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리눅스 2000에 대하여...

geekforum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저는 search_go입니다.

얼마전에 서울 Coex에서 글로벌 리눅스2000행사가 열렸었죠?
그런데 과연 우리나라는 그런 행사를 개최하고도 잘한 행동을 했을까요?

첫째, 행사기간이 잘못되었습니다. 보통 행사를 준비한다고 하면 학생들을
위해서 날짜를 배려하는데 이건 그것도 아니고 일요일도 끼지 않는 행사를
만들어 놓고 이건 도무지 학생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았고요...

둘째, 주관업체 및 관련회사, 정보통신부의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리눅스 1위 기업이라고 자부하는 리눅스원. 그동안 잘 했다고 생각합니까?
사용자 관리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많이 늦장 부려놓고 최근에 서버시장에 진출
그건 리눅서를 무시하는 행동 아닙니까?
저는 개인적으로 자이온시스템즈 회사 좋아합니다. 물론 이 회사에서 개발된 액셀리눅스
6.1 버전 괜찮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부스에서 신나는 음악을 틀었다고요...???
그게 과연 리차드 스톨만의 귀를 거슬리지 않았을까요???
뭐 이 밖에도 언급할 내용은 많습니다. 그런데 진정 원하는 것은
리눅스 운영체제가 아닌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컴리눅스 한 회사만이 이 사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임베디드 사업. 가능성이 있을까요???
그렇다고 해서 리눅스를 반박하는 것은 아닙니다.

셋째, sns매니지먼트였던가 하는 회사. 많은 욕을 먹고 있더군요... 그런데 과연
sns가 잘한 짓을 했을까요? 오히려 정보통신부와 짜고서 리눅서들을 무시하는 행동
책임져야 할 것 같네요...

우리나라 리눅스 사업. 비록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것은 아니라지만 많은 관심으로 아껴줍시다...

search_go가 한 madi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상호 wrote..
: 안녕하세요~ 저는 search_go입니다.
:
: 얼마전에 서울 Coex에서 글로벌 리눅스2000행사가 열렸었죠?
: 그런데 과연 우리나라는 그런 행사를 개최하고도 잘한 행동을 했을까요?
:
: 첫째, 행사기간이 잘못되었습니다. 보통 행사를 준비한다고 하면 학생들을
: 위해서 날짜를 배려하는데 이건 그것도 아니고 일요일도 끼지 않는 행사를
: 만들어 놓고 이건 도무지 학생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았고요...
:
: 둘째, 주관업체 및 관련회사, 정보통신부의 행동이 잘못되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 우리나라 리눅스 1위 기업이라고 자부하는 리눅스원. 그동안 잘 했다고 생각합니까?
: 사용자 관리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많이 늦장 부려놓고 최근에 서버시장에 진출
: 그건 리눅서를 무시하는 행동 아닙니까?

리눅스원은 Global Linux에 공식적인 참가업체가 아닙니다.
컴팩코리아,IBM,자이온,SGI,리눅스인터내셔널이 참가업체죠.
즉, 이번 글로벌리눅스2000 행사의 진행 및 여러가지 관련사항등
잘못 진행된 것이 마치 리눅스원이 크게 영향을 미친 듯이 말씀하시는데
리눅스원은 이번 행사의 진행 전후 사정에 전혀 관여된바 없읍니다.

리눅스원은 참가업체인 컴팩의 협력업체로 컴팩의 부스에 지원한
형태입니다. 이는 리눅스코리아가 IBM부스에 같이 나온것과 같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자이온시스템즈 회사 좋아합니다. 물론 이 회사에서 개발된 액셀리눅스
: 6.1 버전 괜찮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부스에서 신나는 음악을 틀었다고요...???
: 그게 과연 리차드 스톨만의 귀를 거슬리지 않았을까요???
: 뭐 이 밖에도 언급할 내용은 많습니다. 그런데 진정 원하는 것은
: 리눅스 운영체제가 아닌 리눅스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합니다.
: 지금 한컴리눅스 한 회사만이 이 사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임베디드 사업. 가능성이 있을까요???
: 그렇다고 해서 리눅스를 반박하는 것은 아닙니다.
:
: 셋째, sns매니지먼트였던가 하는 회사. 많은 욕을 먹고 있더군요... 그런데 과연
: sns가 잘한 짓을 했을까요? 오히려 정보통신부와 짜고서 리눅서들을 무시하는 행동
: 책임져야 할 것 같네요...
:
: 우리나라 리눅스 사업. 비록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것은 아니라지만 많은 관심으로 아껴줍시다...
:
: search_go가 한 madi했습니다.

1회 행사의 운영상의 문제점 등등을 극복하고 다음에는 더 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은 동의합니다.
행사의 성격이 일반사용자들에 대한 것이냐 아니면 기업을 대상으로
하느냐 하는 점등이 명확하지 못했던 점은 동의합니다만 이런 행사가
특정업체의 생각만으로 결정되기는 힘들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