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DRM이 적용 안 된 mp3 파일 하나만 있으면 얼마든지 불법적으로 배포됩니다.
예전 소리바다가 있던 시절에도 한 노래에 대해서 두, 세개의 mp3 소스가
인터넷 전체로 퍼지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리고, DRM 적용 안되는 mp3 파일은 얼마든지 쉽게 만들어집니다.
CD로부터 만들 수도 있고 디지털 출력을 내는 플레이어도 얼마든지 있죠.
기술의 발전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CD 시장이 줄어드는 대신 벨소리 시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더군요.
패키지 게임 시장이 불법 복제로 사라지는 대신
불법 복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온라인 게임이 늘어나는 것과 비슷 한 것 같네요.
물론 총 시장도 서서히 줄어들 고 있기는 합니다.
또한 '벨소리용 시장'이 대부분이라서 벨소리용 음악 하는 뮤지션만
돈을 벌 수 있는 시장이기도 하죠.
mp3 판매나 스트리밍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기는 해서 다행이긴 합니다.
보여주신 자료와 graph에 따르자면, 음반시장은 줄어들었지만 총 시장 규모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네요.
다만, 자료와 들은 풍월로 판단하자면,
음반자체를 하나의 작품처럼 만드는 가수보다는,
한 곡 또는 몇 소절만 예쁘게 만들면 되는 가수와 엔지니어에게 유리하도록 시장이 재편된다는 느낌이네요.
개인적으로 항상 CD를 사서 듣고, 마음에 들면 mp3로 만들어 ipod에 넣어 가지고 다니기를 즐기는 제게는 점점 불리한 상황인 듯 합니다.
돈을 주고 구입을 한다면 CD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휴대하기 불편해서 결국 변환해서 듣죠..
CD로 들을 때는 집에 있을때 뿐인 것 같습니다.
CD를 구매하면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mp3나 ogg, 정말 고품질을 원할 때는 flac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합니다.
더불어 자켓 이미지 같은 것도 다운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구요.
현재는 돈을 주고 구매한 사람에게 특별한 혜택이 없다는 느낌이 종종 듭니다.
5.1 채널(?)의 현장감있는 음악을 선사한다던지 공연티켓을 할인해 준다든지 하는
뭔가가 있으면 충분히 돈을 주고 구매를 하지 않을까 상상(혹은 공상?)에 빠지곤 합니다.
DRM 적용된 유료 mp3는 CD 이상으로 상황이 안 좋습니다.
CD는 그나마 기념품이나 수집품으로의 가치나 있지만 구입한 mp3는 그것마저 없습니다.
DRM의 가장 큰 폐해가 불법으로 다운받은 mp3보다 불편하다는 것입니다.
불법으로 내려받은 mp3는 기기를 가리지도 않고 편리하게 이동식 디스크에서처럼 옮길 수 있지만
DRM이 적용된 mp3는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용 프로그램으로 옮겨야 하고
기기에 따라서는 돈 주고 사도 못 듣는 mp3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mp3를 구입하고도 따로 불법 mp3를 내려받아야 하는 상황을 겪었을지도 모릅니다.
실력 있는 뮤지션들이 세상에서 사라진 게 아니라
단지, TV에서 사라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 찾아내서 듣기가 어려워진 거겠죠.
그 뮤지션들이 밥벌이에 실패하면 결국 세상에서 사라져버릴지도 모르겠네요.
근본적인 문제는 구닥다리 모델로 계속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하는 발상에서 비롯되었다고 봅니다.
더 편리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아니라, 통제나 규제를 통해 예전의 모델을 유지해서 예전의 수익규모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안일한 발상이 제일 큰 문제인듯합니다.
물리적인 매체(CD, LP?)를 통한 음악의 전달(delivery) 시스템은 확실히 불편합니다. 클릭후에 몇초만 기다리면 기가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있는 네트워크에 물려있는 사용자들이, 옷을 차려입고 지갑에 돈이나 신용카드를 준비해서 레코드 가게에 간다는 것은 어찌보면 엄청난 자기희생(?)과도 같은 것입니다. 더욱이 그 음반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제대로 확인도 못하고 일단 돈을 주고 산 다음에 듣는 다는 것은 아주 고위험의 일일 수도 있습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쓰레기같은 음반은 들을만한 곡이 한개정도밖에 없는 경우도 많았었죠).
요즘 세상에 누가 엽서나 편지 보냅니까?
우체국이 택배쪽으로 돌아섰듯이 음반 시장도 뭔가 다른 모델을 찾아야할 것입니다.
오프라인쪽의 물리적 매체 판매에서 나오는 매출은 어차피 0쪽으로 점근할 것이 분명합니다.
