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E에서 GTK 글꼴을 미려하게 보려면?
글쓴이: GunSmoke / 작성시간: 금, 2005/11/04 - 10:53오전
아래 그림처럼 KDE 환경에서 출력되는 GTK 대화창의 글꼴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1. KDE 환경에서 GTK 글꼴을 미려하게 보려면 어떤 파일의 어떤 설정을 수정해야 합니까? 특정 글꼴, 은돋움 글꼴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KDE 환경에서라는 점을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2. /home/user/.gtkrc 로 반영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일은 무엇인가요?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aaa_194.png | 6.44 KB |
kcontrol-font-options.jpg | 249.15 KB |
xxx.png | 7.04 KB |
Forums:
gtk-engine-qt 를 설치하는건 어떨까요?gtk기반의 어플
gtk-engine-qt 를 설치하는건 어떨까요?
gtk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qt의 모양새로 바꿔줍니다.
KDE제어판에 항목이 추가되고요...
───────────────────────
yaourt -S gothick elegant
khris'log
그런게 있었군요!음... 그런데 가급적이면 패키지를 별도로 추가하지
그런게 있었군요!
음... 그런데 가급적이면 패키지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더라도 현재 있는 것으로 어떻게 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GTK로 출력되는 글꼴을 지정해 줄 수 있는 파일만 찾고 은돋움 글꼴을 지정해주기만 하면 될텐데...
大逆戰
폰트는 ~/.fonts.conf나 /etc/local.conf에서 영문과
폰트는 ~/.fonts.conf나 /etc/local.conf에서 영문과 한글 폰트를 매칭시키고 serif, sans 그리고 mono family의 대표 글꼴을 지정을 해서 사용을 하면 gnome이나 kde에서 프로그램 별로 폰트 변경을 하지 않아도 통일된 폰트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gnome이 96 dpi를 쓰는 것을 kde에서 맞춰주려면 xorg.conf의 Monitor section에 다음 중에 본인의 모니터 해상도에 맞는 것을 하나 넣어주는 방법을 저는 사용합니다. (startx 96dpi 하는 방법도 있기는 합니다.)
----
I paint objects as I think them, not as I see them.
atie's minipage
1. dpi 문제일 수 있습니다.GNOME, 윈도우는 96 dpi 를
1. dpi 문제일 수 있습니다.
GNOME, 윈도우는 96 dpi 를 쓰는데 비해, KDE 만 유독 다른 dpi 를 씁니다. (75 이던가요?) 그래서 글꼴을 pt 로 나타낼 때 크기가 조금씩 다르게 보입니다.
KDE 의 dpi 를 96 으로 바꾸기 위해서, 위의 atie 님의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만, 저는 ~/.Xdefaults 에 추가하는 방법을 선호합니다.
~/.Xdefaults 에
Xft.dpi:96
를 써 주시면 됩니다.
전역 설정 파일은 /etc/X11/app-defaults/ 에 있습니다.
2. kcontrol 이 anti-aliasing 을 하도록 설정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스샷에서 "글꼴의 가장자리 다듬기 사용" 을 활성화 시켜 보세요.
3. 참고로, KDE 에서 GNOME 어플들을 띄웠을 때, 글꼴이 이상하게 나오는 문제는 gnome-settings-daemon 을 띄우면 GNOME 설정을 따라가게 되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아아~ 감사합니다. 제가 원한 것이 바로 이런 것들이었습니다. 개인적
아아~ 감사합니다. 제가 원한 것이 바로 이런 것들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knoppix 한글지원 작업을 수행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점이 KDE에 대한 정보가 너무나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KDE제어판 등을 통해 GUI환경에서의 설정이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렇게 CD 이미지로 만들어내기 전까지는 X를 띄워서 직접 눈으로 볼 수 없는 특수한 환경에서는 설정 파일에 대한 정보를 찾기도 힘들고... 뭐 그렇습니다.
뭐 제가 KDE에 대해 너무 모른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셈이죠.
