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에서 Windows Server의 Active Directory 사용하기
글쓴이: Windsack / 작성시간: 수, 2006/09/06 - 3:42오후
기본적으로는 Windows 2003 Server를 사용하구요.
그외에 사내에 Linux 서버가 제법 있는데요,
Linux에서는 각각 계정 관리 혹은 그룹관리를 하고 있어 다른 사람에게 권한 할당시 불편한 점이 있네요.
그래서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을 연결해서
AD의 계정 및 그룹을 이용하여 Linux에서 권한 관리를 하고자 합니다.
LDAP으로 연결해서 가능하다고 하는데 어찌 설정해야 할까요..
그리고 위와 같이 설정한다면 다른 Linux 사용자 외에 Windows 사용자들이 Linux의 공유된 폴더를 바로 접근 가능하게 되는지요?
어떤 분은 비추라고 하시던데 이유도 아시면 좀 부탁드리구요.
Forums:
저도 궁금합니다 :)
저도 궁금합니다 :)
이거에 관해서 제가
이거에 관해서 제가 예전에 찾아보고, 써 두었던 문서가 있는데, 지금 그 서버가 죽어 있네요 ㅜㅜ 살아 나는 대로 링크 올리도록 하고,
리눅스가 windows active directory 의 도메인 컨트롤러를 이용해서 인증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linux active directory 등등으로 구글링을 하다 보시면 많은 자료가 나올 텐데, 요지는 유닉스 쪽의 인증을 PAM 과 nsswitch 를 이용해서 윉도우즈 쪽으로 돌릴 수가 있습니다. 그런 식으로 해서 윈도우즈 도메인 컨트롤러로 유닉스 계정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폴더 공유 문제는 삼바를 설치하셔서 따로 하셔야 할 것입니다. 애시 당초 삼바를 설치 안한다면 리눅스 쪽 디렉토리를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거 자체가 불가능 할 테니까요 ^^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