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encoding은 특별한 설정이 없으면 encoding을 기본값으로 하는군요.
처음 올리신 님이 하셨듯
set encoding=utf-8
set termencoding=euc-kr
만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기존에 euc-kr로 작성된 문서를 위 설정으로 읽은 다음 저장하려고 할 때, euc-kr 한글과 utf-8 한글이 섞여 있으면 "CONVERSION ERROR"가 나오네요. 이럴 경우엔 iconv로 먼저 변환한 다음에 읽어들인 후 저장하면 될 것 같습니다.
.vimrc에
set fileencodings=utf-8,euc-kr
만 하면 자동으로 utf-8인지 euc-kr인지 자동판별해서
fileencoding 값을 정해 줍니다
강력한 팁이군요. 그런데 이 방식으로 하니 euc-kr 터미널에서 단순 ASCII 파일도 utf-8인 줄로만 알고 converting을 하는군요. :?
UTF-8으로 이동중이라면 상관없지만, EUC-KR을 쓰고 간간이 UTF-8을 편집하는 사람들은 불편을 겪겠네요.
파일이 US-ASCII 호환인 0-127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그냥 no-conversion이 되도록 하는 패치를 만들어야겠네요.
.vimrc에
set fileencodings=utf-8,euc-kr
만 하면 자동으로 utf-8인지 euc-kr인지 자동판별해서
fileencoding 값을 정해 줍니다
강력한 팁이군요. 그런데 이 방식으로 하니 euc-kr 터미널에서 단순 ASCII 파일도 utf-8인 줄로만 알고 converting을 하는군요. :?
UTF-8으로 이동중이라면 상관없지만, EUC-KR을 쓰고 간간이 UTF-8을 편집하는 사람들은 불편을 겪겠네요.
파일이 US-ASCII 호환인 0-127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그냥 no-conversion이 되도록 하는 패치를 만들어야겠네요.
fileencodings는 앞에 있는 인코딩인지부터 해석한다고 합니다. 음... 그러니까 저걸 set fileencodings=euc-kr,utf-8 로 하면 해결되지 않을까요?
.vimrc에
set fileencodings=utf-8,euc-kr
만 하면 자동으로 utf-8인지 euc-kr인지 자동판별해서
fileencoding 값을 정해 줍니다
강력한 팁이군요. 그런데 이 방식으로 하니 euc-kr 터미널에서 단순 ASCII 파일도 utf-8인 줄로만 알고 converting을 하는군요. :?
UTF-8으로 이동중이라면 상관없지만, EUC-KR을 쓰고 간간이 UTF-8을 편집하는 사람들은 불편을 겪겠네요.
파일이 US-ASCII 호환인 0-127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그냥 no-conversion이 되도록 하는 패치를 만들어야겠네요.
fileencodings는 앞에 있는 인코딩인지부터 해석한다고 합니다. 음... 그러니까 저걸 set fileencodings=euc-kr,utf-8 로 하면 해결되지 않을까요?
어차피 파일 내용에 영문만 있으면 euc-kr 으로 하나 utf-8 으로 하나 파일 결과물이 똑같습니다. (md5 확인해보세요) 따라서 영어만 편집할 경우에는 UTF-8 로 해도 지장이 없습니다.
set fencs=euc-kr,utf-8 로 해놓으면 Vim 에서 새로운 파일을 만들 때 기본 인코딩을 euc-kr 로 해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utf-8 부터 쓰는 것이 맞습니다.
전반적인 환경이 UTF-8이 아닌 상황에서 enc=utf-8로 설정하는 것은 권장할 만하지 못합니다. enc 설정은 파일별로 건드리도록 만든 게 아니고,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elp 'enc': It should normally be kept at its default value, or set when Vim starts up.)
