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업체 직원분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frombc7197의 이미지

뭐, 그냥 이공계 학생의 진로 조언 쯤으로 해석하시면 될 듯 합니다.

처음엔 저와 나이차이가 별로 없을 거라면서 쉽게 말 하셔서 좋았는데

나중에 고 2라고 하니까 잠깐 굳어버리시는 그 모습(28세)이 심히 부담스러웠다는 것을 빼고는 좋은 인터뷰였습니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IT계열로 진로를 결정했다고 해서 고등학교때부터 관심 분야의 세세한 부분을 공부한답시고 학교 공부를 망쳐서는 안된다. IT분야는 워낙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어제 배운 기술이 오늘은 쓸모 없어질 수 있다. 왜냐? 이과의 경우 기술 교체가 심하기 때문에 컴퓨터 관련 최신기술 등은 학원에서 몇개월 동안 집중해서 공부하면 10년 공부한 사람과 별 차이가 없에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와중에도 어학 능력, 수학 능력등 기초가 충실하다면 금방 새로운 기술을 익혀 나갈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기초과목이 최우선이다. 물론 관심분야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 프로그래밍 등을 적당히 공부하는 것은 좋다.
수박 겉핥기식 지식 습득은 경계하라, 어차피 대학가면 다시 세세하게 배우게 된다. 고등학교에선 고등학교에서 할 수 있는 일을 하라. 미래를 대비한 책임감 증진도 중요하다.
고등학교때 너무 세세한 그림을 그리면 나중에 전체 그림을 망치게 된다. 현재는 기본적인 스케치가 더 중요하다.
사람은(최소한 대한민국에서는) 어느 조직에 속하느냐가 평생동안 나를 따라다니는 낙인이 된다. 계구우후라고 하지만 소꼬리도 엄연히 소이다. 또 사람의 가치는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얼마나 열심히 하냐에 달려 있다.

뭐, 결국 자기 하기 나름이다.

-----------------------------------------------------

그런데 이분도 사범대 들어가셨다가 이과로 오셨더군요(뭐 컴퓨터 교육과니 좀 다를려나.)

spacelee의 이미지

그 분 말씀 절대 동감입니다.

영어,수학은 기초로써 정말 중요하구요.
대학 가서도 미적분학, 통계학 등은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사실 컴퓨터 쪽 다른 과목들은 나중에 다시 공부하기가 어렵지 않지만,
이런 것들은 나중에 다시 공부하기가 쉽지도 않죠.

권위를 의심할 것,어긋남을 존경할 것,자리잡기를 거부할 것,항상 자신을 재창조할 것 - MIT 미디어랩 -

불꽃오리의 이미지

그분에게 가서 물어보세요.

10년의 경력을 10개월 놀았다고 10개월 공부한 사람보다 못 할 수 있냐고요.

기초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변화무쌍한 it이기에 더욱더 꾸준히 공부해야 하는 것입니다.
어제 있던 기술이 내일 쓸모없어지는게 아니라
어제 있던 기술이 더 발전해서 내일 나오는 신기술이 되는 것입니다.

보안쪽이라면 더욱더 경험이 중요하다는걸 알텐데도 그런말을 했다니 이해할 수 없네요.
보안이라면 누군가 침입했을 경우 경험 즉,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노하우가 있을 텐데
과연 10개월 아니 1,2년 공부한사람이 10년 동안 공부한 사람을 따라올 수 있을까요?
이건 수학,영어,국어 이런 과목을 공부한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 아닙니다.
일부에서는 다른말로 '산 지식'이라고도 하지요.

그렇다고 기초과목을 등한시 하라는게 아니라 관심있고 그걸 더욱더 배우고 그걸로 먹고 살려하면 그쪽을 더욱더 열심히 공부하는건 당연한 것입니다.

이상 불꽃오리 ㅡ.ㅡb (정대만은 너무 멋져)

세계 최고의 OS 개발자 - 오리
KLDP 가입시 해야 할 일
목표 : 세계정복
'X-MAS, 석탄일을 평일로 한글날과 오리의날을 국가공휴일로 만들자.'

dgkim의 이미지

변명꺼리를 찾아본다면, 요즘 고등학생이 기초과목에 소홀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것..

컴퓨터 쪽을 공부하기 위해선, 일반 고등학교 교과목은 100%이해해야 되고, 그 걸 기초로 컴퓨터 공부도 열심히 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그렇게 했더니, 수능 시험은 잘 치는데, 내신이 엉망이 되더라는..

..

어쨌든, 컴퓨터 공부하는 것은 추천할 만 합니다. 하지만, 당연히 학교 교과목에서는 선두를 유지해야 합니다. 단, 컴퓨터를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하며, 많은 코딩에 들어가는 것은 제외합니다.

ps. 즉, 공부도 잘하고 컴퓨터도 잘 하는 사람은 인정 받지만, 컴퓨터만 잘 하는 사람은...... 물론, 공부하고 컴퓨터만 잘해서도 안되고, 술도 잘 먹어야 되고, 놀기도 잘 놀아야 되고, 나중되면 더 배울 것이 많아지지요.

logout의 이미지

frombc7197 wrote:

사람은(최소한 대한민국에서는) 어느 조직에 속하느냐가 평생동안 나를 따라다니는 낙인이 된다. 계구우후라고 하지만 소꼬리도 엄연히 소이다. 또 사람의 가치는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얼마나 열심히 하냐에 달려 있다.

