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을 여러분의 윈도우로 가져오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소개드릴 프로그램은 윈도우 os 환경에서
리눅스 xmanager 의 거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수 있게끔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저는 사정상 윈도우도 같이 써야하기 때문에 xmanager 를
이용하여 마치 리눅스를 쓰는 것처럼 x-windows 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tcl, gtk 등으로 작성한 프로그램들이 그대로 보이고,
가우, 등의 어플리케이션등이 윈도우즈 환경에서 그대로
쓸수가 있습니다.

curses 로 작성한 프로그램들도 xmanager 에서 볼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 프로그램 회사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여러 기능이 있는 것 같은데 제가 주로 쓰는 기능은
xmanager (기능이름입니다.) 입니다.

X 설정

1. 윈도우 모드
단인 윈도우 체크, 스크롤바 사용 체크
창 크기 custom 사이트 500 * 500

2. XDM 접속
XDM 사용 안함 체크

3. 폰트 디렉토리
내비두세요.

4. 입력장치 옵션
3 버튼 마우스 버튼 간격 85

5. 옵션
내비두세요.

X 구동

x manager 를 실행합니다. 그러면 창이 한개가
뜰 것입니다. 먼저 telnet 을 이용해서라든지
다른 방법으로라도 서버에 연결을 하여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내립니다.

hanterm -display IP0
(hanterm 이 없다면 xterm 이나 기타 등등)

저렇게 명령을 내리면 xmanager 창에 한텀이
한개 띄워져 있을 겁니다.

이 프로그램은 vmware 같이 한 컴퓨터에 동시에
2 개의 os 를 구동하는 기능이 아니라, 윈도우즈
계열 os 에서 다른 컴퓨터 리눅스의 x-windows의
기능을 완벽하게 사용하려고 할때 이용됩니다..

프로그램의 홈페이지는 http//netsarang.co.kr
입니다. 나우에도 자료가 있을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도용 Xserver를 사용하면 리눅스설치할 기계가 없는 문제를 해결해주남?
결국 리눅스깔린 서버를 네트웍으로 사용하는 것인데 그게 뭐 그리
대단하다고...
결국 Xmanager, Exceed, Xwin32 등등을 사용하면 되고 그럴때는 그나마
공개용 Xserver등도 있는데 굳이 25만원짜리 소프트웨어를 광고성으로
올려줘야되는지...

더구나 요즘처럼 보안이 문제가 된다던지 유동아이피를 쓴다던지 하는경우는
제대로 뜨지도 않을때가 많은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인터넷 때문에(리눅스에서는 도저히 방법이 없어서... --;) Windows를
사용하는데 최근 적수내에서 누가 Virtual-PC라는 것을 소개하더군요.
혹시나하고 받아서 설치하고 공짜로 65일인가 하는 라이센스를 받아서
리눅스를 설치해봤는데... *^^*

음... 속도 상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좋더군요.
Windows-ME에서 설치를 했는데 X-Window까지 적용이되고(내부적으로 S3
로 비디오카드를 잡는데 해상도는 640x480x32Bit)...
재미있는 것은 Network이 자동으로 잡힌다는거죠.(신기하더군요... ))

앞으로 58일정도 남았는데 계속사용해보고 맘에들면 사야겠네요.

참... 이것이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는 것같은 기분이 드는데...
회사컴이 Win2000에 128M인데 여기서는 안깔리더군요.
집은 Win-ME에 256M여서 깔렸나??? ^^;

다른 것보다 메모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면 한번 써볼만하더군요.
저처럼 리눅스에서 Network이 잡히는 않는 사람은...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조성호 wrote..
인터넷 때문에(리눅스에서는 도저히 방법이 없어서... --;) Windows를
사용하는데 최근 적수내에서 누가 Virtual-PC라는 것을 소개하더군요.
혹시나하고 받아서 설치하고 공짜로 65일인가 하는 라이센스를 받아서
리눅스를 설치해봤는데... *^^*

리눅스에서 도저히 인터넷이 안되다고요?
윈에서는 되는데.. 리눅에서 안된다라...

안되는게 아니라 못하는 거겠져...

저같으면 차라리 조금더 공부해서.. 리눅스 쓰고말지.. 돈쓰지는 않겠습니다.

음... 속도 상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좋더군요.
Windows-ME에서 설치를 했는데 X-Window까지 적용이되고(내부적으로 S3
로 비디오카드를 잡는데 해상도는 640x480x32Bit)...
재미있는 것은 Network이 자동으로 잡힌다는거죠.(신기하더군요... ))

앞으로 58일정도 남았는데 계속사용해보고 맘에들면 사야겠네요.

참... 이것이 메모리를 많이 잡아먹는 것같은 기분이 드는데...
회사컴이 Win2000에 128M인데 여기서는 안깔리더군요.
집은 Win-ME에 256M여서 깔렸나??? ^^;

다른 것보다 메모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면 한번 써볼만하더군요.
저처럼 리눅스에서 Network이 잡히는 않는 사람은...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제가 실력이 없어서... --;
그런데 리눅스에서 인터넷을 해보고 싶은걸 어쩝니까?
돈을 더 들여서 라인을 UP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실력이 딸려서
직접 프로그램을 해볼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니... --;

혹 야나기님이 드라이브를 제작해 주신다면 모르죠... *^^*

그냥 맘에 드는 프로그램이라 돈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소리였습니다.
'그따위것'이지만 필요한 사람한테는 '그따위것'이 아닐 수도 있거든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웨어가 정상인데 리눅스로 네떡이 안된다는거.. 전혀 이해가 안감니다..

아무리 초보여도.. 윈텐도로.. 네떡 설정했따면... 리눅스로 초기 설정할때

ip랑 몇가지만 제대로 넣어주면.. 네떡이 되는걸.. 구지 돈주고 이상한거

쓴다기에 그냥 써본 말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가 가지고 있는 상황을 정확하게 기술하지 않아서 생긴 오해 같군요... *^^*
하나로 내장형 모뎀을 사용하는데 그걸만든 회사에서(외국회사인데...)
LINUX는 지원할 생각이 없다고 하네요.
실력이 안되니 드라이브를 만들 수도 없고... )
그래서 그런겁니다. 심하게 말했다고 생각하진 않으니 죄송할 것도 없죠.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도 그렇게 해서 문제(인터넷).. 및 리눅스 사용..을 해결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