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디 플로피 없이 데비안 설치하기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yuni의 이미지

지난번 하드에 배드섹터 생긴 것에 대한 질문을 했었습니다.
도움을 받아서 다행히 몇달을 더 쓸 수가 있었습니다.
이번에 하드를 새로 구매하여, 새 하드를 넣었습니다.

Thinkpad560인데, 별도의 시모스는 없고, 하드를 비롯한 다양한 체크를 할 수 가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는 잡힌 것 같습니다.
문제는 지금까지는 외장형 플로피로 시동을 해서 네트워크로 데비안 사지를 깔아서 써 왔습니다.
그런데 이 플로피 드라이버가 말썽인지 알 수는 없지만 일단 안되는군요.
플로피를 읽지를 못합니다. 다른 데탑에서 확인을 해 보니 플로피 디스켓은 이상이 없습니다.

1. 놋북 하드를 꺼내서 외장형 USB 케이스에 넣어서 데비안을 설치한 다음 놋북에 다시 넣어도 되는지요?
2. 2.5 를 3.5로 변환 하는 아답타가 있던데, 이걸로 데탑에서 데비안을 설치한 다음 놋북에 넣어도 될까요?

비용은 1번의 경우와 2번의 경우가 4천원 정도 차이입니다. 놋북에서 기존의 6기가 대신 60기가 하드를 인식을 못할 경우엔 이번엔 정말 폐기를 해야 될까 봅니다.
그런 경우엔 1번의 경우가 더 유용할 것 같습니다만.

1번의 경우가 가능한 일인지 한번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ung96의 이미지

데비안은 써보지않았지만 1,2 모두 당연히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CENT OS를 그렇게 쓰고 있거든요.
다만 하드웨어에 대한 모듈 설정이나 마운트 정보, X 설정등은 바구어 주셔야 겠지요.

usb부팅은 안되나요? 저도 usb부팅이 안되는 노트북하나를 가지고 있는데 엠에스윈도우는 1,2 방법으로 설치가 안되기때문에 예전에 샀던 플로피 모드를 지원해주는 USB를 하나 가지고 있어서 주로 이것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youlsa의 이미지

1번 2번 모두 가능할거 같습니다. 물론 동일한 사양의 기기가 아니라면 나중에 설정 바꿔주는 등의 작업이 조금 필요하긴 합니다만...

제 경우에는 노트북이 낡아서 USB 부팅도 안되고 외장 플로피도 없고 부팅 가능한 외장 CD롬 드라이브도 없어서 난감했었는데요, PXE로 네트웍 부팅해서 우분투 설치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PC만 한대 더 있으면 가능하니 한번 시도해 보시면 어떨지요..

근데, PXE로 리눅스 설치는 쉬운데 윈도우 설치는 참 어렵더군요.

=-=-=-=-=-=-=-=-=
http://youlsa.com

=-=-=-=-=-=-=-=-=
http://youlsa.com

yuni의 이미지

PXE에 대해서 설명을 좀 더 부탁 드립니다.
저의 놋북은 pcmcia네트워크 카드로 네트워크를 연결합니다.
데비안만 설치 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간이 덜 영글어서 실수가 많습니다. :-)
=====================
"지금하는 일을 꼭 완수하자."

==========================
부양가족은 많은데, 시절은 왜 이리 꿀꿀할까요?
=====================
"지금하는 일을 꼭 완수하자."

youlsa의 이미지

https://help.ubuntu.com/6.10/ubuntu/installation-guide/i386/install-tftp.html

우분투에 대한 설명이지만 데비안도 마찬가지일겁니다.

=-=-=-=-=-=-=-=-=
http://youlsa.com

=-=-=-=-=-=-=-=-=
http://youls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