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olaris, BSD 중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가?
저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슬랙웨어로 리눅스를 처음 접했고 M$의 윈도그보다 UNIX의 자손들을 너무도 좋아합니다. 지금은 솔라리스8과 FreeBSD로 폭을 좁혔습니다만, 리눅스도 놓치기는 싫습니다. 그런데 윈도그를 제외한 이 모든 것들이 과연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의문이 듭니다.
아직 아는게 많지는 않지만, 각 OS 모두 bash나 tcsh 같은 쉘을 쓰면서 쉘프로그래밍도 똑같이 하고 각각의 운영체제마다 같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들을 쓰고(Oracle, Apache, GCC, 뭐~ 기타 등등) XFree86도 모두 돌아가고 거기서 또 엑스윈도우 프로그래밍도 합니다. 게가다 서로 비슷한 일들을 합니다. (서버운영이나 개발 등)
가끔 토론실에 글들을 보면 어떤 운영체제가 잘났네, 뭐는 못났네 하는 이야기들을 들으면 이제는 지겹다기 보다는 허무하더군요. 결국은 같은 환경을 이용하고 같은 목적을 이루는데도 자신이 마치 각 OS를 만들어낸 것 마냥 고집을 피울 일이 있을까 싶더라구요.
각 OS 개발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거기서 거기인 비슷비슷한 제품들이 서로의 잘난점을 뻐기고 보다 많은 유저들을 끌어들이기 위함인지 유저들을 불편하게 하면서도 서로간의 표준화를 이루지 않는 것 같습니다. (리눅스만 하더라도 패키지마다 환경설정 같은거 많이 틀리잖아요. 솔라리스는 한술 더 뜨더군요. T_T)
아직 학생으로서 철모르고 떠들었지만, 제가 요즘 느끼고 있는 점은 이런거였습니다.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 기반하에서 무언가를 하고 싶고 결국은 어느 것 하나만 붙잡고 늘어지면 결국 목적지는 같지 않은가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저는 솔라리스를 (더불어 FreeBSD) 물고 늘어지려 합니다. 리눅스처럼 패키지마다 신경써야 할 일들이 조금은 줄어든다고 생각해서입니다.
제가 생각이 얼마나 짧은지 여러분들의 의견도 들어보고 싶습니다.
저도 답변은 아니고 질문 좀 드릴려구요.지금 유닉스를 판매하는 업체에
저도 답변은 아니고 질문 좀 드릴려구요.
지금 유닉스를 판매하는 업체에 있는데 입사한지 얼마 안되서
잘 모르겠는데 현재 사용하는 OS는 쏠라리스 입니다.
요세 리눅스가 이젠 System 업계에서도 자기 몫을
당당히 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쏠라리스 시스템 엔지니어로 갈려고 했는데
솔직히 리눅스가 더 좋거든요.
그래서 하는 질문인데 어디 리눅스 엔지니어를 정말로
제대로 양성하는 과정이나 혹은 학교(직업학교 포함)를
알고 계신분 추천 바랍니다.
그리고 한 가지더 리눅스 엔지니어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이 생겨 날까요?
고수님들 알고 계시면 가르쳐주싶시요.
저도 처음엔 디스켓으로 스랙웨어를 깔아본게 처음 리눅스를 접했죠..
저도 처음엔 디스켓으로 스랙웨어를 깔아본게 처음 리눅스를 접했죠..
레뎃만지다가...지금은 솔라리스 만집니다.
직업이 sun s/e라서...뭐 unix계열도 좋고 윈도계열도 좋습니다.
전 전문개발자가 아니라서...뭐 개발은 잘모르겠지만......
웬만한 (php정도는)그냥 만들어 쓰는데..뭐 다 같습디다.
직업상 요즘은 솔라리스를 많이쓰는데.. ....디스크 슈트 같은
raid프로그램은 정말 멋지더군요...
하여간 이것 저것 만이 만져 보면 되지 않을까요
각 특성이 있긴 있는데... 솔라리스는 하드웨어 지원이 영 꽝이라서
각 특성이 있긴 있는데...
솔라리스는 하드웨어 지원이 영 꽝이라서 성질나구요...
리눅스는 요즘 하드웨어 지원 장난아니게 좋더군요...
FreeBSD도 리눅스보다 더 좋은데 자바지원이 리눅스나 솔라리스보단 조금 못하더군요 (할줄 아는 언어가 자바뿐이 없어서 저는자바지원을 무엇보다 중요시 생각...)
또한 어플리케이션 지원도 리눅스도 좋죠 요즘 나오는 오라클이라던지 기타등등 프비에선 리눅스용 오라클을 약간의 삽질을 통해 쓰죠...
아무튼 각 특색이 있어서 어떻것이 좋다고 말을 못하겠습니다.
