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무난하게 잘 동작 하고 있고요.. 속도 약간 빨라 진 것 같습니다. 페이지 뜨는 속도(동일 페이지 비교시)... 그리고, 사용 권한에 대한 설정(접근 권한)이 좀 더 강화되고 엄격(?) 해 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뭐... 디렉터리(Directory 블록)과 로케이션(Location 블록)에 적용되는 접근 설정이 세분화 된 것 같고(정확히는 아직 모르지만, 이전 설정 그대로 적용 하니 안 먹혀서 머리 좀 썻습니다.) 그렇네요. 특히 가상 호스트 쓰시면 조금 수정이 가해 지는게 필요 하실 겁니다.(제 경우만 그런진 몰라도...)
간단히 몇가지 추가 해 주는 것 만으로 해결 됩니다. 물론, 가상 호스트마다 일일이 해 줄 수도 있겠지만 다른 방법도 있겠죠. 예를 들어(이게 디렉터리에 국한한 접근 제어 설정 이라고 간주 한 상태에서...) 가상 호스트들의 문서 루트가
aaa.com:/web/aaa.com
abc.net:/web/abc.net
cccxxx.org:/web/cccxxx.org
이런 식이라면 /web 디렉터리에만 적용 하셔도 하위 디렉터리에도 다 적용 되겠죠. 저의 경우 그렇게 했습니다. 가상 호스트들이 안 돌길래 가 봤더니 권한을 좀 설정 해 줘야 하더군요.
음... 이정도 됩니다. 이걸 가상 호스트 쪽에 추가 해 주시면 되겠죠. 물론 호스트마다 다 하실 필요는 없고 Global에 하나 추가 해 주시던가 하시면 됩니다.(근대 위 지시자 저거 철자 다 맞나요? 으...) 자신의 필요에 따라 마춰 보세요. 그리고 설정 파일은 가상 호스트 부분만 잘라서 백업 해 두시고 나머지는 알맞게 조정 하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나중에 httpd.conf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가상 호스트나 리소스 관련 설정, 기타 설정 등등을 전부 httpd.conf에서 하는게 아니라 주석 처리 되어 있긴 합니다만, conf/extra/에 잇는 httpd-vhosts.conf 등으로 합니다.(include 문에 의해 수입 됩니다.)(물론 주석 풀어 주셔야 겠죠?) 그러니까 가상 호스트 부분만 잘라다가 나중에 httpd-vhosts.conf 파일등에 넣어 주시고 httpd.conf에서 해당 부분 include를 주석 해제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뭐 어려울 것 없을거예요 음.
아직 특별히 낳아 진건 모르겠고요...
그냥 무난하게 잘 동작 하고 있고요.. 속도 약간 빨라 진 것 같습니다. 페이지 뜨는 속도(동일 페이지 비교시)... 그리고, 사용 권한에 대한 설정(접근 권한)이 좀 더 강화되고 엄격(?) 해 졌다는 느낌이 듭니다. 뭐... 디렉터리(Directory 블록)과 로케이션(Location 블록)에 적용되는 접근 설정이 세분화 된 것 같고(정확히는 아직 모르지만, 이전 설정 그대로 적용 하니 안 먹혀서 머리 좀 썻습니다.) 그렇네요. 특히 가상 호스트 쓰시면 조금 수정이 가해 지는게 필요 하실 겁니다.(제 경우만 그런진 몰라도...)
그럼...
이여송 사도요한 드림.
사람천사
음.. 가상호스트 꽤 많이 쓰고 있는데.. 수정이 필요하다니.. -_-;
음.. 가상호스트 꽤 많이 쓰고 있는데.. 수정이 필요하다니.. -_-;;
기존 2.0.x 업그레이드 하듯이 옵션 그대로두고 컴파일만으로 업글은 힘들겠군요..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음... 그정도는 아니고요..
간단히 몇가지 추가 해 주는 것 만으로 해결 됩니다. 물론, 가상 호스트마다 일일이 해 줄 수도 있겠지만 다른 방법도 있겠죠. 예를 들어(이게 디렉터리에 국한한 접근 제어 설정 이라고 간주 한 상태에서...) 가상 호스트들의 문서 루트가
aaa.com:/web/aaa.com
abc.net:/web/abc.net
cccxxx.org:/web/cccxxx.org
이런 식이라면 /web 디렉터리에만 적용 하셔도 하위 디렉터리에도 다 적용 되겠죠. 저의 경우 그렇게 했습니다. 가상 호스트들이 안 돌길래 가 봤더니 권한을 좀 설정 해 줘야 하더군요.
위의 예를 들어서 잠시 설명 하겠습니다.
음... 이정도 됩니다. 이걸 가상 호스트 쪽에 추가 해 주시면 되겠죠. 물론 호스트마다 다 하실 필요는 없고 Global에 하나 추가 해 주시던가 하시면 됩니다.(근대 위 지시자 저거 철자 다 맞나요? 으...) 자신의 필요에 따라 마춰 보세요. 그리고 설정 파일은 가상 호스트 부분만 잘라서 백업 해 두시고 나머지는 알맞게 조정 하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나중에 httpd.conf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가상 호스트나 리소스 관련 설정, 기타 설정 등등을 전부 httpd.conf에서 하는게 아니라 주석 처리 되어 있긴 합니다만, conf/extra/에 잇는 httpd-vhosts.conf 등으로 합니다.(include 문에 의해 수입 됩니다.)(물론 주석 풀어 주셔야 겠죠?) 그러니까 가상 호스트 부분만 잘라다가 나중에 httpd-vhosts.conf 파일등에 넣어 주시고 httpd.conf에서 해당 부분 include를 주석 해제 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뭐 어려울 것 없을거예요 음.
그럼...
이여송 사도요한 드림.
사람천사
따로 vhost.conf 라는 이름으로 가상호스트 설정을 관리해왔었는데.
따로 vhost.conf 라는 이름으로 가상호스트 설정을 관리해왔었는데..
새 버젼에선 첨부터 그렇게 나뉘어져있나보군요.
답변 감사드려요 :)
---------------------------------------
http://www.waitfor.com/
http://www.textmud.com/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