언제나 그렇듯 살 사람은 사고, 사지 않을 사람은 사지 않았지만
mp3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변한 것이 있다면
언급한 두 그룹(살 사람, 안 살 사람)의 중간 쯤에 위치한 그룹이
굳이 비용(돈 또는 합법적이지 않은 방법의 획득을 위한 노력)을
지불해가면서 듣지 않았다고 한다면
지금은 간편하게 mp3로 듣고 있다는 것이 달라진 점일 겁니다.
더불어 구입하던 그룹의 구성원도 어느 정도 이탈은 했을테구요.
(박탈감 때문이겠죠?)
어쨌거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은(외국은 모르겠습니다.)
자기가 이용하거나 즐기는 것에 대해 합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음반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일맥상통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적으로는 합법적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DRM 같은 쓰레기 기술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상일 뿐이군요)
물론 다른 분들 말씀처럼 패키지 소프트웨어나 음반의 구매에 따른
메리트를 주어야 하는 것도 좋지만(그렇게 되면 즐거운 일이죠 :)
그것은 옵션이라는 것이죠.
비용을 지불하기 싫으면 안 쓰고 안 들으면 되는 겁니다.
대체품(오픈소스? 오픈라이센스 음악?)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테구요.
라디오를 녹음해서 듣는다거나
내가 구입한 앨범을 인코딩해서 mp3에 넣는다거나
달력의 그림을 뜯어서 붙여 놓는 것도 적법하지 않은
시대 착오적인 세상에서 지내는 것은 사실 피곤한 일이긴 합니다.
DRM 기술은 거의 아무 것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DRM이 적용 안 된 mp3 파일 하나만 있으면 얼마든지 불법적으로 배포됩니다.
예전 소리바다가 있던 시절에도 한 노래에 대해서 두, 세개의 mp3 소스가
인터넷 전체로 퍼지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그리고, DRM 적용 안되는 mp3 파일은 얼마든지 쉽게 만들어집니다.
CD로부터 만들 수도 있고 디지털 출력을 내는 플레이어도 얼마든지 있죠.
기술의 발전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CD 시장이 줄어드는 대신 벨소리 시장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더군요.
패키지 게임 시장이 불법 복제로 사라지는 대신
불법 복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온라인 게임이 늘어나는 것과 비슷 한 것 같네요.
물론 총 시장도 서서히 줄어들 고 있기는 합니다.
또한 '벨소리용 시장'이 대부분이라서 벨소리용 음악 하는 뮤지션만
돈을 벌 수 있는 시장이기도 하죠.
mp3 판매나 스트리밍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기는 해서 다행이긴 합니다.
첨부된 그림 파일은 제가 예전에
한국음반산업협회( http://www.miak.or.kr/ )에 있는 자료로 그려 본 그래프입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보여주신 자료와 graph에 따르자면, 음반시장은 줄어들었지만 총 시장 규모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네요.
다만, 자료와 들은 풍월로 판단하자면,
음반자체를 하나의 작품처럼 만드는 가수보다는,
한 곡 또는 몇 소절만 예쁘게 만들면 되는 가수와 엔지니어에게 유리하도록 시장이 재편된다는 느낌이네요.
개인적으로 항상 CD를 사서 듣고, 마음에 들면 mp3로 만들어 ipod에 넣어 가지고 다니기를 즐기는 제게는 점점 불리한 상황인 듯 합니다.
샘처럼 드림
굳이 문제가 된다면,
굳이 문제가 된다면, 디지털 음반, 온라인 음악 시스템들의 발전을 촉진 시키는 것이 어떨까 생각 됩니다.
근대... 그 불법 복제 음악들 때문에 수많은 음악을 들었고 제 생각과 정신을 키우는데 엄청난 도움이 되엇으니 감사 해야 하는 건지... 음...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Blog: http://blog.lecl.net:8888/lanet/
Wiki(Read-Only): http://yeosong.lecl.net:8888/wiki/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사람천사
제생각엔 mp3가 좀
제생각엔 mp3가 좀 비싸다고 생각됨.
----------------------------------------------------------------------------
C Library Development Project
----------------------------------------------------------------------------
mp3를 들으면 치매에
mp3를 들으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소문을 퍼트리면....
그것 보다는..
mp3를 들으면 생식능력이 나빠진다는 기사를 KBS, MBC등에서 몇일간 계속 방송하면 ^^;
한국 음반 시장이
한국 음반 시장이 사장되고 있다는 것은
충분히 그럴만 하단 생각이 드는군요.
수많은 mp3의 홍수 속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뮤지션의
앨범 구입할 사람은 지금도 구입하고 있고,
또 예전에도 앨범 구입해서 안 듣는 사람은
mp3가 아니라도 무슨 방법을 써서 알아서 들었습니다.
시장의 질 자체의 전반적인 저하의 지속으로 인한 부분이
다른 무엇보다 크다고 생각합니다만,
이것이 mp3 때문이라면 할 말 없습니다...
