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RDB가 좋아요?"라고 물어볼 가치
지난번 어느 사이트에 나갔을때 들었던 이야기다.
엔티 서버가 모예요?
그럼 SQL서버는 또 모죠?
.....그사람들은 그게 완벽하게 똑같거나 완벽하게
다른 PC에서 구동 되는줄 알고 있었다...
아마 저녁 내기 정도였을런지...
우리나라에 무슨 RDB가 많이 쓰이는지는 나도 확실히 모른다.
제각기 자기네것 많이 쓴다고 하니까...
깔린것으로 쳐야 되는지..실제 그 플랫폼을 이용해서 개발된후
어떻게든 연결된 사람의 전체 사용자수를 봐야 하는지.
여튼 오라클, 인포믹스, 윈도그의 SQL서버, 사이베이스(아직도있나?),
그리고 AS400서 도는 내가 이해하기엔 좀 이상한 RDB들.
내가 느끼는 RDB의 이해란 다음과 같다.
모든 RDB는 isam이라는 아주 기초적인 레코드 배열서부터 시작됐고
팔고 사고 쓰고 지우고 다시 기록하고 하다보니까
이것저것 필요한 부품이 많이 늘어난게 RDB란것이다.
오라클 : 이것도 첨부터 엄청난양의 함수를 지원하지는 않았을것이다.
굉장히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웬만한 쿼리는 한방에 끝난다.
뭐 잘라서 조인해서 뒤집은 다음에 갈라서 쪼개는 작업이
SQL에서 거의 다 된다..
단점 : 그딴 이상한짓 하다보면 느려지는견 당연.
인포믹스 : 가볍게 돌고 빠르게 서비스하면서 싼가격에 잘돈다.
계속 보고 있자면 오라클서 지원하는 기능을
하나씩 하나씩 추가 시키고 있다...언젠가는
오라클 처럼 되겠지만 속도는 보장 못한다
단점 : 오라클 썼던 사람은 지원되지 않는 기능에 답답함을
금치 못한다.
SQL서버 : 일단 왜 이름이 SQL서버인지 궁금하다.
SQL지원하는 MS오피스용 서버라고 해야할듯.
MS오피스와 연동해서 별짓을 다한다.
솔직히 SQL문은 TXT가 최고다. 용량 적고
빠르고..다른데서 쓸수 있고...하지만 SQL서버는
MS오피스와 연동해서 별짓을 다한다.
(아직도 그 짓거릴 다 보진 못했지만.)
하지만, RDB의 개념정도 밖에 이해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금상첨화다... 설치후 마우스만 갔다가 대도
동작하는듯 보인다.(가끔 이상하게 엉키니 꼭 빽업하시길)
그래서인지 빽업하기도 쉽다.
단점 :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통 알수가 없다.
그냥 있는대로만 쓸것.(윈도그의 단점은 그대로
본받았다고 할수있다)
말에 현혹되지 마시길 부탁 드립니다."어떤 RDB가 좋아요"라는
말에 현혹되지 마시길 부탁 드립니다.
"어떤 RDB가 좋아요"라는 질문은 필드에서
사용되는 DB를 말씀 드린겁니다.
그 자체가 DB2든 인터베이스든 상관 없죠.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RDB들은 ORDB도 있고
RDB도 있고 RDB라고 주장하는 DB도 있습니다.
오해의 소지를 없앨려면 아무래도 말이 길어질수 밖에 없는데.
현재 사용되어 지고 있는 DB들은 모두 그 가치가 있고
또 그렇게 쓰여지고 있고...대부분 원하는 목적으로
잘 돌고 있다란 이야기죠.
그 말에 대한 현혹인데
제가 ODB에 대해서 들은건 4~5년 전이였습니다.
약간 각색을 하면
당시 삼보컴퓨터 사장이 모 박사님께 백지 수표를 주었다고 합니다.
ODB개발을 위해서....그분은 사양하고 미국으로 가신걸로 알고요.
그 뒤에 한 일년쯤인가 지나서 그분하고 연관된 회사에서
하는 이틀짜리 ODB 세미나에 갔었지요.
분명 ODB는 RDB하고 틀립니다...교과서엔 그렇게 나오죠.
