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의 의미를 잘 모르겠지만요,
리눅스는 윈도우랑 달리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해야 합니다.
윈도는 레지스트리라는게 있어서
그놈이 시스템 설정, 프로그램 설정, 사용자 환경.. 등등을 관리하고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서
편한점도 있습니다만, 리눅스는 그런거 없죠.
윈도 같은 경우는 파일만 복사 한다고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수
없는 이유가 인스톨 마법사가 레지스트리에다가
어떤 항목을 등록 해 놨는지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리눅스는 그런 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물론 /proc 파일 시스템을 통해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만
레지스트리와는 조금 다른거죠.)
파일만 그대로 복사 한다면 실행 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시스템 설정은 맞춰줘야지요.
따라서 mysql configure 하다가 문제가 생겼거나,
옵션을 수정해야 한다면
mysql 만 싹 다시 지우고 다시 설치 하면 됩니다.
(하지만.. 언제 다 찾고 있겠습니까.. ㅡㅡ;;)
소스 설치를 하면 그런 문제가 생겨서
저같은 경우에는 소스 rpm을 가져다가
spec 파일을 수정해서 다시 컴파일 해서 설치 합니다.
rpm은 참 잘 만든 패키지 메니저 입니다.^^
음..검색을 해보시는게..
얼마전에 비슷한 질문 올라왔었는데..
거기 답글들에..
여러 분들이 자세히 설명해 주셨어요~
세상은 견고하고 삶은 유희가 아니다...
하나하나 궁금중 생길 때마다 질문하여 답을 얻는 것보다, 메뉴얼을 한번
하나하나 궁금중 생길 때마다 질문하여 답을 얻는 것보다, 메뉴얼을 한번 읽어보시면 훨씬 쉽게 답을 얻으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database.sarang.net 이나 mysql 관련 사이트에 가시면 그동안 질문하신 mysql에 관한 답이 있을 것입니다.
p.s. 답변을 하기 싫어서 이렇게 url을 올리는 것은 아니라, hilovesh님께서 앞으로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입니다 ;)
질문이..
질문의 의미를 잘 모르겠지만요,
리눅스는 윈도우랑 달리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해야 합니다.
윈도는 레지스트리라는게 있어서
그놈이 시스템 설정, 프로그램 설정, 사용자 환경.. 등등을 관리하고
일관성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서
편한점도 있습니다만, 리눅스는 그런거 없죠.
윈도 같은 경우는 파일만 복사 한다고 프로그램을 실행 시킬 수
없는 이유가 인스톨 마법사가 레지스트리에다가
어떤 항목을 등록 해 놨는지 찾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리눅스는 그런 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물론 /proc 파일 시스템을 통해 어느정도는 가능합니다만
레지스트리와는 조금 다른거죠.)
파일만 그대로 복사 한다면 실행 시킬 수 있습니다.
물론, 시스템 설정은 맞춰줘야지요.
따라서 mysql configure 하다가 문제가 생겼거나,
옵션을 수정해야 한다면
mysql 만 싹 다시 지우고 다시 설치 하면 됩니다.
(하지만.. 언제 다 찾고 있겠습니까.. ㅡㅡ;;)
소스 설치를 하면 그런 문제가 생겨서
저같은 경우에는 소스 rpm을 가져다가
spec 파일을 수정해서 다시 컴파일 해서 설치 합니다.
rpm은 참 잘 만든 패키지 메니저 입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