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디스크를 마운트 하다 보니 어떤건 /dev/hda으로만 가능하고 어떤건 /dev/hda1으로만 가능합니다.
둘간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하드디스크가 /dev/hda1 /dev/hda2 이렇게 되있다면 파티션을 구분한다는걸로 막연히 알고 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hda1을 분석하면
hd : IDE하드디스크입니다. a : 첫 번째 디스크입니다. Primary Master 디스크입니다. 두 번째 디스크는 Primary Second 디스크이고 b입니다. 1 : 첫 번째 파티션입니다. Primary 파티션이며 보통 이 파티션에서 부팅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dev/hda를 직접 마운트해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그렇게 사용해서도 안되구요. (그렇게 마운트했다가 데이터 홀랑 날릴 뻔한 적이 있습니다.)
한 걸음 더 가까이
가끔
mkfs.ext3 /dev/hda
파티션 단위가 아닌 디스크 단위의 작업에 /dev/hda 형식이 쓰이겠지요.
# fdisk /dev/hda
MBR 영역을 지칭할때도 /dev/hda 형식으로 쓰이긴 합니다.
# grub-install /dev/hda
-- 마잇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hda1을 분석하면 hd :
hda1을 분석하면
hd : IDE하드디스크입니다.
a : 첫 번째 디스크입니다. Primary Master 디스크입니다. 두 번째 디스크는 Primary Second 디스크이고 b입니다.
1 : 첫 번째 파티션입니다. Primary 파티션이며 보통 이 파티션에서 부팅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dev/hda를 직접 마운트해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그렇게 사용해서도 안되구요.
(그렇게 마운트했다가 데이터 홀랑 날릴 뻔한 적이 있습니다.)
한 걸음 더 가까이
가끔 mkfs.exte
가끔
라고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이경우에는 그냥 /dev/hda로 마운트 해야 합니다.
예전이 이걸 모르고 데이타 날아갔다고 다시 파티션닝하고 포맷한 적이 있습니다.
파티션 단위가 아닌
파티션 단위가 아닌 디스크 단위의 작업에 /dev/hda 형식이 쓰이겠지요.
# fdisk /dev/hda
MBR 영역을 지칭할때도 /dev/hda 형식으로 쓰이긴 합니다.
# grub-install /dev/hda
--
마잇
--
마잇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