---------------------------
Smashing Watermelons~!!
Whatever Nevermind~!!
Kim Do-Hyoung Keedi
----
use perl;
Keedi Kim
돈을 주고 구입을
돈을 주고 구입을 한다면 CD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그러나 휴대하기 불편해서 결국 변환해서 듣죠..
CD로 들을 때는 집에 있을때 뿐인 것 같습니다.
CD를 구매하면 언제 어디서라도 쉽게 mp3나 ogg, 정말 고품질을 원할 때는 flac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합니다.
더불어 자켓 이미지 같은 것도 다운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구요.
현재는 돈을 주고 구매한 사람에게 특별한 혜택이 없다는 느낌이 종종 듭니다.
5.1 채널(?)의 현장감있는 음악을 선사한다던지 공연티켓을 할인해 준다든지 하는
뭔가가 있으면 충분히 돈을 주고 구매를 하지 않을까 상상(혹은 공상?)에 빠지곤 합니다.
$Myoungjin_JEON=@@=qw^rekcaH lreP rehtonA tsuJ^;$|++;{$i=$like=pop@@;unshift@@,$i;$~=18-length$i;print"\r[","~"x abs,(scalar reverse$i),"~"x($~-abs),"]"and select$good,$day,$mate,1/$~for 0..$~,-$~+1..-1;redo}
저도 비슷한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일종의 통합 라이센스(?)를 판매해서
구매자가 그 음악이나 엘범에 관련된 자료를 인터넷 어디서든 쓸 수 있게 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나오는
일단, 나오는 음악들이 다른 분들 평가는 어떠실 지 몰라도 몇 몇 음악가들 빽는 전부 그저 그렇고 다 비슷한 추세를 따라 가고 있습니다. 물론 제 느낌이라 역시 개인적인 말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별로 CD까지 사서 듣고 싶다는 생각이 안 듭니다.
그리고 제가 즐겨 들었었던 페닉의 일부 곡들, 넥스트의 일부 곡들 뭐 여러가지... 그 때는 제가 많이 어렸기 때문에 살 생각은 못하고 다른데서 구했었죠. 그건 그런 거고.
음악 자체가 좋더라도, 그 음악 들고 나오는 가수들이 노래 자체를 잘 소화 해 네지 못하는 거 같은 느낌도 들고요. 즉 실력 있는 사람들이 별로 없어 지고 있다 뭐 이런...
결국 그래서 그냥 음악만 좋아서 듣는다 싶으면 가수가 실력이 없어도.. 그럼 CD 사서 듣기가 그렇더군요. 그냥 MP3구해 듣고 말지...
뭐 아무튼 그렇더라는 겁니다.
일단 요즘에 음악이 그런 거 같다는 거고요.
반면에 어떤 분 말씀처럼, 정말 좋아서 CD 사는 사람들은 알아서 잘 사서 쓰는 거 같습니다. MP3도 들으면서 동시에 CD도 사서 듣고 CD 사서 수십장 모우고 자랑 하는 사람도 봤습니다 ..
아 그리고 위에 쓴 거 중에서 한 마디 하자면(한마디 더!) 가수보다 노래 잘 하는 사람도 많아서 굳이 CD 안 사고 싶습니다. 음악은 그냥 듣고.. 그 음악 가지고 평소에 흥얼 거리면서 노래 부르는 사람들 중엔 더 예술적으로 잘 부르는 사람도 많으니까요.
이런 이야기 하니 미녀는 괴로워가 생각 나는군요.
뭐 그냥, 불법 복제를 막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현제 제가 느끼는 음악에 대해서, 요즘 나오는 가수들에 대해서 느끼는 것을 이야기 해 보앗씁니다. 그에 대한 제 감정 역시도..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Blog: http://blog.lecl.net:8888/lanet/
Wiki(Read-Only): http://yeosong.lecl.net:8888/wiki/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사람천사
DRM의 문제
DRM 적용된 유료 mp3는 CD 이상으로 상황이 안 좋습니다.
CD는 그나마 기념품이나 수집품으로의 가치나 있지만 구입한 mp3는 그것마저 없습니다.
DRM의 가장 큰 폐해가 불법으로 다운받은 mp3보다 불편하다는 것입니다.
불법으로 내려받은 mp3는 기기를 가리지도 않고 편리하게 이동식 디스크에서처럼 옮길 수 있지만
DRM이 적용된 mp3는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용 프로그램으로 옮겨야 하고
기기에 따라서는 돈 주고 사도 못 듣는 mp3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누군가는 mp3를 구입하고도 따로 불법 mp3를 내려받아야 하는 상황을 겪었을지도 모릅니다.
실력 있는 뮤지션들이 세상에서 사라진 게 아니라
단지, TV에서 사라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 찾아내서 듣기가 어려워진 거겠죠.
