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에서는 더 이상 혁명적인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가?
글쓴이: 1day1 / 작성시간: 목, 2006/08/17 - 9:10오후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2295&logId=1355045
"자신과의 싸움" 규모가 커지다보면, 어느업종이나 그렇겠지만, 글을 읽다보면 정말 심각한것 같다.
wibro 도 많은 기대를 했었는데, 혜택을 보긴 힘들것 같다.
DMB 쪽도 위성,지상파 - 수도권이외에는 역시 어렵다.
http://kldp.org/node/72662 - 기대하는 이 제품은 무선랜이 되어야 그 진가를 발휘할텐데,
국내의 환경이 어느정도 따라줄 지 의문이다.
이동통신의 서비스들을 보면, 하나하나가 다 돈과 연결되어 있다.
mylo 처럼 휴대폰에 무선랜을 내장하게 된다면, 어떤일이 벌어질까?
아마 무선데이터쪽과 SMS 등의 사용이 현저하게 떨어질 것이다. 하고싶어도 못하는 상황이겠지.
휴대폰사업자에게는 기능넣지 말라고, 압력을 행사할 것이다.
국내에 http://itviewpoint.com/tt/index.php?pl=1755 이런 서비스가 시작된다면, 이통업계는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FON프로젝트(http://kr.fon.com)는 서비스운영의 미숙/차질 등으로 그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
사용자에게 유리한 서비스가 사업자에게도 득이되는 서비스는 아닌가보다.
댓글
그건 그렇고
제발 휴대폰에 쓸데없는 락 좀 안 걸었으면 좋겠습니다.
PDA폰을 예로 들면 어떤 녀석은 MP3 벨소리를 막지 않나, 어떤 녀석은 프로그램 설치를 막지 않나... 게다가 싸X사의 X532는 스펙이 너무 환상적이어서 LX 텔레콤에서 개인용으로 안 내준답니다. 무선랜+GPS니까 말이죠.
다행히도 PDA폰을 쓰고 있어서 일반 휴대폰의 락을 피해다니고 있지, 주위의 그냥 휴대폰 보면 락 때문에 못 쓸 거 같습니다.
---- 절취선 ----
http://ubuntu.ksa.hs.kr
휴대폰은 그냥
휴대폰은 그냥 전화로만 사용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그나마 나을 것 같네요...
mp3, 벨소리... 이런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적외선 포트는 정말 ㅜㅜ 폰2폰으로 사진과 전화번호 송수신만 되는 것이 그것조차도 타사휴대폰과는 안되네요...
mp3를 kmp로 변환해서 휴대폰에 넣는 프로그램인 dosirak은 인터넷이 연결되어있지 않으면 실행도 안되네요...ㅜㅜ
내 mp3 내 폰에 넣겠다는데 왜 그것도 안되는건지...
1GB짜리 T-Flash 메모리 샀는데 괜히 샀다는 생각도 조금 듭니다.
The knowledge belongs to the World like Shakespear's and Asprin.
mp3 manager 쓰세요.
냉무.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캠패인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캠패인
Melon은.....
sk telecom의 Melon은.....
인터넷이 연결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당연하고....
파일을 하나씩 선택해서 변환하고 핸드폰에 넣어야 합니다. -ㅅ-
메모리도 크지 않는것이 말이죠..
열받아서 mp3 player 하나 샀습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