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한번-FreeBSD와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은

geekforum의 이미지

하하하 재미있게들 토론을 하는데 죄송....^^

FreeBSD와 RedHat과 Debian이라....^^

FreeBSD는 커널의 소스가 매우 깔끔해요....사용자 측면에서도 인스톨때 필요한 파일이 있음 자동으로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과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멋졌어요...^^
FreeBSD는 한곳에서 커널관리와 프로그램을 관리해서인지 소스들이 깔끔해요...^^

반면에 리눅스 커널은 여러사람들이 업을하구 필요하면 시스템콜이라던지
함수들을 만들어서 소스보기가 힘도 들고 여러사람이 많드니까 커널 업하는 시간은 빠르겠죠...^^ 레드햇은 사용자 편의에 중심을 둔거같고
데비안은 사용자 편의보다 안정성에 중심을 둔거 같아요....^^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죠......^^

그러니까 맘에 드는 배포판이나....운영체제를 쓰는 것이 당연하겠죠...^^ 전 맨드레이크도 맘에 들더군요....^^ 넘 부피가 크고 느리다는게 단점이지만....컴만좋다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port의 패키지 관리방법과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찾는다면
누가 어떻게 말해도 debian일 겁니다.

일단 중앙집중관리를 하고 이런저런 회사에서 달라붙어서
패키지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한군데서 할 수 있져..

dselect를 쓰는 모든 사람이 그러하듯
아직 래드햇의 패키징은 debian을 따라오지는 못할겁니다.
스페이스와 엔터 몇번만 치면 모든 패키지가 최신 상태를 유지하거든여..

이 토론의 원래 주제가 패키지 관리방법이었던 만큼
그 분야에서는 debian을 따라오지 못할거 같습니다.

물론 redhat의 gui설정프로그램같은 것들은 물론 일반 사용자들이
리눅스를 많이 쓸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분명합니다.

박현옥 wrote..
: 하하하 재미있게들 토론을 하는데 죄송....^^
:
: FreeBSD와 RedHat과 Debian이라....^^
:
: FreeBSD는 커널의 소스가 매우 깔끔해요....사용자 측면에서도 인스톨때 필요한 파일이 있음 자동으로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과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멋졌어요...^^
: FreeBSD는 한곳에서 커널관리와 프로그램을 관리해서인지 소스들이 깔끔해요...^^
근데 커널 소스 깔끔한거하고 이런거하고 관련이 있나여??
:
: 반면에 리눅스 커널은 여러사람들이 업을하구 필요하면 시스템콜이라던지
: 함수들을 만들어서 소스보기가 힘도 들고 여러사람이 많드니까 커널 업하는 시간은 빠르겠죠...^^ 레드햇은 사용자 편의에 중심을 둔거같고
: 데비안은 사용자 편의보다 안정성에 중심을 둔거 같아요....^^
:
: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죠......^^
:
: 그러니까 맘에 드는 배포판이나....운영체제를 쓰는 것이 당연하겠죠...^^ 전 맨드레이크도 맘에 들더군요....^^ 넘 부피가 크고 느리다는게 단점이지만....컴만좋다면....^^

준호의 이미지

궁금한 게 있는데, Debian GNU/Linux 오리지널을 제외한
deb기반 리눅스 배포본도 이렇게 되나요? 즉 원래 debian 패키지
트리와 sync하게 되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트리를 관리하게 되는지
모르겠군요(e.g. Corel과 Zest 등). 만약 독자적 관리를 해야 한다면
debian의 장점이 상당히 퇴색하리라 봅니다만...
port도 "단지 하나"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죠.

송응규 wrote..
: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port의 패키지 관리방법과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찾는다면
: 누가 어떻게 말해도 debian일 겁니다.
:
: 일단 중앙집중관리를 하고 이런저런 회사에서 달라붙어서
: 패키지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한군데서 할 수 있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물론 독자적으로 합니다. zest는 안 나왔으니 몰라도 corel과
stormix는 그렇습니다. 데비안 트리와 sync하려면.. 자기네들
패키지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corel, stormix 배포판이 만들어져야
하는 데 그러기는 어려우니까요. 그 회사들이 데비안 개발자들에게
끌려다니기도 싫어하겠구요.

