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법칙은 프랙탈과 같은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을 갖고 있습니다.
일하는 20%의 직원만 모아두면, 그중의 20%가 80%의 일을 처리하고 나머지 80%가 나머지 20%의 일을 처리합니다.
반대로, 일하지 않는 80%의 직원을 모아둬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즉, 잘하는 사람들만 다 뽑아도 땡땡이 치는 사람은 있다는 거...
---------------------------
snowall의 블로그입니다. http://snowall.tistory.com
회사다니면서 보았던
회사다니면서 보았던 가장 재미있는 20:80의 법칙...
직원의 20%만 일을하고, 80%는 도대체 뭘하는지 본인도, 팀장도 모른다.
그 일하는 20%는, 하루 일과의 20%만 일하고, 나머지 80% 시간에는 딴짓을 한다. (ㅋㅋㅋ)
엄청난데요... 결론적
엄청난데요...
결론적으로 20% 중의 20% = 4%만 일한다는 건가요...
절망으로 코딩하고 희망으로 디버깅하자.
Real programmers /* don't */ comment their code.
If it was hard to write, it should be /* hard to */ read.
현상에대한...
결과를 또다른 현상의 결과로 가능하면 만들지 않는게 좋습니다.
결국에는 20%에 속하는 직원은 아무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죠.
100을 20으로 나누고 그결과를 다시 나누고 ... 그러면 결국 계속 나누다 보면 -_-;;
그리고 인터넷 마케팅에서의 충성도 높을 고객의 집중과 그렇지 않은 고객에 대한 선택과 집중에 대한 여러가지 내용을 공부할 수 도 있는데요.
나머지 80%에 대한 공략을 추천드립니다. -_-;; 그 부류가 좋아할 만한 과자를 던져주세요. ㅋㅋ
이 법칙은 프랙탈과
이 법칙은 프랙탈과 같은 자기 유사성(Self similarity)을 갖고 있습니다.
일하는 20%의 직원만 모아두면, 그중의 20%가 80%의 일을 처리하고 나머지 80%가 나머지 20%의 일을 처리합니다.
반대로, 일하지 않는 80%의 직원을 모아둬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즉, 잘하는 사람들만 다 뽑아도 땡땡이 치는 사람은 있다는 거...
---------------------------
snowall의 블로그입니다.
http://snowall.tistory.com
피할 수 있을때 즐겨라! http://melotopia.net/b
재미있는건
'개미" 부류의 서적을 보면 개미 역시 나와서 돌아다니는 개체수가 20:80 법칙을 따르는데, 밖에 나다니는 개미를 싸잡아 죽여놓아도 역시 다시 나와서 일하는 개체수는 그 중 20%더라 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 한가지 재미있는 사례는 개미와 비슷하지만 해당 개체가 20:80을 적용받지 않는 사례인데..이 개체는 일반적으로 1:10,000 법칙을 따른다고 합니다.
이 개체는 바로 바퀴벌러지입니다. ㅡㅇㅡ;;
====================여기부터 식인어흥====================
어흥 몰라 어흥? 호랑이 어흥!! 떡 하나 주면 어흥!! 떡 두개 주면 어흥어흥!!
이런거 얘기하면
이런거 얘기하면 정말 신기한게 많죠...
전 어릴때 정규분포라는게 정말 신기했습니다.
지금도 신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