첨언하자면 닭머리와 용꼬리의 차이는 굳이 대한민국의 환경에만 적용되는게 아닙니다... RPG로 비유하자면, 용꼬리는 레벨업의 기회가 주어지지만 닭머리는 거기서 더이상 레벨업이 불가능하죠. 펜티엄4 1기가와 펜3 1.2기가의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장의 성능이나 벤치마크 결과는 펜3 1.2기가가 빠를 수 밖에 없죠.

그리고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얼마나 열심히 하느냐가 중요하기보다는 자기가 하기 싫은 일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의 속성이 그대로 녹아있다는 점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좀 더 정확한 표현이 될겁니다. 이게 한번에 감이 안오니까 열심히 노력하다보면 어떻게 감이오기 시작하는 것이죠. 즉, 이 부분은 목표를 세워놓고 열심히 노력할 사안이 절대 아닙니다. 하기 싫은 일을 열심히 해봐야 남는 것은 머리끝까지 받은 열밖에 없고 잘해봐야 수명단축에 기여할 따름입니다.

의외로 대학입시라는 과정이 이 부분에서 많은 트레이닝을 해 주는 장점 있습니다. 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기싫은 짓을 왜 해야 하냐는 당연하면서도 가장 낮은 수준의 질문에서 사고작용을 멈춰버립니다만...

하나 더 추가한다면, 나의 가치는 결국 남이 평가해줄 수 밖에 없는데 남은 관찰가능한 내 performance 결과로 나를 평가할 수 밖에 없다는 사회 시스템의 특성이 있습니다.

고 2 이과학생이면 학과공부 열심히 하는 것이 최상입니다. 요즘의 고등학교 학과공부는 자칫 편안한 저레벨 난이도에 안주할 수 있는 특성이 있으니 교육부가 뭐라든 입시 정책이 뭐라든 선생님들이 뭐라든 난이도는 올려가는게 중요합니다... 보통은 오늘 보는 토픽이 재미있다가 꼴보기 싫어질때(?)쯤이 그쪽의 내 performance의 한계점인데 이 때 살짝 조금만 더 견디는 것이 실력 향상과 이를 통한 레벨업에 중요합니다.

몇가지(!) 더 추가하자면 대학 가기 전에 평생할 운동 하나나 평생 다룰 악기 하나를 배워 놓는 것이 무척 좋습니다.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손해보는 셈 치고 운동이나 악기에 투자하기를 권합니다. 둘 다 할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 지적 능력을 키우는데는 체력과 정서의 뒷받침이 무척 중요합니다. 에... 또... 체력을 길러 놓으면 체격이 좋아지다보니 대학 가자마자 여자친구 만들어 신나게 데이트하는데 효과적이라는 현실적인 인센티브도 주어지지요. 남자들이 예쁜 여자 좋아하듯이 여자들도 훤칠한 남자 좋아하기 마련이라서요.

잡스러운 얘기가 길어졌네요... 이만.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spacelee의 이미지

제 생각은 윗분과 좀 다릅니다.
일단 IT쪽에서 경험 자체는 정말 중요합니다.
어떤 분야에 대해서 오랜 경험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performance는 정말 많이 차이가 납니다.
그만큼 가치도 인정받구요.

그런데, 문제의 해법을 찾는 경우에
경험만 많다고 해서는 항상 좋고, 가치있는 해답을 찾기는 힘듭니다.
여러가지 분야의 다양한 사고방식과 다양한 문제해결능력이 많이 필요한데,
경험과는 별개의 분야입니다.

컴터 사이언스 전체 분야에 그렇긴 하지만,
특히 보안쪽에서 creative하게 적용되는 분야가 AI쪽입니다.
그런데 AI쪽은 굉장히 기반 지식 자체가 다양해서
수학이나 통계쪽에 기본 지식들이 없으면
지식에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경험이 많으면 그 자체로 분명 가치있지만,
경험에 이론과, creativity가 더해지면
훨씬 다른 레벨에 서실 수 있습니다.

결론은
경험과 이론의 균형잡힌 배양이 중요하다입니다.
하지만, 경험은 언제든 의지만 있으면 쌓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론에 대한 접근은 사실 학교가 아니면
체계적으로 내공을 쌓기가 힘듭니다.
가능은 하겠지만 경험에 비해서는 훨씬 어렵죠.

권위를 의심할 것,어긋남을 존경할 것,자리잡기를 거부할 것,항상 자신을 재창조할 것 - MIT 미디어랩 -

fox9의 이미지

불꽃오리 wrote:
기초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변화무쌍한 it이기에 더욱더 꾸준히 공부해야 하는 것입니다.
어제 있던 기술이 내일 쓸모없어지는게 아니라
어제 있던 기술이 더 발전해서 내일 나오는 신기술이 되는 것입니다.

보안쪽이라면 더욱더 경험이 중요하다는걸 알텐데도 그런말을 했다니 이해할 수 없네요.
보안이라면 누군가 침입했을 경우 경험 즉, 긴급 상황에 대처하는 노하우가 있을 텐데
과연 10개월 아니 1,2년 공부한사람이 10년 동안 공부한 사람을 따라올 수 있을까요?
이건 수학,영어,국어 이런 과목을 공부한다고 해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이 아닙니다.
일부에서는 다른말로 '산 지식'이라고도 하지요.

말씀하신 분의 의도는 경험보다 기초지식이 더 중요하더거나 덜 중요하다거나 그런 의도가 아니라
현재 아무런 능력도 없이 너무 신기술만을 ㅤㅉㅗㅈ는 일부 몰지각한 프로그래머(?)들에 대한 염려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저만해도 주위에서 입으로는 최신 기술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막상 간단한거라도 코딩해보라 하면 못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