특정 인코딩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읽을 때는 help ++enc 에 나온 것처럼 ++enc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 말은 한텀에서 그냥 vim에 위와 같은 옵션을 주면 utf-8로 된
그 말은 한텀에서 그냥 vim에 위와 같은 옵션을 주면 utf-8로 된 문서를 읽을 수 있다는 뜻인가요? 편집도 그냥 보통처럼 해 주고 저장하면 그대로 utf-8로 저장이 되는 것인지??
리눅스에서 utf-8 형식으로 문서를 써야 할 일이 생길것 같은데 utf-8을 인식하는 터미널도 설정을 해주어야 할것 같고 기타등등 귀찮은일이 많은것 같던데 vim에서 그냥 된다면 평소처럼 한텀에서 그냥 작업을 할수 있는게 아닌가 해서 여쭈어 봅니다.
그럼~
네 되는거 같아요. 일단 간단하게 iconv로 테스트 해볼수 있을거 같은
네 되는거 같아요. 일단 간단하게 iconv로 테스트 해볼수 있을거 같은데..
아님 그냥 에디팅하고 iconv로 변환해서 사용하셔두 될듯. ^^
전 그냥 보기로만 사용해 봐서..
screen + vim + ctags 좋아요~
저장하면 EUC-KR로 바뀝니다.
UTF-8로 저장해주고 나오기만 EUC-KR로 할까 싶었는데, 저장도 EUC-KR로 하네요.
[color=white][/color]
앗 좋은 팁이군요.
저도 UTF-8을 보기 위해서 삽질을 많이 했는데 ,vim에서 바로 되는지는 찾아보지도 않은채 그냥 넘어갔는데 ,앞으로는 바로 편집까지 되니 정말 좋을거 같군요. 감사합니다.
========================================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fileencoding은..
fileencoding은 특별한 설정이 없으면 encoding을 기본값으로 하는군요.
처음 올리신 님이 하셨듯
만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기존에 euc-kr로 작성된 문서를 위 설정으로 읽은 다음 저장하려고 할 때, euc-kr 한글과 utf-8 한글이 섞여 있으면 "CONVERSION ERROR"가 나오네요. 이럴 경우엔 iconv로 먼저 변환한 다음에 읽어들인 후 저장하면 될 것 같습니다.
특정 디렉토리내 모든 문서를 utf-8로 변환하는 스크립트를 하나 짜서 써야겠네요.
----
http://nohmad.tumblr.com/
Re: fileencoding은..
perl-5.8 이상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미 변환을 위한 스크립트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아래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usr/bin/piconv -f euc-kr -t utf8 [files...]
War doesnt determine whos right, just whos left.
...
.vimrc에
set fileencodings=utf-8,euc-kr
만 하면 자동으로 utf-8인지 euc-kr인지 자동판별해서
fileencoding 값을 정해 줍니다
저장하면 새파일이면 터미널의 인코딩대로 저장되고
있던파일이면 원래 파일 인코딩대로 저장됩니다
만약 인코딩을 바꾸려면
:set fileencoding=utf-8
:w
하면 utf-8로 바뀌어서 저장됩니다.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
utf-8을 지원하는 gtk2.0의 Gnome terminal과
euc-kr의 한텀 양쪽에서 시험해봤는데
다 잘 동작합니다..
(물론 터미널에 따라서 로케일설정 제대로 해주면..)
termencoding 값을 .vimrc에 정해 버리면
한쪽 터미널에서 밖에 제대로 쓸수 없습니다.
ㅤㅃㅞㄺ이나 ㅤㅎㅐㅎ같은 utf-8에만 있고 euc-kr에는 없는 문자를 사용할경우
utf-8 터미널에 utf-8 앤코딩으로 저장해야만 제대로 쓸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확장 euc-kr은 지원 안하더군요.. (모질라에선 되던데..)
Re: ...
cp949로 하니 잘되네요.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CP949 / EUC-KR / UTF-8 간 정리가 필요할듯...
고전을 좋아하시는 분은 안바꾸려고 노력하고 신시대 사람은 바뀌어 있는것에
길들여져서 구세대 유물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사는데 이 둘을 자연스럽게
연결해줄 뭔가가 필요할듯 합니다.