그런데 튕튕 튀고 싶어하는 마케팅 회사 담당 직원들은
새로 구현된 기능이 ODB에 입각한것이냐란 단순한 질문에
YES라구 응답하면 그게 ODB인줄 아는거죠.
제가 아는한 현재 회사에서 사용되어지는 DB중에 ODB라구 말할수 있는건
하나도 없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RDB도 아닌것이 RDB라는
타이틀 달고 다니는 DB들도 있죠...왜냐?
RDB의 기능을 일부 수용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DB그 자체가 RDB의 설계와 목적에
ODB의 그것과 비교했을때 어느 쪽에 가까운지를
알아셔 보셔알 될듯 합니다.
RDB가 아니라고 해도 RDB처럼 쓸수 있는 DB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isam도 rdb처럼 쓸수가 있죠...
또 실제 그렇게 쓰는곳이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isam을 RDB라고는 안하죠.
똑같이 ODB의 설계목적...
데이타를 오브젝트화 해서 관계를 정의해서 넣고
쿼리할때 그 관계속성만으로 결과치가 나오는란 질문에
제 자신은..아직 그런 DB는 없다고 봅니다.
그 4~5년전에 가서 구경했던 DB..기억이 가물가물한데..
그게 그런걸 구현해 놓았었답니다.
근데 필드에선 안쓰죠....아마 뭔가 안맞는단 이야기겠죠.
가격이나? 시스템 사양이나? 아니면 현실성?때문이긴 하겠지만.
실제 프로그램 하는 사람 입장으로 보면 odb란거 정말 멋있긴 한데
저걸 어데다가 쓸수 있을까 하는 고민은 생깁니다.
그리고, 오라클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쓰인다고 하는데,
그건 어떤 논리로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처음(윗글)에도 말씀 드렸듯이
실제 개발하고 있는 사람?..아니면 어떻게든 개발된후에
그 DB를 사용하게 될 사람?...
아니면 그 DB가 설치된 서버의 갯수?
DB2같은게 서버에 한대 설치됐다고 해서
한명 쓴다고 해야되나....흠.
오라클이 5유저 짜리나 20유저짜리 팔렸다구
다해서 25명 쓰고 있다고 봐야하나? 실제 여러곳 돌아다녀
보니까 오라클 쓰는곳이 그렇게 많진 않더군요.
오라클에 어울리는 회사들은 많이 쓰더군요.
큰회사 사장님들께서 그랜져 많이 타신다구
우리나라 자동차가 그랜져 제일 많다란 이야긴 아닙니다.
DB..회사에서 쓰시는 분들은 대충 아실텐데요?
성능이나 상황에 따라서 한대에 깔아서 리미트 없이 쓰는것도 있고
여러대에 설치해서 쓸때도 있고...
리눅스 패키지 설치본으로 설치할때 설치되는 DB들은
사용되어지는 DB로 보나?...아니면 아닌가?
금융권 회사 따로..연구소 따로...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어느 DB가 많이 쓰이고 있는지는 의문이
많이 갑니다...
보통은 오라클 많이 씁니다...저도 그렇게 말하고 다니긴 합니다.
그런데 실제 사이트 돌아다녀보면...
실제 오라클 갯수가 그렇게 많질 않다란 겁니다.
그리고 오라클 아직 구입안하신 회사중 구입하실 회사들...
혹시 이 글 읽게 될 이유도 확률도 없겠지만
조심 하시라는것..
이유는 뉴스나 사설등 찾아보시면 심심찮게 나올겁니다.
구입목적으로 전화 건후 일단 소형 싸이트라고 하면
대접 아주 안좋습니다....
전에 오라클 회장이 우리나라 왔을때(이것도 한참전 이야기)
그 현장에 갔었지요...그덕에 호텔 밥도 얻어먹긴 했지만,
그때 버젼이 7.2에서 7.3넘어갈때 였는데 그 회장님
그때 말로 참 꿈도 야무지다라고 생각 했었습니다.
근데 지금은 차근차근 뭔가 이루어 지는 느낌도 들고..
정확한건 아니지만요.
제가 컴퓨터 한게 좀 오래되긴 했는데
DB는 아니지만 계산하고 DB처럼 쓸수 있는게
비지켈크란게 있었습니다...스프레드쉬트.
OS시장은 참 많이 바뀌었는데 DB시장은 별로 안 바뀐듯해요.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면..