그래도 오리지널 deb 트리가 충분히 방대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그다지
많은 혼란은 없습니다. 다른 데비안 기반 배포본들도 단순히 .deb 기반
배포판이 아니라 아직까지는 데비안에서 만들어진 패키지를 수정해서
이용하고 있구요. 이 회사들 영향력이 커지면 문제가 되겠죠..

준호 wrote..
: 궁금한 게 있는데, Debian GNU/Linux 오리지널을 제외한
: deb기반 리눅스 배포본도 이렇게 되나요? 즉 원래 debian 패키지
: 트리와 sync하게 되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트리를 관리하게 되는지
: 모르겠군요(e.g. Corel과 Zest 등). 만약 독자적 관리를 해야 한다면
: debian의 장점이 상당히 퇴색하리라 봅니다만...
: port도 "단지 하나"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죠.
:
: 송응규 wrote..
: :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 port의 패키지 관리방법과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찾는다면
: : 누가 어떻게 말해도 debian일 겁니다.
: :
: : 일단 중앙집중관리를 하고 이런저런 회사에서 달라붙어서
: : 패키지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한군데서 할 수 있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준호 wrote..
: 궁금한 게 있는데, Debian GNU/Linux 오리지널을 제외한
: deb기반 리눅스 배포본도 이렇게 되나요? 즉 원래 debian 패키지
: 트리와 sync하게 되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트리를 관리하게 되는지
: 모르겠군요(e.g. Corel과 Zest 등). 만약 독자적 관리를 해야 한다면
: debian의 장점이 상당히 퇴색하리라 봅니다만...
: port도 "단지 하나"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죠.
:

Corel 리눅스를 지난 1월에 설치하였을 때는 Debian 기반인 듯 하여
여러가지 패키지를 어떻게 올리나를 무지 고민했는데 결국 rpm을
사용하여 올렸죠. Corel의 경우 1월달 당시에는 패키지들의 버전이
너무 낮았고 qt같은 것은 이름을 ccqt와 같이 좀 다르게 해둬서
결국 tar를 풀고난다음에 일일이 라이브러리의 이름을 바꿔준 후
컴파일했고... 패키지들의 버전이 좀 구닥다리가 올라가 있었죠.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에 데비안의 패키지관리방식으로 패키지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몰랐기때문에 닭짓을 했는지도 모르지만...
코렐은 한 눈에 보기에도 레드햇계열처럼 보이도록 만들었던데요...
즉, 데비안과 레드햇을 합쳐놓은 듯 한데... 항상 그렇듯이
장점+장점 = 단점+단점 이되죠.
(제가 몰라서일지도 모르니 필요하시면 멜주세요. 1.0을 제가 CD로
구워뒀거던요. 지금은 필요없지만... 드리죠)

: 송응규 wrote..
: :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 port의 패키지 관리방법과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찾는다면
: : 누가 어떻게 말해도 debian일 겁니다.
: :
: : 일단 중앙집중관리를 하고 이런저런 회사에서 달라붙어서
: : 패키지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한군데서 할 수 있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orel같은 경우를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군여..T.T
그 경우는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얼핏 듣기로**
corellinux를 이용해서 깐 다음에 원래 debian 패키지 트리를
이용해서 업그레이드를 한다고 했던거 같은데...
(물론 까는 부분은 gui를 통해서 상당히 편하게 되어있구여..)

확실히는 모르겠습니다.
아는 사람 있으면 부탁합니다.

그건 그렇다 치더라고 패키지 관리하는 프로그램만을 보더라도
rpm으로 일일이 받아서 업글하는 것보단 dselect로 받는 것이
출처가 다른 이런 저런 패키지가 섞이지 않으면서
최근의 패키지로 유지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라곤 생각합니다.

