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사이가 경계선 (border)라고 보신다면 경계션 밖의 공간은 margin, 안의 공간은 padding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A는 내용이 겠지요.
이 *를 상하좌우 균등하게 10px을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10px; 이면 됩니다.
상하를 5px 좌우를 10px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5px 10px; 이라고 주면 됩니다.
더 어렵게 상을 3px 하를 2px 좌를 5px 우를 3px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3px 3px 2px 5px;이라고 주면 됩니다. 포인트는 margin뒤의 속성은 무조건 상에서부터 시계방향입니다. (상 우 하 좌) 그리고 비어 있는 속성은 나머지 값으로 채웁니다. 예를 들어 상만 준다면 우하좌 모두 상 값을 따릅니다. 상 우만 준다면 하는 상을 좌는 우를 따릅니다. 상 우 하만 준다면 좌값은 우값을 다릅니다.
padding에서 수치도 동일합니다. 모든 것은 상우하좌로 시계 방향. 비어 있는 값은 대칭되는 값으로 채워진다고 보시고 마진과 패딩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시면 대부분의 레이아웃은 소스를 보시면서 하나하나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div 태그를
div 태그를 사용하고,
여기에 스타일시트 중 float, clear를 사용해서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http://ilmol.com/wp/2005/06/09/25/
이 글을 읽어보면 대략적인 감이 올겁니다.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Written By the Black Knight of Destruction
div 태그가 스타일
div 태그가 스타일 쉬트를 이용해야 합니다만 어렵지 않습니다.
margin과 padding만 아셔도 반은 아신겁니다.
*****
*###*
*#A#*
*###*
*****
*와 #사이가 경계선 (border)라고 보신다면 경계션 밖의 공간은 margin, 안의 공간은 padding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A는 내용이 겠지요.
이 *를 상하좌우 균등하게 10px을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10px; 이면 됩니다.
상하를 5px 좌우를 10px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5px 10px; 이라고 주면 됩니다.
더 어렵게 상을 3px 하를 2px 좌를 5px 우를 3px 주고 싶다. 그러면 margin: 3px 3px 2px 5px;이라고 주면 됩니다. 포인트는 margin뒤의 속성은 무조건 상에서부터 시계방향입니다. (상 우 하 좌) 그리고 비어 있는 속성은 나머지 값으로 채웁니다. 예를 들어 상만 준다면 우하좌 모두 상 값을 따릅니다. 상 우만 준다면 하는 상을 좌는 우를 따릅니다. 상 우 하만 준다면 좌값은 우값을 다릅니다.
padding에서 수치도 동일합니다. 모든 것은 상우하좌로 시계 방향. 비어 있는 값은 대칭되는 값으로 채워진다고 보시고 마진과 패딩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시면 대부분의 레이아웃은 소스를 보시면서 하나하나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 CN의 낙서장 / HanIRC:#CN
- 죠커's blog / HanIRC:#CN
두분 감사합니다. div,
두분 감사합니다. div, margin, padding, float, clear가 키워드네요. 그런데.. http://kangcom.com/common/bookinfo/bookinfo.asp?sku=200507280001
답변들을 참고하다가 위에 책을 보았는데 그냥 사서 보면 좋을것 같기도 하고.
이해는 나중 문제이고 지금은 대충 보고 배껴쓰면 되는데 책까지 사서 보려니 일이 커지는듯 하고..;;
login box라면.. fieldset,
login box라면..
fieldset, legend, dl, dt, dd를 사용하는 법도 있습니다. 저 책에 나옵니다 dokuwiki 로그인 박스를 보시면 됩니다 ㅎ
일단.. 배껴씁니다. ;;
일단.. 배껴씁니다.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