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too KDE에서 한글 i18n?
글쓴이: 지리즈 / 작성시간: 수, 2006/01/18 - 10:58오후
지금까지 쭉 거의 페도라만 쓰다가,
gentoo로 넘어 오니 거의 초보냄세가 펄펄나네요... :oops:
wiki의 문서대로 한글 로케일 설정을 해주었는데,
kde에서 한글 메뉴가 안뜹니다.
일단 fedora에서는 한글 kde-i18n패키지가 없기 때문에,
제가 빌드에서 설치했는데요...
gentoo쪽에서는 어떻게 사용하고 계시는지 궁금하네요.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553바이트 |
Forums:
emerge kde-i18n 으로 설치되지 않습니까?3,4,3 은
emerge kde-i18n 으로 설치되지 않습니까?
3,4,3 은 x86 , 3.5 는 ~x86 이네요.
제가 알랍그놈파다 보니 KDE는 한번도 안깔아 봤습니다;위키에 있
제가 알랍그놈파다 보니 KDE는 한번도 안깔아 봤습니다;
위키에 있다는 것이... localdef 말씀이신지...?
/etc/locales.build 에 추가하신걸 말씀하시는 건지...?
아니면 /etc/env.d/02useretc 인지요?
KDE 3.5 부터는 kde-i18n 패키지에 한글도 포함됐습니다.따
KDE 3.5 부터는 kde-i18n 패키지에 한글도 포함됐습니다.
따라서 그냥 emerge kde-i18n 하셔도 됩니다...만
번역률이 한소프트리눅스에서 제공하는 KDE 한글 언어팩보다 높지 않아서, 저는 한소프트리눅스의 KDE 한글 언어팩 rpm 을 받아서
rpm -Uvh kde-i18n-Korean-3.5.0-1hs.noarch.rpm
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젠투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이 여러 언어의 버전으로 따로 제공되는 경우(예: OpenOffice)에, make.conf 의 LINGUAS 라는 변수를 참고합니다.
즉, /etc/make.conf 에 LINGUAS="ko" 를 적어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akudoku."]아니면 /etc/env.d/02usere
요거에 비슷한 것에 넣어 두었습니다.
ko_KR.UTF-8로 되어 있군요. :oops: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rpm을 ebuild로 둔갑시켜서 설치하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D
rpm을 ebuild로 둔갑시켜서 설치하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D
이 꾸러미는 거저 먹을 수 있는 수준입니다.
약간 관련이 있는 불여우(모질라)는 /etc/make.conf에 아래의 내용을 넣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MOZLINGUA="ko"
[quote="utpark"]kde-i18n-korean-3.5.0-r1
요긴하게 잘 받아 쓰겠습니다. 8)
There is no spoon. Neo from the Matrix 1999.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