그 뮤지션들이 밥벌이에 실패하면 결국 세상에서 사라져버릴지도 모르겠네요.
제가 나쁜 놈이군요.
제가 나쁜 놈이군요. 제가 듣던 좋은 곡들은 전부 불법이었죠. 물론 남이 올려 놓은거 어디서 돌아 다니는 것들... CD 살 생각은 클래식에 밖에 적용 해 본 적이 없으니.
마지막 글 쓰신 분의 말씀을 들으니 어떤 면에선 죄책감이 느껴 지는 군요. 이동식 하드 디스크에 넣어 놓은 파일들... 뭐랄까요.. 일종의 전리품 같은 것 처럼, 하나의 상징처럼 모와 둔 것들이 많군요. 그렇다가 지우고 싶지는 않지만...
다른건 몰라도 다른 방법의 음악으로써의 돈벌이를 개발 해야 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 그런 것들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니 ...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Blog: http://blog.lecl.net:8888/lanet/
Wiki(Read-Only): http://yeosong.lecl.net:8888/wiki/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사람천사
근본적인 문제는
근본적인 문제는 구닥다리 모델로 계속해서 수익을 창출하고자하는 발상에서 비롯되었다고 봅니다.
더 편리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아니라, 통제나 규제를 통해 예전의 모델을 유지해서 예전의 수익규모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안일한 발상이 제일 큰 문제인듯합니다.
물리적인 매체(CD, LP?)를 통한 음악의 전달(delivery) 시스템은 확실히 불편합니다. 클릭후에 몇초만 기다리면 기가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있는 네트워크에 물려있는 사용자들이, 옷을 차려입고 지갑에 돈이나 신용카드를 준비해서 레코드 가게에 간다는 것은 어찌보면 엄청난 자기희생(?)과도 같은 것입니다. 더욱이 그 음반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제대로 확인도 못하고 일단 돈을 주고 산 다음에 듣는 다는 것은 아주 고위험의 일일 수도 있습니다 (다 그런건 아니지만 쓰레기같은 음반은 들을만한 곡이 한개정도밖에 없는 경우도 많았었죠).
요즘 세상에 누가 엽서나 편지 보냅니까?
우체국이 택배쪽으로 돌아섰듯이 음반 시장도 뭔가 다른 모델을 찾아야할 것입니다.
오프라인쪽의 물리적 매체 판매에서 나오는 매출은 어차피 0쪽으로 점근할 것이 분명합니다.
-----
오늘 나의 취미는 끝없는, 끝없는 인내다. 1973 法頂
-----
오늘 나의 취미는 끝없는, 끝없는 인내다. 1973 法頂
언제나 그렇듯 살
언제나 그렇듯 살 사람은 사고, 사지 않을 사람은 사지 않았지만
mp3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변한 것이 있다면
언급한 두 그룹(살 사람, 안 살 사람)의 중간 쯤에 위치한 그룹이
굳이 비용(돈 또는 합법적이지 않은 방법의 획득을 위한 노력)을
지불해가면서 듣지 않았다고 한다면
지금은 간편하게 mp3로 듣고 있다는 것이 달라진 점일 겁니다.
더불어 구입하던 그룹의 구성원도 어느 정도 이탈은 했을테구요.
(박탈감 때문이겠죠?)
어쨌거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사람들은(외국은 모르겠습니다.)
자기가 이용하거나 즐기는 것에 대해 합당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음반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일맥상통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적으로는 합법적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DRM 같은 쓰레기 기술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상일 뿐이군요)
물론 다른 분들 말씀처럼 패키지 소프트웨어나 음반의 구매에 따른
메리트를 주어야 하는 것도 좋지만(그렇게 되면 즐거운 일이죠 :)
그것은 옵션이라는 것이죠.
비용을 지불하기 싫으면 안 쓰고 안 들으면 되는 겁니다.
대체품(오픈소스? 오픈라이센스 음악?)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을테구요.
라디오를 녹음해서 듣는다거나
내가 구입한 앨범을 인코딩해서 mp3에 넣는다거나
달력의 그림을 뜯어서 붙여 놓는 것도 적법하지 않은
시대 착오적인 세상에서 지내는 것은 사실 피곤한 일이긴 합니다.
---------------------------
Smashing Watermelons~!!
Whatever Nevermind~!!
Kim Do-Hyoung Keedi
----
use perl;
Keedi Kim
양면을 모두 커버 할
양면을 모두 커버 할 수 있는 발전적인 '무언가'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잘 모르겠군요저는.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Blog: http://blog.lecl.net:8888/lanet/
Wiki(Read-Only): http://yeosong.lecl.net:8888/wiki/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사람천사
애플 iTunes Store는
애플 iTunes Store는 DRM을 없애는 대신, MP3 파일에 보이지 않는 표시를 해둔다고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