저는 이 3가지를 하나의 시스템에 다 쓰고 있습니다. 욕심이 많아서 멀티 부팅하는거 연구하느라 머리 빠질뻔 했습니다. 그런데 쉽게 잘 되더군요..
유닉스들....겉모양은 비슷하지만 엔진은 차이가 있는 자동차들
유닉스들....
겉모양은 비슷하지만 엔
진은 차이가 있는 자동차
들에 비유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셸 쓰고, X 윈도우
쓰고 하면 정말 다 거기
서 거긴거 처럼 보이죠..
하지만 자동차의 엔진이
라고 할 수 있는 커널의
소스를 분석해보면,
많이 다르다는것을 알 수
있지요.
선택은 언제나 사용자의
것이죠...
전 래드햇만 4년째 사용하고 있고 프비도 구경은 해보았습니다.래드햇만 쓰
전 래드햇만 4년째 사용하고 있고 프비도 구경은 해보았습니다.래드햇만 쓰다 보니 수세리눅이나 다른 리눅으로
옮겨 가기가 약간은 어렵더군요.(설정의 면에서)
운영면에서 보면 서로가 같은 점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프로그램 개발에서 보면 서로가 다른 것 같군요.
최근에는 plan9이란 운영체제를 설치해보고 ..
약간 감탄했습니다.
저도 래드햇을 사용하지만 데비안 gnu/linux의 편함에
한표를 보냅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unix자손이 아니 plan9에도
한표 반을 흐흐흐..
설마 기본 명령어와 구조의 유사성 때문에 거의 같은 OS아닌가?그러므
설마 기본 명령어와 구조의 유사성 때문에 거의 같은 OS아닌가?
그러므로 "아무거나 쓰면되는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시는건 아니겠죠? ;)
오래 사용해보시면 이들 OS간에 상당한 차이점과 특징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저도.. 슬랙웨어로 시작해서 많은 여정을 걸었죠. 슬랙웨어(3년)
저도.. 슬랙웨어로 시작해서 많은 여정을 걸었죠.
슬랙웨어(3년) -> FreeBSD(잠깐) -> 솔라리스(3년) -> 데비안(최근)
솔라리스도 패키지 관리가 잘되는거 같지만.
데비안 써보면서 그다지 깔끔한 편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요즘에 실험적으로 만드는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리눅스 기반이 많아서..
솔라리스에서는 리눅스 보다 좀더 많은 노가다를 하게 됩니다.
데비안이 이런 문제를 훨 수월하게 해줬지요.
데비안 한표
서로에 장단점를 잘이용하심 되는걸루 압니다~~어느걸 딱 하나 결정
서로에 장단점를 잘이용하심 되는걸루 압니다~~
어느걸 딱 하나 결정할순 없는거 같습니다..
억대에 하드웨어 장비 즉 하나에 덩치큰 시스탬은 하드웨어가
빵빵한 솔라리스 쪽이 유리할꺼구요
각종 방화벽,로컬라우터머신,네트웍관련 실험성 등등 은 리눅스가 유리할꺼구요..
그냥 디비 코딩만 하면 아무곳에서나 코딩해서 각OS에서 맞게
약간 수정하면 될꺼구요...C , 쉘 기반 작업도 마찬가일꺼구요..
멀티미디어쪽은 윈도우계열이 유리할꺼구요~~~
각기 유리한 점를 이용하심 더욱좋를꺼 같습니다
글쎄요..데비안은 깔아는 봤구 프비는 구경은 해봤는데..솔직히
글쎄요..
데비안은 깔아는 봤구 프비는 구경
은 해봤는데..
솔직히 불편하더군요..
관리자보다는 개발자가 되고 싶은
저는 그냥 맨드레이크 씁니다..
기본적으로 시스템 관리도 잘하고
싶긴 하지만 욕심이라는 생각도 들
어서요.
가볍고 좋은 퍼포먼스를 내는 것도
좋지만.. 데스크탑으로서 편한 것
도 중요하죠..
저같이 컴을 여러대를 가질수 있는
여력이 안되면 말이죠..
시스템이 거의 같은 이유는 표준을 따르기 때문이고각각의 시스템에서 좋
시스템이 거의 같은 이유는 표준을 따르기 때문이고
각각의 시스템에서 좋은 점들을 서로 서로가 수용하다 보니
현재처럼 한가지만 해도 여러가지를 할수 있는 상황이 됬죠.
시장 경제에 맞추어서 생각하면 좋을거 같군요.
님께서 생각하는 다음 세대의 발전 방향을 생각해서 공부하심 되지 않을까요?
아시겠지만 시스템은 저마다의 장 단점이 있습니다.
얼마나 많이 사람들이 사용하느냐?
앞으로의 잠재 시장은 어떠냐?
등의 자대에 대 보아야 할거 같습니다.
선의 안정된 서비스(총체적의미)
리눅스의 대규모적인(전세계인)들의 지원을 통한 발전 가능성,
freebsd의 강력함
전 개인적으로 선보단 리눅스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가능성을 보는거거든요.
