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죠? 펌웨어 날렸습니다.
글쓴이: 사랑천사 / 작성시간: 일, 2006/12/24 - 2:38오전
안녕하세요? 제가 좀 어처구니 없는 일을 버렸습니다...
GN-B46B라는 녀석을 아실지 모르겠찌만, 이 녀석의 펌웨어가 공개 된 것이 있어서 개발용 툴키트까지 받아서 별거 바꾼 것도 없이 시험 삼아서 컴파일을 하고 올린 뒤에 업그레이드를 시켰습니다.(말이 업그레이드...) 근대 이 녀석이 업그레이드 후 재부팅을 한 뒤 부터 먹통이 되어 버리는 군요... 이게 유무선 라우터(?)인데... 이제 저희 집 인터넷은 끝장입니다. 선 하나 어디서 뽑아서 겨우 저 혼자 접속 해서 글 남기고 잇Sㅡㄴ데 이거 어덯게 하면 좋을까요?
Model:GN-B46B(Made in GIGABYTE)
CPU:Mips-R3000(전혀 모르는 녀석... MIPS아키텍처를 사용 하는 녀석인 듯.)
ROM:모름
Flash:모름.
LAN:RTL-8139
WLAN:RTL-8181 802.11b Wireless ...
아주.. 죽겠습니다.. 크로스케이블이라도 있으면 뭔가 해 볼 텐데 그것도 쉽지 않네요... 크로스케이블이 없어서 말이죠 ㅎㅎ... 용산 한번 가야 되겠습니다.
누군가 좋은 방법 있으시면 아이디어를 좀... 흠흠.. 언제 들어 올 수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요.
Forums:
혹시 그 펌웨어라는놈이...
OpenWrt 아닌가요?? 흠흠......
http://www.openwrt.org... 라우터 얘기가 나온걸로 봐서는 여기가 맞는거 같습니다. _-_)/
그거 얼마전에 가지고 놀다가 프로그램이 너무 단순해서 떠밀어버렸눈뎀...
전 ASUS WL-500gP로 거의 한달동안 지지고 볶고 혼자서 붂치고 장구치고...
(결국엔 뺏겨서 석사 선배가 열라게 가지고 놀더군요 :) 한번은 플래시롬 깨져서 병원갔고요...)
그녀석 깔기 위해 라우터란놈을 "제대로" 가지고 놀기 위해선 씨리얼 케이블이 있어야 합니다.
그 씨리얼 케이블 하나만 있으면 정말이지 완전 천하무적이 됩니다. :) (없으면... 만들면 됩니다.)
그게 붙으면 엔간해선 시스템의 내부를 훤히 볼 수 있습니다.
물론 Wiki 설명서에서는 과정상 방법중에 시리얼 케이블이 당장 필요 없는것처럼 그렇게 얘기가
되어버리고 있긴 하지만요 :)
그거 재부팅하고나면 SSH로 접속해야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패스워드를 지정하고 나서 ... 재부팅할때 특히...
SSH로 접속할때 시간이 좀 걸리는데 만약 접속이 안되면 리셋을 한방 2초간 누르고
30초였던가 -_-... 기다리면 접속시 2초간의 딜레이가 발생하면서
키값을 받는다는 경고가 뜨고 그걸 수락하면 접속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 다음에는 가물가물해서 기억이 잘 안나네요... 한번 깔고 계속 쓰기만 했으니...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유무선...
유무선 라우터라고 했는데... 이름이 유무선 라우터지 완전 공유기입니다 이거.. 으윽.. 근대 뜻어 보니 시리얼 꽂는 곳이 잇긴 하군요..(본체 분리...) 문제는 제가 시리얼이 없다는 겁니다... 웹을 관리 페이지 접속 해서 펌웨어 업그레이드 들어가서 제가 컴파일하고 이미지로 만든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한 후에 업그레이드를 시켰는데 갑자기 와이어리스 랜 포트가 가동이 안 되는가 싶더니 모든게 안 되는군요... 케이블 꽂으면 알아서 인식은 합니다만, 그 다음이 아무것도 안 됩니다. 단지 하드웨어 적으로 케이블을 인식 할 뿐이죠. 시리얼 케이블을 어디서 빌리던가 해야 저 녀석을 복구 할 수 잇겠네요.. 이거 완전...
급한 김에 오늘 오전 중으로 공유기 하나 어디서 끌어 오기로 했습니다. 흠흠... OpenWRT라... 좀 섬뜩하군요...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음... 그러면요....
