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컴에서 본 책이 "리눅스 클러스터로 만드는 슈퍼컴퓨터 " 이책이라면,
괜찮을듯 합니다. 저도 읽어보니 기본적인 내용들에대해 정리도 괜찮게
되어있고 또 처음 하시는 분들한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윗분께서 추천하신 책도 괜찮을거 같구요.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툴은 openssi (Single System Image)입니다. www.openssi.org 한 번 들어가보시고 프로세스 ID를 전 클러스터에서
공유하기 때문에..single system image라고 합니다. 소규모에 어울린다고
생각되며 LVS, DHCP 등 클러스터운용에 관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셔도 좋을 거 같네요.
제가 알기로는 책은 한빛에서 나온 베어울프 시스템 구축 책이 있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책은 한빛에서 나온 베어울프 시스템 구축 책이 있습니다.
제가 사서 한번 해보기는 했는데, 기본은 Diskless의 클러스터
시스템을 만드는 겁니다.
MASTER 만 하드디스크가 있고 나머지 Slave들은 IP도 MASTER에서
DHCP로 할당하고 NFS로 파일을 읽고 쓰고 있죠.
그래서 클러스터 연산하는 프로그램 컴파일러가 있습니다.
그걸 활용하는건데, 구축까지만 해보고, 실제 어플리케이션은
올려보지는 못했네요. 책의 간단한 예제만 해봤는데,
1에서 10만까지 더하기가?? (가물가물)
뒤쪽에 가면 grid 같은 것도 있습니다.
흥미가 있으시다면 한번 보는 것도..
저에게는 그냥 한때 잠깐 재미로 해봤다는 경험정도로 남네요..
어플리케이션을 제대로 올렸으면 더 좋았을껄이라는 아쉬운도 남고요.
아싸~ 오늘도 화이팅!
강컴에서 본 책이 "리눅스 클러스터로 만드는 슈퍼컴퓨터 " 이책이라면,
강컴에서 본 책이 "리눅스 클러스터로 만드는 슈퍼컴퓨터 " 이책이라면,
괜찮을듯 합니다. 저도 읽어보니 기본적인 내용들에대해 정리도 괜찮게
되어있고 또 처음 하시는 분들한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윗분께서 추천하신 책도 괜찮을거 같구요.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툴은 openssi (Single System Image)입니다.
www.openssi.org 한 번 들어가보시고 프로세스 ID를 전 클러스터에서
공유하기 때문에..single system image라고 합니다. 소규모에 어울린다고
생각되며 LVS, DHCP 등 클러스터운용에 관한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셔도 좋을 거 같네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