어느게 좋다는건 아니고요... ^^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
참고로 대형 시스템에서 선을 많이 쓰고, 쪼끔 작은덴 리눅스 많이 쓰더군요. ibm빼구~
저두 지금 리눅스 솔라리스 FreeBSD를 공부하고 있거든요제가
저두 지금 리눅스 솔라리스 FreeBSD를 공부하고 있거든요
제가 공부하면서 느끼는 건데 세가지다 기본 설계는 똑 같잖아요 명령어체계 파일시스템 그리고 Vi등의 편집기에 엑스윈도우 사용하는거요
단지 틀리다면 명령어가 약간씩상이하고 패키지설치 방법이 조금씩 틀리죠 리눅스는 알피엠 솔라리스는 로칼 비에스디는 포트
하지만 명령어가 약간 틀리고 옵션이 틀려서 그렇지만 거의 설치 방법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구요
아 그리고 솔라리스가 공부하기 가장 힘들던데요 왜냐 자료가 없어서 썬에서 문서 자료를 팔아먹기위해서 저작권으로 건드리면 바로 고소를 해서 자료가 많이 없어요
그래서 전 리눅스 하구 솔라하구 같이 띠워서 리눅스에서 해보구 솔라에서 다시 실습하구 그래요
열심히 공부하시구요 이건 순전히 제 생각인데요 세가지 중에서 하나만 구루의 단계에 들어서면 나머지 두개는 껌값이지 않을까 하는데요 세가지다 유닉스라는 큰 뿌리에서 나왔으니깐요
그리고 한가지만 열심히 공부하시는게 빨라요 제경험으로는
그리구 꼭 구루의 경지에 도달하시기를...........
데비안을 써보세요Debian GNU/Linux레뎃 계열보다
데비안을 써보세요
Debian GNU/Linux
레뎃 계열보다 훨씬 더 패키지 관리가 낫습니다
리눅스가 무겁다고 하는데 그건 레뎃계열의
그 특유의 -_-뭉쳐진 패키징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advanced package관리를 느껴보고 싶다면
http://debianusers.org 로 오시길 ㅎㅎ
리눅스도 리눅스 나름입니다.
그리고 곧 Debian GNU/Hurd도 나오구여
굳이 linux나 BSD같은 OS에 매달릴 필요는
없을듯 하네요
BeOS나 MacOS 등 다른 OS도 이미 많은데
그럼 휙
흠...제가 보기에도 역시 위에 분이 말씀을 하신것과 같이...
흠...
제가 보기에도 역시 위에 분이 말씀을 하신것과 같이...
자신에 맞는 놈 골라서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을 하시면은 됩니다.
굳이 OpenSource 운동을 하고 싶으시다고 걍 M$제품은 사용하지 않네 어쩌네 하는것 보다도...
M$를 사용하더라도 자신이 하는 일에 충실하면은 되는 것입니다. 자신이 편안한 환경에서...
M$ Windog 사용한다고 이런거 못하는거 아닙니다.
그리고 제가 생각하기엔... OS란... 말 그대로 지금을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지 그 이상은 아닙니다.
이걸 한번 더 곱씹어 보시길...
그리고 한가지 당부를 드리고 싶은건 여러 사람들의 말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이 가장 잘 사용할 수 있고 잘아는 OS를 사용하는게 OS를 잘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니 초보분들 OS를 선택하기에 앞서 주위의 탁상공론 보다는 자신이 이 OS로 무엇을 할 수가 있는지를 잘 생각을 해보시길...
그리고 주위에 휘둘려 맹목적으로 뒤만 쫒는 그런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하양 지훈'>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하양 지훈' - It's Now or Never!!!
저두 머 답변은 아니구여..걍 맘에 드는거 쓰면 대는거 아닐까여..
저두 머 답변은 아니구여..
걍 맘에 드는거 쓰면 대는거 아닐까여..
그게 윈도 안쓰는 장점이라고 생각 하는데여..
저두 첨엔 남들처럼 레드햇 계열을 쓰다가..
결국은 젤 맘에 드는게 FreeBSD나 데비안이더군여..
가장 큰 장점은 둘 다 패키지 관리가 좋아서이구여..
레드햇 보다는 덜 답답한거 같던데여..
머 답변은 아니구..저두 한 3년 리눅스를 쓰다가..다른 것도 좀
머 답변은 아니구..
저두 한 3년 리눅스를 쓰다가..
다른 것도 좀 써볼까 싶어서 Openbsd를 함 해봤는데..
넘 깔끔하고 좋더군요..
마치 예전에 무거운 윈도에서 콘솔 리눅스를 쓸때의
느낌처럼
리눅스가..기본적으로 이젠 좀 넘 많은 패키지들을..
설치하는것 같아서..
하여간 Openbsd 가볍게 돌아가는걸 보면...
흐믓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