그 공유기사면서 같이 딸려나오는 시디에서
Emergency Firmwaer Restoration 같은 프로그램이 있나 찾아보세요 :)
어쩌면 그거 하나가지고도 충분히 위안이 될지도 모릅니다.
가끔 공유기 뵹~ 될때 그거 하나 함 밀어주믄 공유기가
"잠자는 숲속의 공주"처럼 깨어납니다. -_-...
(근데 왜 동화속의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안늙은걸까요? -_-;)
물론 뭐 192.168.1.1 하는 식으로 유무선 공유기에 기본설정이 되어 있고
이 경로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면 ... 포트가 열린 것입니다...
만약 내부 httpd 데몬이 죽어버려서 포트 오픈 과정중에 깨져버린다면
고거 참... 환장하겠지요 ㅡ,,ㅡ
그 소스 출처 정말 궁금한데... OpenWRT가 맞는지 확인좀 해주실 수 있나요??
제가 리스트 확인해보니 그 기종... 지원안하더군요 OTL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흠흠..
Gigabyte 홈페이지 가 보시면 됩니다. 거기서 지원 들어가셔서(물론 영어로 Support입니다.) 보시면 다운로드 코드가 있습니다. 또 그 안에 펌웨어나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물론 펌웨어 가셔야 겠죠? 거기서 GN-B46B로 검색 해 보시면 GPL용이 나옵니다 큭! 문제는 그거 받을려면.... 아아.. 참 많이 용 쓰셔야 될 거 같습니다. QEMU로라도 이미지를 만들고 돌려 본 다음에 올렸어야 되는건데 상당히 제가 성급했따는 생각이 드는 군요. 그럼 최소한 부팅이 된다는 것은 확인 가능 햇을 테니 말이죠.. 근대 이머전시 펌웨어라.. CD 긁어 봐야 겠습니다 그런거 있나. 문제는 포트고 뭐고 안 열리고 그 녀석은 아예 네트워크에도 안 올라 옵니다 큭큭!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근데 시리얼 연결 하면서 보니 이런게 있더군요 -_-
COM1로... 전송비트를 115200 흐름제어 없음에 패리티 비트 1로...
minicom 같은걸로 접속하면 기계마다 다르지만 뭔 프롬프트가 뜹니다 ...
아마 그것도 시리얼로 연결하면 뭔가 나올거 같습니다...
ADSL이나 VDSL같은거.. 단말기 뜯어보시면 가끔 어떤건 뒤에 Console이라고 되어 있고
UTP 케이블 연결할 수 있는 구뇽이 있습니다. 요놈 공략하면 단말기 해킹 얼마든지 가능한데
문제는 터미널 단말기의 경우에는 해킹하다 문제생기면 별 이득이 없다는거...
물론 백업 다 해놓고 하면 문제 없습니다. 이런경우는 시리얼 대신 랜포트 입니다.
물론 시리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 있습니다. 시리얼 포트가 없다면 단말기 뜯어가지고
시리얼 포트 뺀 자리를 찾아서 그거 선 납땜하고 케이블을 붙일 수 있게 강제로
포트를 만들어버리는 겁니다. 여기에 마이컴 칩같은게 바로 붙어 있으면 정말 난감하죠...
시간도 없는데 PIC칩 분석해야 합니다. -_-; 이런 미친짓은 차라리 "안하고 마는게" 이득입니다 :)
결국은 진입 방법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 뿐... 거기서 거기...
전에 ASUS 공유기에다가 펌웨어 대신에 Linux 갈아엎고 쓸때도 그랬는데
자칫 잘못해서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거였습니다...
부트로더는 일단 제대로 심고... 그 다음에 심는게 jffs2였나 -_-...
시리얼로 연결해서 안을 쓱 봤더니 이미지 잘못 심어서 부트로더 프롬프트 요놈이 떴었습니다.
이상한 메세지 부뤠엙~ 뜨면서 ......
boot> 같이 뜨는 경우도 있고... 형태는 제각각입니다. > 요렇게 뜰 수도 있고요 -_-/
프롬프트 뜨고 간혹 반응 -_- ...이 없을때가 있습니다.