저요? 전 영어쓸래요 --; :shock:
서버실 청소부
Re: ...
강력한 팁이군요. 그런데 이 방식으로 하니 euc-kr 터미널에서 단순 ASCII 파일도 utf-8인 줄로만 알고 converting을 하는군요. :?
UTF-8으로 이동중이라면 상관없지만, EUC-KR을 쓰고 간간이 UTF-8을 편집하는 사람들은 불편을 겪겠네요.
파일이 US-ASCII 호환인 0-127로만 이루어져 있다면 그냥 no-conversion이 되도록 하는 패치를 만들어야겠네요.
참고로 7bit ascii의 128개 문자는 UTF-8로 인코딩하였을때의
참고로 7bit ascii의 128개 문자는 UTF-8로 인코딩하였을때의 번호(?)/값(?)이 7bit ascii에서의 것과 같습니다. 이 경우 conversion이 곧 no conversion과 동일합니다.
Re: ...
fileencodings는 앞에 있는 인코딩인지부터 해석한다고 합니다. 음... 그러니까 저걸 set fileencodings=euc-kr,utf-8 로 하면 해결되지 않을까요?
Re: ...
어차피 파일 내용에 영문만 있으면 euc-kr 으로 하나 utf-8 으로 하나 파일 결과물이 똑같습니다. (md5 확인해보세요) 따라서 영어만 편집할 경우에는 UTF-8 로 해도 지장이 없습니다.
set fencs=euc-kr,utf-8 로 해놓으면 Vim 에서 새로운 파일을 만들 때 기본 인코딩을 euc-kr 로 해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utf-8 부터 쓰는 것이 맞습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저도 감사히 쓰겠습니다. 항상 utf8 terminal setting때문
저도 감사히 쓰겠습니다. 항상 utf8 terminal setting때문에
latex file 간단히 편집할 때 불편했는데(대부분 emacs 쓰지만)
좋군요.. :-) 감사 감사.
항상 iconv로 변환해서 쓰곤 했었는데..좋은 팁입니다. 감사합
항상 iconv로 변환해서 쓰곤 했었는데..
좋은 팁입니다. 감사합니다.
개발자들의 궁극적 비전은 ?
Re: ...
테스트해봤지만.. fileencoding==termencoding이라면 그냥 pass인 듯 싶습니다. 따라서 euc-kr이 앞에 나오면 무조건 pass. :(
영문만 있던 파일에 한글을 넣는 경우 문제가 됩니다. 물론 utf-8을 만드는 게 목적이었다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
일단 급한 불 끄기:uvi 라는 shell script/alias
일단 급한 불 끄기:
uvi 라는 shell script/alias를 만들면 됩니다. 보통은 여러분이 편한 환경으로 해 놓고, 다른 encoding을 편잡할 때에는...
vim --cmd "set fileencodings=utf-8" filename
식으로 불러주면 됩니다.
이것도 편해요.
.vimrc에
function Uni()
" set guifont=MS_Gothic:h12
set encoding=utf-8
endfunction
하고서
:call Uni()
도 편해요
[quote="cdpark"]일단 급한 불 끄기:uvi 라는 sh
굳이 그럴 필요없이 vim쓰다가 unicode깨지면,
:e ++enc=utf-8
이렇게 해서 다시 읽어들이게 하면 됩니다.
저장할때도 euc-kr로 바꿔서 저장하고 싶으면,
:w ++enc=euc-kr
전반적인 환경이 UTF-8이 아닌 상황에서 enc=utf-8로 설정하는
전반적인 환경이 UTF-8이 아닌 상황에서 enc=utf-8로 설정하는 것은 권장할 만하지 못합니다. enc 설정은 파일별로 건드리도록 만든 게 아니고,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help 'enc': It should normally be kept at its default value, or set when Vim starts up.)
특정 인코딩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읽을 때는 help ++enc 에 나온 것처럼 ++enc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