大逆戰
결과는 처음 그대로입니다.어째 글꼴 정보를 ~/.fonts.conf에
결과는 처음 그대로입니다.
어째 글꼴 정보를 ~/.fonts.conf에 반영해도 바뀌는게 전혀 없더군요. 랜덤의 여신님께서 말씀하신 ~/.Xdefaults에 dpi 정보를 넣는 것도 전혀 효과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 .fonts.conf 내용을 바꿈으로서 KDE의 글꼴에 영향을 미치고 아울러 GTK의 글꼴에도 영향을 미치는게 맞습니까?
문제점 하나 더 있는데 knoppix는 아직까지도 XFree86(4.3)을 쓰고 있습니다. x.org가 아닌 XFree86에서는 dpi를 바꾸기 위해 어떻게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래 패키지는 제가 사용하는 소스리스트(공식미러)에는 존재하지 않아서 사용해보지도 못했습니다.
gtk-engine-qt
gnome-settings-daemon
ps atie님, 혹시 폰트와 관련해서 도움이 될 만한 정보, 어디 구할 수 없을까요? atie님의 글을 검색해보니 'xft - fontconfig - freetype의 역할을 알겠네요'라는 글이 있던데 http://bbs.kldp.org/viewtopic.php?p=316661 X의 글꼴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문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大逆戰
atie 님이 말씀하신 /etc/X11/XF86Config-4 를 수정하
atie 님이 말씀하신 /etc/X11/XF86Config-4 를 수정하는 방법도 안 먹히나요?
흐음...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여신님, 어떤 방법을 선택하던지 X세션을 종료했다가 다시 X를 실행하면
여신님, 어떤 방법을 선택하던지 X세션을 종료했다가 다시 X를 실행하면 설정 내용이 반영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KDE 제어판을 통해서만 Qt의 글꼴이 바뀌고 GTK 글꼴은 여전히 바뀔 생각을 안하고 있습니다.
혹시 gtk와 관련해서는 gtkrc등의 파일을 수정해야하는 것 아닙니까?
大逆戰
우선은 gtk2.0을 쓴다고 보고, .gtkrc-2.0에gtk-fon
우선은 gtk2.0을 쓴다고 보고, .gtkrc-2.0에
gtk-font-name="Bitstream Vera Sans 10" 이런 줄이 없다면 추가를 해서 원하는 결과가 되는지를 보시죠.
그런후에 모든 유저에 적용이 되게 하려면 /usr/share/themes에 테마를 하나 만들어 넣어야 하겠는데 이건 위에 것이 되는지를 본 후에...
제 .gtkrc-2.0 파일입니다. ("GTK Styles and Fonts" 가 KDE control center에 없으면 gtk-qt-engine을 설치하면 될 겁니다.)
ps. 질문하신 폰트에 대한 것은 freedsktop.org, fontconfig.org, gtk.org, pango.org 등에 있는 문서나 메일링 리스트를 그때 그때 찾아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깊이있는 내용을 전달할 만한 지식은 없습니다.
----
I paint objects as I think them, not as I see them.
atie's minipage
헉... 혹시 gtk 글꼴을 변경하는 방법을 여쭈어보셨던 건가요? ;;;
헉... 혹시 gtk 글꼴을 변경하는 방법을 여쭈어보셨던 건가요? ;;;
음, 네. ~/.gtkrc-2.0 을 변경해야 합니다. 저기에다가 이것저것 글꼴이라든지 그런걸 적어 줘야 하죠;
하지만 저는 GNOME 데몬인 gnome-settings-daemon 을 틀어서 gtk 글꼴 관리하는걸 더 좋아해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GNOME 도 깔려 있어야 쓸 수 있는고로 LiveCD 에는 쓰이기가 어렵겠군요.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일단 .gtkrc-1.2-gnome2가 ~knoppix 에 있었습니다.
일단 .gtkrc-1.2-gnome2가 ~knoppix 에 있었습니다. 파일의 내용인즉슨
오호라... gtkrc의 내용을 참조한다는 뜻이구만!