준호 wrote..
: 궁금한 게 있는데, Debian GNU/Linux 오리지널을 제외한
: deb기반 리눅스 배포본도 이렇게 되나요? 즉 원래 debian 패키지
: 트리와 sync하게 되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트리를 관리하게 되는지
: 모르겠군요(e.g. Corel과 Zest 등). 만약 독자적 관리를 해야 한다면
: debian의 장점이 상당히 퇴색하리라 봅니다만...
: port도 "단지 하나"이기 때문에 의미가 있는 것이죠.
:
: 송응규 wrote..
: :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 port의 패키지 관리방법과 견줄 수 있는 리눅스 배포판을 찾는다면
: : 누가 어떻게 말해도 debian일 겁니다.
: :
: : 일단 중앙집중관리를 하고 이런저런 회사에서 달라붙어서
: : 패키지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한군데서 할 수 있져..

김정균의 이미지

송응규 wrote..
: 그건 그렇다 치더라고 패키지 관리하는 프로그램만을 보더라도
: rpm으로 일일이 받아서 업글하는 것보단 dselect로 받는 것이
: 출처가 다른 이런 저런 패키지가 섞이지 않으면서
: 최근의 패키지로 유지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라곤 생각합니다.

좀 동떨어진 말일지도 모르는데.. 만약 등록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있다면.. 어떻게되죠? 결국에는 찾아서 설치를 해야 할텐데..
그렇다면 그 의미는 퇴색이 되지 않으련지요.

또한 다른 배포판들도 자기가 사용하는 벤더에서 제공하는 것만
받는다면 결국에는 별 차이가 없지 않을까요?

또한 기본적으로 패키징 되어 있는 기능들이 맘에 들지 않아
변경을 하고 싶을때는 또 어떨까요.

흠 그러고 보니.. 논점 타겟이 분명치 않군요.
일반 사용자 기준입니까 아니면 전문 관리자로서의 기준입니까?

일반 사용자 기준이라면 공감은 가지만 전문 관리자로서의 기준이라면
결코동의하고 싶지 않군요. 후자라면 dev든 rpm이든 모두 그냥 갔다가
설치한다는 것은 정말 무의미 한 짓이라고 생각됩니다.

최적화를 생각안하는 관리자란.. 쩝.. 하긴 이런 관리자들은 redhat
계열이 더 많죠. 물론 저도 여기에 속하고... --;
나름대로 최적화에 대해서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 부류에
속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수가 없군요 T.T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런 시간에 이렇게 많은 쓰레드가 생기다니...
다른 분들도 저와 비슷한 시간대에 활동하시는거 같군여..^^
(일찍자고 일찍일어나는 착한 어린이가 됩시다!!)

김정균 wrote..
: 송응규 wrote..
: : 그건 그렇다 치더라고 패키지 관리하는 프로그램만을 보더라도
: : rpm으로 일일이 받아서 업글하는 것보단 dselect로 받는 것이
: : 출처가 다른 이런 저런 패키지가 섞이지 않으면서
: : 최근의 패키지로 유지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이라곤 생각합니다.
:
: 좀 동떨어진 말일지도 모르는데.. 만약 등록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 있다면.. 어떻게되죠? 결국에는 찾아서 설치를 해야 할텐데..
: 그렇다면 그 의미는 퇴색이 되지 않으련지요.
:
: 또한 다른 배포판들도 자기가 사용하는 벤더에서 제공하는 것만
: 받는다면 결국에는 별 차이가 없지 않을까요?
:
: 또한 기본적으로 패키징 되어 있는 기능들이 맘에 들지 않아
: 변경을 하고 싶을때는 또 어떨까요.
:
글쎄여.. 그 문제는 또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래드햇이나 데비안이나
FreeBSD나 패키지화 되어있지 않은 프로그램이라면 알아서 찾아 설치를
해야 하는 건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전 대부분의 경우 데비안의 패키징이 맘에 들게 되어있다고 주장하고 싶다만
그런 면은 자기 개인적인 면에 따라 다를 꺼 같구여...

