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VFS에 관한 질문입니다.
글쓴이: dalant019 / 작성시간: 목, 2006/04/13 - 5:26오후
VFS는 추상 파일 시스템으로써 하위 구체 파일 시스템을 감추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include/linux/fs.h 에 보면
inode 구조체에 하위 구체 파일 시스템들의 inode와 super block에 해당하는 구조체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VFS 개념과 달라서 조금 헤깔립니다. 그냥 VFS 인터페이스만 구현해주면 되는 걸줄 알았는데 이렇게 VFㄴ에 자신(하위 구체 파일시스템)을 드러내야 하다니... VFS를 지원하는 하위 구체 파일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면 어쩔 수 없이 커널에 수정을 가해야하는 건가요(fs.h에 자신의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추가해야하나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어서 그런건지? 지금 생각은 명시된 하위 구체 파일시스템들은 리눅스에서 규정처럼 제공하는 파일시스템들이라 어차피 추가가 되니깐 VFS에 명시하여 성능상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짧은 제 소견~)
마이 궁금합니다~ ^^
Forums:
generic_ip
2.4 대의 커널에서는 추가했던 기억이 있지만
어차피 generic_ip 포인터가 있으니 이를 이용해도 될 것 같습니다.
(2.6 에서는 generic_ip 만 남기고 다 없애버린 것 같네요..)
2.6 대의 커널에서 파일 시스템을 개발하신다면
FUSE (Filesystem In Userspace) 에 대해서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