설정 파일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삽입했지만...
gtk-font-name="UnBatang 10"
역시 GTK 대화상자의 글꼴은 글꼴이 전혀 설정되지 않은 상태와 동일합니다. gtkrc 설정 파일을 보는 방법부터 배워야겠네요.
大逆戰
아하...심지어 /usr/share/themes/Geramik/gtk
아하...
심지어 /usr/share/themes/Geramik/gtk/gtkrc 파일의 내용을 모두 지우고 gtk-font-name="UnBatang 10" 한 줄만 남겼는데도 변동이 없네요...
knoppix에서는 gtk에 대한 설정을 또 다르게 하나봐요...
골치가 아픕니다.
大逆戰
.gtkrc-1.2-gnome2 파일 이름에 gnome2가 들어가서 조금
.gtkrc-1.2-gnome2 파일 이름에 gnome2가 들어가서 조금 의심이 가긴 하지만, GTK+ 2의 설정파일이라면 .gtkrc-2.0으로 시작하지 않을까 샘각합니다.
.gtkrc-1.2-gnome2가 GTK+ 1.2x의 설정파일이라면 GTK+ 2인 gdialog에는 영향을 못미치리라 생각합니다. 어쩌면 이것 때문일지도요.
atie님 말씀대로 .gtkrc-2.0를 다루는 해법은 써보셨나요..?
---
시스템 전체 설정을 원하신다면, 아마 /etc/이나 /usr/share/ 어딘가에 gtkrc-2.0같은 파일이 있지 않을까요?
[quote="검은해"].gtkrc-1.2-gnome2 파일 이름에 gn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gtk+ 2.6을 쓰고 있다고 확신하는 근거는 distrowatch의 정보입니다.
http://distrowatch.com/table.php?distribution=knoppix
아... 무슨 딴 말을 더 쓰려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gtkrc.mine이라고 해왔던 설정 파일을 .gtkrc-2.0으로 바꿔서 테스트해봤습니다.
운명의 장난이란 말입니까... 제 스스로를 멍청해다고 해야겠죠...
도움을 주신 atie님과 여신님, 그리고 멍청한 제 실수를 지적해주신 검은해님께 감사드립니다.
大逆戰
그런데 그놈 상태에서 폰트렌더링이랑 KDE상태에서 폰트렌더링 다르지 않나
그런데 그놈 상태에서 폰트렌더링이랑 KDE상태에서 폰트렌더링 다르지 않나요.전에 KDE에서 gtk-engine-qt설치하고 난다음에 폰트 설정하는데 확실히 그놈 상태에서 보던 글꼴과는 달랐습니다.만약 설정하신다면 gtk-engine-qt를 설치하시고 설정하시는게 더 정확할겁니다.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quote="다크슈테펜"]그런데 그놈 상태에서 폰트렌더링이랑 KDE상태
dpi 문제와 antialias 문제 아닐까요? 제 경우에는 처음에 다르게 보였는데, dpi 와 antialias 설정을 맞춰주니까 동일하게 보이더군요.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랜덤의여신"][quote="다크슈테펜"]그런데 그놈 상태에
저도 이 답변에 한 표. 그놈은 96dpi를 쓰고, KDE는 x가 설정을 하는 75dpi 또는 100 dpi 중 하나를 그대로 반영을 하므로 dpi에 따라 글꼴의 크기가 우선은 달라 보이고 이걸 KDE control 에서는 그놈의 프로그램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맞춰 주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위에 있는 것처럼 x의 dpi 설정을 xorg.conf에서 강제하거나 x를 시작할 때 96dpi를 사용해서 KDE를 그놈 설정에 맞춰주는 거죠.
이것과 KDE 폰트 설정에서 antialias 그리고 ~/.fonts.conf에서 폰트 설정만 해주면 그놈과 KDE에서 폰트의 크기와 모양이 다르네 하는 일은 없습니다. 간혹 오페라 같은 별종이 있기는 하지만서도요.
----
I paint objects as I think them, not as I see them.
atie's minipage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