히 해석해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cleansugar의 이미지

네. 일반적으로 볼 때 맞는 말씀입니다.

그렇지만 나이라는 명사 자체가 측정하는 행위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나의의 단위 중에 많이 쓰는 것은 연령(year)입니다.

숫자와 연령이란 단위를 붙이는 것을 측정이라고 합니다.

view, perspective: 시각은 광자를 안구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clock: 시간단위로 측정

view, perception, recognize: 뇌분자로 측정

idea, explain, theory: 단어공간으로 측정

위에서 생물학적인 노화이론은 year란 단위 말고 분자량같은 다른 단위로 연령을 측정하는 것이고, 교환이나 정치경제 등은 돈의 단위 등으로 측정하는 것입니다.

원래 현재의 과학은 기본적으로 측정이고 단위를 붙이는 행위입니다.

theory의 어원 자체가 그리스어로 '봄'입니다.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vulpes의 이미지

답변이 좀 늦었습니다만...

나이란 말 자체에 측정이란 뜻이 담겨있다라는것은 어느정도 공감을 합니다만 aging에 대한 모든 해석이 age라는 정형화된 단위로 표현할 수는 없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원문이 영어문서니 영어로 예를 들어 보자면...

Raining 하는 것은 무조건 다 Rain이진 않죠. 이를테면 It's raining fire and ashes 같은 말도 있습니다. 한글로 해도 눈도 내린다고 하고 서리도 내린다고 하지 않습니까? A 가 B 에 포함된다고 해서 B 에 포함된 모든 것이 A라고는 할 수 없는거죠. 마찬가지로 age와 aging이 다른 것이라기 보단 aging이 age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age라는 범주로는 생각할 수 없는 범위의 개념들도 aging에는 포함이 되어 있는 거죠.

즉, 제가 말한 핀트가 안 맞는다고 하는 부분은... 다른 분들께서도 말씀해 주셨지만 인용하신 글은 Aging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에 대한 글입니다만 cleansugar님의 원문은 그것을 단위화 (age) 할 수 있다는 전제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으론 인용된 글의 대부분의 이론들이 그런 식의 단위화와는 맞지 않다고 생각되고, 본문의 내용을 받쳐준다기 보다는 뜬금없이 떠 있다는 느낌을 준다는 것입니다. 차라리 인용을 안 하셨으면 좀 더 깨끗한 글이 되었을 거 같습니다.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 미리 말씀드립니다만 말씀하신 생각 자체를 부정하거나 할 생각은 없습니다. 오히려 상당히 흥미롭습니다고 생각합니다. 저런 식의 수학의 세계는 저랑은 상당히 먼 거리에 있어서 구체적은 고찰을 할 수가 없는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전 단지, 이런 내용의 글에 핀트가 맞지 않은 글을 인용하신 것이 안타까워서 댓글을 단 것 뿐입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It's too bad that stupidity isn't painful" - Anton LaVey

--
"It's too bad that stupidity isn't painful" - Anton LaVey

밤여우 Tech: http://foxtech.tistory.com
트롤은 말려 죽입시다 - http://kldp.org/files/trollfreeKLDP.user_.js__0.txt

cleansugar의 이미지

제가 잘 설명해드리고 관련 도서도 무료로 드릴테니까 전화랑 주소좀 보내주세요.

cleansugar@hotmail.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정태영의 이미지

off topic 이지만 전 한글 전용 세대라 그런지 '분해능' 이런 단어들이 너무나도 낱설게 느껴지네요. --;; 한참 생각했습니다. 무슨 의미인지... 예전에 어떤 문서에서 'Quantization Level' 을 '분해능' 이라고 번역해놨던 거 같은데 그 때도 똑같이 이게 무슨 뜻일지 한참 고민했던 기억이 나네요.

사실 한자 단어 같지도 않고, 일본에서 넘어온 말이 아닐까 싶은 -_-;;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cleansugar의 이미지

물리학과에서 많이 쓰던 말입니다.

___________________

http://blog.aaidee.com

재벌 2세가 재벌이 될 확률과
금메달리스트 2세가 금메달을 딸 확률이 비슷해지도록
자유오픈소스 대안화폐를 씁시다.

아이디의 아이디어 무한도전
http://blog.aaidee.com

귀태닷컴
http://www.gwitae.com

지리즈의 이미지

"양자화 수준"과 같은 외계어가 나올 뻔했네요.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