"어느 디비가 (RDB였나) 좋아요?"란 질문에 답은
그냥 쓰고 계시는게 젤일 좋습니다요란 대답입니다.
제각기 장단점이 있으니까.
이글은 제 글 읽어 보시고 답장 쓰신분들께 드리는 글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빼버릴뻔 했는데요.
어떤분께서 MSSQL이 RDB가 아니라고 하셨는데
사이베이스는 RDB인지 질문 드리고 싶은데요?
만일 사이베이스가 RDB라고 대답하신다면
MSSQL도 RDB입니다...
아니라고 하면 아니겠지만요.
MSSQL이 예전엔 어떤 모습이였는지 잘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MS제품은 어쩔수 없지 않으면 안쓰기 때문에요)
사이베이스 엔진이 MSSQl엔진으로 됐다고 한 이후에
제가 MSSQL사용해 보았기 때문에 말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글세요.. 어떤 RDB가 좋다고는 할 수가 없을듯하네요
안녕하세요?
글세요.. 어떤 RDB가 좋다고는 할 수가 없을듯하네요.
물론, 제가 알기론 좁은 소견입니다만...
oracle / db2 / informix / sybase / 기타 오픈 소스의 db들...
은 각기 나름되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각 분야에서-
쓰이는 용도가 나름되로 있다고 생각되고 있구요.
지금은 어떨런지 모르겠습니다. 한때는 금융쪽에선 사이베이스가 힘을
발휘했다고 들었습니다. 이건 들은 이야기이니... ^^;
지금은 오라클도 많이 쓰고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현재 한국에선 오라클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인포믹스/사이베이스/db2의 좋은 기능들은 사장(?) 당하고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저두 오라클써여 -_-;;)
사이베이스 / db2는 솔직히- 모르겠군요. 일단, 기능과 성능면에선 오라클
인포믹스에 뒤지지 않는다고 봅니다.
요즘, 인포믹스도 많이 쓰더군요...
확실한건- 오라클은 다른 db에 비해 덩치가 크다는 겁니다.
mysql , postgreSQL 등은 언급하셨는데... 장단이 있을껍니다.
상용 db는 상용에 맞게 지원을 하는것이 있구요. 만약, mySQL이 오라클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
따라서- 어떤 RDB가 좋아요..라는 말은 정의 내리기 힘든 말이군요...
현재 DB를 쓰시는 분들은 지금 쓰고 있는 DB가 좋겠죠...
^^;
<b>Postgres</b> 옛날에 잠깐 썼었는데요. 형편없는 안정성
Postgres 옛날에 잠깐 썼었는데요. 형편없는 안정성하고 느려터진 성능으로 울화통 을 터지게한 DB로 기억되네요. 물론 지원하는 기능은 공개용이지만 상용DB 못지 않게 많습니다. 지금은 어떨런지...
MySQL 저는 MySQL을 RDB라고 부르기엔 한참 모자란 DB라고 봅니다. 속도는 가장 빠르지만 기능이 없어도 너무 없습니다. 대용량 크리티컬한 기업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참조 무결성 조차 체크하지 않는 똥배짱 DB... ㅡ.ㅡ;)
하지만 대개 중소규모 웹사이트에서 사용하기엔 이만한 DB도 없다는게 정
설이죠. PHP랑 가장 잘 붙고, 쉽다는게 장점입니다.
M$ SQL Server 잠깐 써봐서 뭐가 뭔지는 잘 모르겠지만... 웬만한 튜닝 같은건 자체적으 로 하는 것 같음... 오라클은 손으로 SGA 사이즈 조절해줘야하는데 동적으로 메모리를 알아서 할당하는 것 같음..
장점은 일단 정말 쉽다는것... 윈도그랑 찰떡궁합이라는것... ASP 하시는
분들이 많이 쓰시더군요.
Informix 학교 다닐때 잠깐 써본 DB로 오라클 못지 않은 우수한 DB 인데도 주변에 써본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국내에선 인기없는 DB
내용무
내용무
다른 말은 안할께요.다른 것은 틀려도 그냥 지나칠 수 있는데..
다른 말은 안할께요.
다른 것은 틀려도 그냥 지나칠 수 있는데.. 이것만은 용서가 안되네요.