: 흠 그러고 보니.. 논점 타겟이 분명치 않군요.
: 일반 사용자 기준입니까 아니면 전문 관리자로서의 기준입니까?
:
: 일반 사용자 기준이라면 공감은 가지만 전문 관리자로서의 기준이라면
: 결코동의하고 싶지 않군요. 후자라면 dev든 rpm이든 모두 그냥 갔다가
: 설치한다는 것은 정말 무의미 한 짓이라고 생각됩니다.
:
저도 그 부분은 마찬가지입니다.
전문 관리자로써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패키지로 깔지 않고
좀더 튜닝해서 쓰는 사람이라면 결국 다른 문제라고 생각이 드네여..
: 최적화를 생각안하는 관리자란.. 쩝.. 하긴 이런 관리자들은 redhat
: 계열이 더 많죠. 물론 저도 여기에 속하고... --;
: 나름대로 최적화에 대해서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 부류에
: 속해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수가 없군요 T.T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전에는 모드 프로그램을 직접 컴파일해서 깔아보자는 마음도 있었지만
이렇게 프로그램이 변화가 빠르고 많이 생겨나는 시대에
그런거 자체가 엄청난 시간낭비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여..
(물론 중요한 서버의 경우는 다르겠지만..)

그래서 패키징이 중요한걸지도..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는 데비안의 팬입니다.

전에 프세에서 제공했던 hamm을 깔아보고는 반해있었지만, 네트웍이 안되는 관계로 RedHat 계열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4달전에 지금 일하는 사무실에서 한번 네트웍으로 깔아보고 뻑 가버렸습니다.

네트웍으로 아주 깔끔하게 설치되더군요.

그리고 dselect.....데비안 어렵게 생각하는 것 중 하나가 이건데.....
쓰다보면 쉽지는 않아도 아주 합리적인 것이, 도대체 RPM을 왜 쓰나하는 생각마저 들게 합니다.

게다가 뻑 가버린 update...레드햇 계열엔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시도는 되고 있는데, 아직 불안하다고 들었거든요.....

FreeBSD도 port란 것을 쓴다는데.....FB는 써 본 적이 없어서 뭐라고 할 수는 없고요.

암튼 이거에 반해버려서 없는 돈 털어서 케이블 깔아서 써 버렸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견고하고 합리적인 패키지 관리에 잘 깔았다는 생각만 들 뿐입니다.
(솔직히, 레드햇 계열 때는 약간씩 맘에 안 드는 부분이 있었거든요)

뭐, 제 생각의 문제는....
Debian GNU/Linux 라고 불릴 만큼 GNU 진영이라서 상용패키지가 deb로는 안 나오는 정도인데....
요새는 상용은 전부 RPM으로 나오니까요....
(none free로 netscape 등은 비공식(?)적으로 제공되기는 하지요)
뭐, 상용 안 써도 될만큼의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고....
정 안 되면 'rpm -ihv --force --nodeps ...' 해서 쓰면 되지만서도요...

이상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음... 제 경우에는
레드햇을 한 1년 쓰다가 그 후로는 쭉 데비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 처음 설치하고 설정할 때 빼고는
데비안이 관리하기나 프로그램 설치/제서 하기가 훨씬 편하기 때문이었죠.
Debian은 FreeBSD와 ReadHat의 중간 쯤 된다고 생각됩니다.
요즘 일때문에 FreeBSD를 써보려고 노력중인데...
잘 모르겠네요. www.kr.freebsd.co.kr에 있는 글들을 몇 개 읽어보면
FreeBSD가 더 편하다고 하신는 분들도 많던데.. 제 경우에는
데비안의 dselect가 넘 좋아서...

FreeBSD는 잘 모르겠고... 그렇다고 redhat계열은 넘 무겁고 잡다한게 많이 들어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debian도 괜잖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박현옥 wrote..
: 하하하 재미있게들 토론을 하는데 죄송....^^
:
: FreeBSD와 RedHat과 Debian이라....^^
:
: FreeBSD는 커널의 소스가 매우 깔끔해요....사용자 측면에서도 인스톨때 필요한 파일이 있음 자동으로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과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멋졌어요...^^
: FreeBSD는 한곳에서 커널관리와 프로그램을 관리해서인지 소스들이 깔끔해요...^^
:
: 반면에 리눅스 커널은 여러사람들이 업을하구 필요하면 시스템콜이라던지
: 함수들을 만들어서 소스보기가 힘도 들고 여러사람이 많드니까 커널 업하는 시간은 빠르겠죠...^^ 레드햇은 사용자 편의에 중심을 둔거같고
: 데비안은 사용자 편의보다 안정성에 중심을 둔거 같아요....^^
:
: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죠......^^
:
: 그러니까 맘에 드는 배포판이나....운영체제를 쓰는 것이 당연하겠죠...^^ 전 맨드레이크도 맘에 들더군요....^^ 넘 부피가 크고 느리다는게 단점이지만....컴만좋다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암거나 상관없지 않나요?
전 FreeBSD를 써보진 않았지만(깔아보려곤 시도중에 셤기간이란걸 생각하곤 바로 중단했죠...다들 아시죠? 중독현상..암것두 못하죠)
보통 초보자들은 래드햇으로 시작을 하죠...편하니깐..여러면에서..
설치하고...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패키지들을 구성하고...
프로그램들 가져다가 깔고.....그게 리눅스의 매력이 아닐런지...
헐.. 이사하고 나면 FreeBSD 깔아보고는 싶네요...
^^
이상 초보 빨간만두의 잡담이었음다...

