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와 bsd 가 동일한것일지는 모르겠지만.. (linux 기준하에 설명 드립니다.)
bucket table 은 timewait socket 을 담아두는 table 입니다. 즉, time wait 이 너무 많아서 bucket table 이 모자른다는 의미입니다. sysctl 에서 이 값을 늘려 주시든지 또는 timewait 의 시간을 줄여 주시면 됩니다. BSD 는 timewait 을 sysctl 에서 control 할 수 있습니다. (Linux 는 이게 안되죠. --)
메모리 부족인 것 같습니다.
뭔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만 -_-;
http://kltp.kldp.org/eunjea/hcol-archive/2002/networking/2003-Jun/1582.html
를 보시면 뭔가 제한을 넘겨서 나오는 메시지라고 합니다.
linux 와 bsd 가
linux 와 bsd 가 동일한것일지는 모르겠지만.. (linux 기준하에 설명 드립니다.)
bucket table 은 timewait socket 을 담아두는 table 입니다. 즉, time wait 이 너무 많아서 bucket table 이 모자른다는 의미입니다. sysctl 에서 이 값을 늘려 주시든지 또는 timewait 의 시간을 줄여 주시면 됩니다. BSD 는 timewait 을 sysctl 에서 control 할 수 있습니다. (Linux 는 이게 안되죠. --)
요즘의 TCP 환경에서는 TIME_WAIT 과정은 없어도 상관이 없으리라 판단이 됩니다. :-)
tcp_max_tw_buckets 이
tcp_max_tw_buckets 이 있습니다.
정정합니다.....;;
kz님,김정균님 답변 감사합니다....제가 질문중 가장 중요한 실수를 했네요...
OS를 잘못 말하였습니다...
CentOS 입니다...;;
linux 에서는 bucket table
linux 에서는 bucket table 의 수를 늘리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sysctl 을 이용해서)
아니면 커널에서 TIMEWAIT 이 정의되어 있는 상수의 값을 변경해서 커널을 리빌드 하여 time wait 의 수를 줄이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define TCP_TIMEWAIT_LEN
#define TCP_TIMEWAIT_LEN (60*HZ) 이걸 얘기 하신 거로군요. 처음에 잘 못 이해했네요.
P.S.
근데 게시판 글이 올라가고 난 다음 redirect 후 갱신이 안 됩니다.
지금은 또 포스트 후 캐쉬/쿠키 지워도 글이 안 보입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