누가 isam에 여러가지 기능들을 붙이다 보니까 RDB가 되었다고 하던 가
요. 아주 말도 않되는 사기 당하신 것 같은데.
다음부터 남이 한 말 그대로 믿고 글에 인용하지 마세요. DBA 그룹에 올
렸다간 바보에 왕따 취급 당해요.
제가 아는 정도내에서 말씀드리죠. 또 이왕에 PHP와 연관해서상용
제가 아는 정도내에서 말씀드리죠. 또 이왕에 PHP와 연관해서
상용디비
오라클: 좋은 만큼 값도 굉장히 비쌈. 위에서 query가 복잡하면 느려진다고 하
는데 그건 천만의 말씀. 그건, 어디까지나 SQL 작성자의 잘못.
SQL 튜닝이라고 들어봤나요? 인덱스 스캔, 테이블 스캔, nested join,
merge join등을 구분하실줄 아시는지요?(죄송, 제가 아는체 하는게 아닙니
다.) 7.3 은 RDB 였는데, 8.0을 기준으로 ORDB로 바뀌었음.
(ORDB 는 RDB와 OODB 의 중간임)
PHP 와 잘돌아감
DB2: IBM 에서 만든 디비 결코 오라클에 뒤지지 아니 앞설지로 모른다. 하지
만 마케팅에서는 후위에 위치하고 있음.
PHP 와 잘돌아감
mssql : 윈도에서만 돌아감. NT에 한번 깔아봤다가 며칠뒤 하드 용량문제로
바로 지워버려서 자세한건 잘 모르겠네요.
PHP와 같이 돌릴수는 있음.
오픈 소스 (공짜 디비):
mysql: 속도 만큼은 타 디비가 따라오지 못함. 하지만 트랜잭션 기능이 없고,
(요즘에 sleepy db(?) 인가하고 하고 합쳐서 그 기능을 구현중이라고 하죠)
또한 sub query도 지원안하는등 제약점이 많음.
(물론 임시 테이블 작성을 통해 비스므로 sub query를 구현할수는 있음.)
분명 윈도용도 있지만, unix/linux 쪽 mysql 성능은 못따라감.
PHP 와 잘돌아감. 개인적으로 날아다니는 속도와 limit 연산자 빼고는 별로
맘에 안들음.(어디까지나 개인적이 의견이니 토달지 마시길.^^)
postresql: 분명 오픈소스치고, 기능만큼은 오라클에 버금가는 ORDB 인데, 예
전에 제가 쓸땐 속도가 느렸던걸로 기억함. 안정성에도 약간 문제가 있듯. 지
금은 어떤지 잘 모르겠음.
그리고, 이디비를 바탕으로 상용디비가 만들어졌었는데 잘 기억이 안나네요.
PHP 와 잘돌아감
interbase: 델파이 만든 볼랜드 아시죠? 거기서 전략상, 상용으로 내놓던 디
비를 올해를 기점으로 오픈소스화했음. 내가 생각하기론, 공짜로 쓸수 있는 디
비중에는 최고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 윈도용/hp,sun 등에서 쌩쌩 돌아감.
헌데, 아직 dual processor를 100% 활용하지 못함. 즉 cpu 두(여러)개 다느
니, 좋은 cpu 하나를 달아 돌리는게 현상태로서는 낫다고 함.
PHP 와 잘돌아감(헌데 현상태에서 문서화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음. 지금 공부
중). 원래 상용으로 쓰이던 디비여서 그런지, 문서화도 잘되있고 기능면에서
오라클에 근접함
OODB 객체 디비
지금 생각나는건, 회사명이 objects 사인가?
개체 디비를 만들어 내는 회사중 하나죠.
전에 자바 공부할때, pse pro for java(single user용) 던가??(c++ 버전도
물론 있음.)를 잠깐 써봤음.
OODB 의 장점은 avi, mpeg 같은 stream 화일을 저장/관리하기에 편하고 강력
하다고 들었음.
물론, 이런 화일을 RDB에 저장하는건 가능하지만, 서비스 하기엔 벅차죠.
요즘 XML 디비란것도 있죠. 근데 이건 어디에 집어넣야지???
저는 현재 MySQL을 사용하고 있고 좋아하는 편입니다만,10만 ro
저는 현재 MySQL을 사용하고 있고 좋아하는 편입니다만,
10만 row가 저장된 테이블 (관계 따위는 없는 단순 table)
에서 뭐하나 SELECT 하려면 정말 오래걸리던데요..
