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F-8 대신에 ko_KR 를 사용한다는 것은 틀린 말입니다. ko_KR 은 언어를 나타내는 것이고, UTF-8 은 인코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ko_KR.UTF-8 과 ko_KR.EUC-KR 이 있는데, semacro님이 적으신 방법은 ko_KR.UTF-8 을 ko_KR.EUC-KR 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해결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UTF-8 은 EUC-KR 보다 표현 가능한 문자가 훨씬 많습니다. 따라서 리눅스를 EUC-KR 로 고치는 것보다, UTF-8 을 지원하는 telnet/ssh 클라이언트인 putty 등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putty에서 위와 같은 문제는 없어졌습니다.
메뉴의 한글화 외에 여러 기능들이 추가된 한글 putty도 kldp.net에서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구요.
putty의 장점은 공개S/W라는 것 이외에 ssh을 지원한다는 거죠.
@개인적으로는 leputty외에 zmodem+com port 지원 terminal emul을 찾고 있었는데
덕분에 아롬넷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감사히 쓸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합적인 문제로 hyper terminal 사용이 불가능하고 leputty의 zmodem이 간혹 먹통이 될때가 있어서
다른 terminal emul로 테스트 해보고 싶었습니다.
UTF-8 대신에 ko_KR 를
UTF-8 대신에 ko_KR 를 사용한다는 것은 틀린 말입니다. ko_KR 은 언어를 나타내는 것이고, UTF-8 은 인코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ko_KR.UTF-8 과 ko_KR.EUC-KR 이 있는데, semacro님이 적으신 방법은 ko_KR.UTF-8 을 ko_KR.EUC-KR 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해결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UTF-8 은 EUC-KR 보다 표현 가능한 문자가 훨씬 많습니다. 따라서 리눅스를 EUC-KR 로 고치는 것보다, UTF-8 을 지원하는 telnet/ssh 클라이언트인 putty 등을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블로그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 듣는 음악 통계

지금 듣는 곡: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저도 그렇게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저도 putty를 사용하는데...
그런데 문제는 한글 패치가 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utty홈페이지에서 받은것을 사용해보니까 안되더군요..
암튼 저도 이방법이 가장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xo.st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아롬넷도 좋은 tool입니다.
완전 무료 telnet 프로그램인 아롬넷도 Utf-8을 지원합니다.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무설치에 가벼우면서 좋은 것 같네요.
아래 사이트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http://www.pcclassic.com/software/aromnet.html
이미 putty에서 위와
이미 putty에서 위와 같은 문제는 없어졌습니다.
메뉴의 한글화 외에 여러 기능들이 추가된 한글 putty도 kldp.net에서 개발중인 것으로 알고 있구요.
putty의 장점은 공개S/W라는 것 이외에 ssh을 지원한다는 거죠.
@개인적으로는 leputty외에 zmodem+com port 지원 terminal emul을 찾고 있었는데
덕분에 아롬넷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감사히 쓸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합적인 문제로 hyper terminal 사용이 불가능하고 leputty의 zmodem이 간혹 먹통이 될때가 있어서
다른 terminal emul로 테스트 해보고 싶었습니다.
제목만 보고 MS
제목만 보고 MS 측에서
콘솔 인코딩을 utf-8로 변경했다는 훈훈한 기사인 줄 알았네요.
저도 그냥 맘편하게 USB에 putty.exe 넣어갖구 다닙니다. ㅎㅎ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