키보드를 두드리면 뭔 반응이 나서 그게 다시 스크린으로 돌아와야 하는데
a를 치면 a가 안뜨고 화면이 멈춰있는경우... 이런 난감한 경우는 ...;;
해결 방법이 있긴 있습니다. tftp로 연결이 ... (안되는구나 -_-) ... 되려면
UTP 케이블 쪽 포트가 열려야 하는데 맛탱이가 갔다고 하셨으니... _-_);
부트로더에서 *modem 전송이니 플래싱이니 지원이 된다면
과정중 백업했던 이미지나 아니면 공개된 펌웨어 이미지를
시리얼 전송 같은걸로 갖다 때려박는 편법을 쓸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 이거 조차도 안뜨고 연결안된다고 에러를 내뱉어버리면 펌웨어 나가리 된 건줄 아시고
한국 공급업체 본사에다가 말빨로... 해결을 - 3-)/ 나불나불나불....
(GPL이고 나발이고 어쨌든 과정대로 펌웨어를 정상적으로 업했고
펌웨어는 GPL기반으로 공식적으로 제공했으니 소비자 과실은 아닙니다.)
구입기간도 얼마 안되었으니 바꿔줄 수도 있습니다. 용산 뒷골목에 가시면 도사님들이
가끔 판벌이고 고쳐주시는데 편법으로 감쪽같이 복구가 됩니다.. 물론 비용이 들어가죠 _-_);
펌웨어도 시스템에 따라서는 일종의 OS + 드라이버모듈 이 될 수도 있다라는거...
여기서 부트로더가 깨지면 연결이 안됩니다. 연결이 된다는건 어떤 신호를 보내면 반응이 온다는건데
부트로더가 깨져버리면 기계로부터 반응이 안오기 때문에 연결할 수가 없습니다.
연결은 되는데 메세지 드륵드륵~ 하다 멈추고 명령 대기상태도 아닌 ...
그 다음 내용이 화면이 안뜬다면 100% 커널패닉(루트 이미지 파괴) 입니다...
커널패닉 나면서 Debug 어쩌고 하고... Aborting...하면서 부트로더로 돌아오면 ... 그분께 감사를 (/ -_-)/
저도 그 소스파일좀 뜯어봐야겠군요... 손이 은근히 근질거립니다 헤헤 ^ㅛ^ 98MB의 압박 -_-;
함 보고 뾰족한 해결책이라도 발견되면 그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죠...
그 동안에 나름대로 모종의 해결책을 강구해보는거도 나쁘진 않습니다.
P.S. 어제가 여송님 본명 축일이더군요... 축하드립니다...
( 저도 사도 요한인데 _-_); )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허걱..
그러고 보니 어제가 27일 이네요.(축일이... 27일 인데... 세례를 25일에 받았었죠. 한 5년 되엇네요.) 역시 저도 축하 드립니다. 하루 지나 갔지만.
그리고, 제가 맹(눈이 멈)이라서 전자 회로를 보고 시리얼 포트를 붙일 수가 없네요. RJ-11형 시리얼 포트라도 있으면 좋은데... (제가 쓰고 있는 VDSL 모뎀은 RJ-11형 시리얼이 있네요 정말.) 분해 해 본 결과 시리얼인진 모르겠지만, 뭔가 자료를 전송 하기 위한 포트를 연결 할 수 있는 젝이 있긴 하던데, 이 젝에 맞는 시리얼 케이블을 찾기는 글러 먹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펌웨어 구조는 대충 이렇습니다.
1. Linux 커널
2. 모듈(기본적으로는 모듈은 사용 하지 않고 모든 것을 Built-In으로 처리 하게 설정 되어 잇습니다.)
3. 각종 Daemon들(pppd, dhcpd, dhcpcd 등등등)
4. 자체적인 라이브러리와 HTML등의 웹에서 내부 설정을 건드릴 수 잇게 하는 인터페이스(CGI포함)
그 밖에 펌웨어 자체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x86기반에서 펌웨어를 컴파일하고 올리는 데 필요한 도구들로 MIPS 아키텍처용 glibc, uclibc, gcc 및 binutils등이 함께 들어 있더군요. 바이너리 형태로. 그래서 92MB가 넘는 용량을 자랑 하는 거 같습니다. 정말 QEMU로 테스트를 해 볼걸 그랫따는 생각이 팍팍 듭니다 지금은. 저 녀석이 x86 머신이었다면, 다 날리고 프로그램을 직접 만들어서 올렸을 지도 모르는데 MIPS라 좀 겁도 나고 해서 일단 펌웨어 편집 부터 시도 해 봤는데 결과가 여엉.. 시원찮군요. 안 되면... 기가바이트 한국 수입 업체가 JC현인가 그런 걸로 아는데 거기 문의를 해서 어덯게 해 봐야 겟습니다.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어이쿠 ㅡ,,ㅡ;
놀래버렸습니다... 읽다가 맹~ 하길래 맹꽁이?? 맹꽁이...