박현옥 wrote..
: 하하하 재미있게들 토론을 하는데 죄송....^^
:
: FreeBSD와 RedHat과 Debian이라....^^
:
: FreeBSD는 커널의 소스가 매우 깔끔해요....사용자 측면에서도 인스톨때 필요한 파일이 있음 자동으로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과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멋졌어요...^^
: FreeBSD는 한곳에서 커널관리와 프로그램을 관리해서인지 소스들이 깔끔해요...^^
:
: 반면에 리눅스 커널은 여러사람들이 업을하구 필요하면 시스템콜이라던지
: 함수들을 만들어서 소스보기가 힘도 들고 여러사람이 많드니까 커널 업하는 시간은 빠르겠죠...^^ 레드햇은 사용자 편의에 중심을 둔거같고
: 데비안은 사용자 편의보다 안정성에 중심을 둔거 같아요....^^
:
: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죠......^^
:
: 그러니까 맘에 드는 배포판이나....운영체제를 쓰는 것이 당연하겠죠...^^ 전 맨드레이크도 맘에 들더군요....^^ 넘 부피가 크고 느리다는게 단점이지만....컴만좋다면....^^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모니모니해도 레드햇은 리눅스계의 윈도그같은 존재인것만은 사실이죠..
나쁜쪽으로 얘기하는게 아니구요,
윈도구가 컴퓨터를 쉽게 사용하게 한 장본인이듯..
레드햇도 그런 역할을 한거겠죠...
근데 그러느라고(쉽게 만드느라고) 많은 부분에 GUI를 도입하고,
손을 많이 대 노았는데.. 전 개인적으로 이점이 별로 맘에 안들어서 레드햇을 쓰지 않습니다만..리눅스가 대중적인 운영체제로 되고, 많이 쓰이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과정이랄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너무 윈도그를 닮아가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죠..

모 현옥님 말씀대로 일장일단이 있는것이니까.. 자기 취향대로 쓰면 되는거겠죠..

박현옥 wrote..
: 하하하 재미있게들 토론을 하는데 죄송....^^
:
: FreeBSD와 RedHat과 Debian이라....^^
:
: FreeBSD는 커널의 소스가 매우 깔끔해요....사용자 측면에서도 인스톨때 필요한 파일이 있음 자동으로 접속해서 필요한 파일과 업그레이드를 하더군요....^^ 멋졌어요...^^
: FreeBSD는 한곳에서 커널관리와 프로그램을 관리해서인지 소스들이 깔끔해요...^^
:
: 반면에 리눅스 커널은 여러사람들이 업을하구 필요하면 시스템콜이라던지
: 함수들을 만들어서 소스보기가 힘도 들고 여러사람이 많드니까 커널 업하는 시간은 빠르겠죠...^^ 레드햇은 사용자 편의에 중심을 둔거같고
: 데비안은 사용자 편의보다 안정성에 중심을 둔거 같아요....^^
:
: 둘다 장점과 단점이 있죠......^^
:
: 그러니까 맘에 드는 배포판이나....운영체제를 쓰는 것이 당연하겠죠...^^ 전 맨드레이크도 맘에 들더군요....^^ 넘 부피가 크고 느리다는게 단점이지만....컴만좋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