오라클같은데선 row수가 아무리 많아져도 어느정도 성능을
내준다는데, mysql은 10만정도 이상부터는 너무 느려서
못써먹겠습니다.. (심심하신 분은 간단한 스크립트짜서 INSERT
10만개만 해보시면 실감하실 겁니다.. INSERT는 엄청 더 느리져)
제가 궁금한것은.. 정말 오라클 쓰면 10만 이상에서도 빠른가요?
혹은.. MySQL에서도 그런 대형 테이블에서 빠르게 검색하는
방법이 있나요?.. 만약 있다면.. MySQL은 좋은 디비 입니다.. ^^
index 는 거셨나요?100 만건정도 되고. 오라클을 잘 다루면
index 는 거셨나요?
100 만건정도 되고. 오라클을 잘 다루면.
오라클이 더 빠르지만..
그냥 무식하게 하는 거라면
100 만 건이라도 mysql 이 더 빠를 것 같은데요..
mysql 의 주장은 1억건 이하에서 가장 빠른 db 니..
쩝..
후다닥.
김성헌 wrote..
: 저는 현재 MySQL을 사용하고 있고 좋아하는 편입니다만,
: 10만 row가 저장된 테이블 (관계 따위는 없는 단순 table)
: 에서 뭐하나 SELECT 하려면 정말 오래걸리던데요..
: 오라클같은데선 row수가 아무리 많아져도 어느정도 성능을
: 내준다는데, mysql은 10만정도 이상부터는 너무 느려서
: 못써먹겠습니다.. (심심하신 분은 간단한 스크립트짜서 INSERT
: 10만개만 해보시면 실감하실 겁니다.. INSERT는 엄청 더 느리져)
:
: 제가 궁금한것은.. 정말 오라클 쓰면 10만 이상에서도 빠른가요?
: 혹은.. MySQL에서도 그런 대형 테이블에서 빠르게 검색하는
: 방법이 있나요?.. 만약 있다면.. MySQL은 좋은 디비 입니다.. ^^
위에서 말한 DB2는 IBM 에서 만든 DB2를 가리킴.같은 이름을
위에서 말한 DB2는 IBM 에서 만든 DB2를 가리킴.
같은 이름을 가진 소형 DB2를 얘기하는게 아님.
모 사이트에서 읽었는디...마소에서 만든 건... RDB로 포함 안해
모 사이트에서 읽었는디...
마소에서 만든 건... RDB로 포함 안해 주던디요...
관계 재정의가 제대로 안된다고 해서리...
단순히 관계정의만 하려면 ODB로도 충분하죠.
(1998년에 데이터베이스 개론 강의 들을때 중간고사 문제였음당...
RDB와 ODB 차이점.... 캬캬캬)
마소에서 만든 그건... ODB입니당...
mySQL이라던가... Pr...SQL 처럼 말임당~
개인적으로는 인포믹스와 오라클을 알고 있고...
인포믹스를 좀 더 좋아하죠.
rika wrote..
: 지난번 어느 사이트에 나갔을때 들었던 이야기다.
: 엔티 서버가 모예요?
: 그럼 SQL서버는 또 모죠?
: .....그사람들은 그게 완벽하게 똑같거나 완벽하게
: 다른 PC에서 구동 되는줄 알고 있었다...
: 아마 저녁 내기 정도였을런지...
:
: 우리나라에 무슨 RDB가 많이 쓰이는지는 나도 확실히 모른다.
: 제각기 자기네것 많이 쓴다고 하니까...
:
: 깔린것으로 쳐야 되는지..실제 그 플랫폼을 이용해서 개발된후
: 어떻게든 연결된 사람의 전체 사용자수를 봐야 하는지.
:
: 여튼 오라클, 인포믹스, 윈도그의 SQL서버, 사이베이스(아직도있나?),
: 그리고 AS400서 도는 내가 이해하기엔 좀 이상한 RDB들.
:
: 내가 느끼는 RDB의 이해란 다음과 같다.
: 모든 RDB는 isam이라는 아주 기초적인 레코드 배열서부터 시작됐고
: 팔고 사고 쓰고 지우고 다시 기록하고 하다보니까
: 이것저것 필요한 부품이 많이 늘어난게 RDB란것이다.