(하도 개구리를 좋아해서 웬 맹 얘긴가... 했더니...)
盲자 쓰는 맹이라... 앞으로 제가 글을 좀 짧게써야겠습니다 ㅡㅡ;
오늘 교수님께서 버팔로 무선 공유기 하나 맞추라고 하시더라구요...
고놈도 MIPS BroadCom 계열인데 뜯어다가 이젠 아키텍처 수준의 해킹을 해야겠습니다.
P.S. 그 사이트 보니까 GPL 밑에 Pre-Compiled 이미지가 있더군요... -0-
98메가 패키지에서 나오는 이미지 파일이 고작 1MB라니... 기절할 노릇입니다 orz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흐흠..
뭐.. 제가 글을 보는덴 그렇게 크게 상관이 없고요.. 스크린 리더를 쓸 수도 잇거든요. 문제는 하드웨어 보드 같은건 제가 눈으로 보고 납땜을 한다거나 그런건 못 하죠.. 땜질 할 줄 아는 사람이주위에 몇 몇 있긴한데 컴퓨터쪽 보드는 잘 몰라서.. 흘흘...
그리고 그러게요... 1MB짜리 만들려고... 저 92MB짜리를 다 받아서 컴파일 해야 된다니. 차라리, 한번 받아 놓고 다른건 다 지우고 코어만 둔 체로 크로스 컴파일 구축 하는게 백번 나을 지도 모르겟네요 흠흠.
으음.. 근대 크로스 컴파일 시스템 구성을 해 본 적이 없어서 두렵군요 큭큭!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크로스 컴파일 시스템...
마...만들면 됩니다. -_-;;
툴이 있으니 그냥 쉘에서 변수에 경로 등록하는식으로 해서
export 하면 되겠군요... 그리고 더이상 설정할게 없는걸로 압니다.
아차... 중요한게 빠졌군요... 컴파일러 버전에 신경써야 하고
개발환경 커널이 2.4냐 2.6이냐도 문젭니다...
왜 그런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_-_);;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보드에서...
로딩만 가능하다면, 프로그램을 완전히 새로 만들고 크로스 컴파일 시스템 구축 후에 집어 넣어도 재미 잇겠군요. 근대 문제는, 용량을 약 2MB 정도? 아니면 그 이하로 잡고 설계를 해야 한다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그래도 한 8MB 정도 되면 꾀 괸찮고 성능도 엄청난 녀석을 만들 수 잇을 텐대 말이죠 후후. 일단 좀 더 해 보고 안 되면 그냥 골아파도 서비스 센터나 여기 저기에 맡겨 보기로 생각 중입니다 후후.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
늦은감이 있네요 :)
그 문제 -_-;; 참 해보지 않으면 모를거 같습니다...
98메가가 2메가쯤 된다는 자체도 어쩌면 말이 안되는거같고...
소스가 불필요한게 잔뜩 널려있어서 98메가가 되는게 아닌가 싶기도하고...
해결 잘 되기를 빌면서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
============================================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소스는..
컴파일에 필요한 Tool-Kits와 소스로 구성 되어 있고 용량을 많이 차지 하는 것들은 Tool-Kits입니다. 이게 uClibc와 Mips 크로스 컴파일용 binutils/gcc를 전부 포함 하고 있고 Mips용 glibc와 2.4.18커널 소스도 포함 하고 있습니다. 이런게많약 없다면 많아야 소스가 3MB 정도 엿을 겁니다. 저런게 다 들어 잇으니 흐흐흐!
아무튼 역시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아 근대 이거 위에도 쓴 거 같은데 흐흠. 기억력이 딸려서요. 위에 제 글은 안 보고 새로 찍힌 글만 봤거든요 후후.
----
Lee Yeosong(이여송 사도요한)
E-Mail: yeosong@gmail.com
MSN: ysnglee2000@hotmail.com
----
웃음... 행복... 평화... (진정한...) 희망... 사랑... 이 세상 모든것이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꿈 속의 바램일 뿐인가...)
사람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