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 -> I/O address: 데이터 입출력 주소
IRQ -> interrupt : 하드웨어적으로 인터럽트를 가해서 특정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
IRQ를 이용하게 되면 특정 작업을 하는 도중에 끼어들수있습니다. 프로그래밍적으로 설명하면 시그널정도 될까요? 따라서 각 하드웨어들은 기본적으로 IRQ를 가지는 녀석들이 꽤 있습니다. CPU가 특정 작업을 처리하다가도 IRQ요청이 들어오면 이녀석들이 우선순위에 의해서 가로채게 되어지죠. mouse나 키보드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실런지?
키보드는 언제 쳐질지 모르지만, 쳐지는 순간 PC가 반응을 해야 하겠죠?
PS)아 그리고 모듈올릴때 EISA방식이라면 IRQ를 정해줘야 하는데 ,이 경우에 특정 해당 하드웨어 유틸리티같은 것으로 알아내야 합니다. NIC의 경우에는 테스트 유틸리티가 있죠. 다만 PnP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으로 잡힙니다.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IO -> I/O address: 데이터 입출력 주소IRQ -&
IO -> I/O address: 데이터 입출력 주소
IRQ -> interrupt : 하드웨어적으로 인터럽트를 가해서 특정 동작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
IRQ를 이용하게 되면 특정 작업을 하는 도중에 끼어들수있습니다. 프로그래밍적으로 설명하면 시그널정도 될까요? 따라서 각 하드웨어들은 기본적으로 IRQ를 가지는 녀석들이 꽤 있습니다. CPU가 특정 작업을 처리하다가도 IRQ요청이 들어오면 이녀석들이 우선순위에 의해서 가로채게 되어지죠. mouse나 키보드들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가실런지?
키보드는 언제 쳐질지 모르지만, 쳐지는 순간 PC가 반응을 해야 하겠죠?
PS)아 그리고 모듈올릴때 EISA방식이라면 IRQ를 정해줘야 하는데 ,이 경우에 특정 해당 하드웨어 유틸리티같은 것으로 알아내야 합니다. NIC의 경우에는 테스트 유틸리티가 있죠. 다만 PnP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으로 잡힙니다.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