:
: 오라클 : 이것도 첨부터 엄청난양의 함수를 지원하지는 않았을것이다.
: 굉장히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웬만한 쿼리는 한방에 끝난
다.
: 뭐 잘라서 조인해서 뒤집은 다음에 갈라서 쪼개는 작업이
: SQL에서 거의 다 된다..
: 단점 : 그딴 이상한짓 하다보면 느려지는견 당연.
:
: 인포믹스 : 가볍게 돌고 빠르게 서비스하면서 싼가격에 잘돈다.
: 계속 보고 있자면 오라클서 지원하는 기능을
: 하나씩 하나씩 추가 시키고 있다...언젠가는
: 오라클 처럼 되겠지만 속도는 보장 못한다
: 단점 : 오라클 썼던 사람은 지원되지 않는 기능에 답답함을
: 금치 못한다.
:
: SQL서버 : 일단 왜 이름이 SQL서버인지 궁금하다.
: SQL지원하는 MS오피스용 서버라고 해야할듯.
: MS오피스와 연동해서 별짓을 다한다.
: 솔직히 SQL문은 TXT가 최고다. 용량 적고
: 빠르고..다른데서 쓸수 있고...하지만 SQL서버는
: MS오피스와 연동해서 별짓을 다한다.
: (아직도 그 짓거릴 다 보진 못했지만.)
: 하지만, RDB의 개념정도 밖에 이해하지 못한
: 사람에게는 금상첨화다... 설치후 마우스만 갔다가 대도
: 동작하는듯 보인다.(가끔 이상하게 엉키니 꼭 빽업하시길)
: 그래서인지 빽업하기도 쉽다.
: 단점 :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통 알수가 없다.
: 그냥 있는대로만 쓸것.(윈도그의 단점은 그대로
: 본받았다고 할수있다)
MySQL이 ODB입니까? 버젼 바뀌면서 바뀌었나?제가 알기론 분
MySQL이 ODB입니까? 버젼 바뀌면서 바뀌었나?
제가 알기론 분명히 RDB인데요? relationship을 위한 table, attribute
등이 명백히 존재하는....
??
그런가...?죄송함다...
그런가...?
죄송함다...
핫? 죄송하실것 까지야? :)어차피 실수 일텐데요.... 멀.
핫? 죄송하실것 까지야? :)
어차피 실수 일텐데요.... 멀.
MySQL, mSQL 같은 소형 DB는 아직까지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인
것으로 알고 있어요. 버젼이 많이 바뀌지 않았다면...
혹시 압니까? 님 말씀대로 odb일 수도 있는 것이구요~ :)
p.s) 큭큭 이참에 확인이나 함 해봐야겠습니다. ^^;;
음냐...안냐셔요.mysql과 p..sql (--;) 등은 제외인
음냐...안냐셔요.
mysql과 p..sql (--;) 등은 제외인가요..?
글 잘 읽었구요....
DB 는 개념이 넘 어려워서..
mysql을 그냥 저냥 개념없이
사용은 하고 있지만
모르겠네요....
mysql을 처음 다루어본 저로선
일반 text 화일로 손수 데이터를
작성 하다가 DBMS 를 이용하니
이렇게 편할수가.....
잡담 이었습니다. 죄송
고거 죄송하지만 차이점좀 설명해 주시면 캄샤...
고거 죄송하지만 차이점좀
설명해 주시면 캄샤...
ca 와 후지쯔 에서 개발한 자스민 이 바로 odb 중 하나 전북도
ca 와 후지쯔 에서 개발한 자스민 이 바로 odb 중 하나
전북도청이 자스민 쓰는걸로 알고있음
이론상으로는 오라클 쨉도 안되든디 어차피 이론
interbase 가 엄청 뜰 거라는 소문이 판치든디요
odb는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입니다. C++의 객체지향 기법을 모방하여
odb는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입니다. C++의 객체지향 기법을 모방하여
디자인되 디비입니다. rdb처럼 데이타를 단순하게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
이 아니라 객체이의 attribute 와 method를 같이 디자인하게 됩니다.
그런데 기존의 사용자들이 rdb에 익수해져 있어 변형된 ordb가 최근에 많
이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poststres도 일부 ordb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
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