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신입과 고졸 경력 4년중 어느 쪽이 쎄여?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막 대학에 입학한 새내긴데여

벌써 학교 다니기가 시러서 -.-;;

그래서 그런데여

대졸 신입과 고졸 경력 4년 중 어느 쪽이 더 쎄져?

그럼 늘 행복하시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대학교는 그래도 다녀야겠죠?
대학시절 노나여?

대학시절에서도 음 경력을 쌓으세요.
저역시 갓 대학 졸업했지만.
경력 2년이상의 능력을 인정 받고 다닙니다.

그래서 조금더 대우를 받죠.

또 그렇지 않더라도,
대학교 꼭 다니세요.
화끈하게 놀고.
화끈하게 공부하고.

화이팅~!!!!
아~또 하나 성적도 잘 가꾸세요.
꼭!!!!

저 처럼 후회 하지 말고. 쩝~!!
그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머가 세다고 말씀하시는지??
돈 인가요?
돈보다 더 귀중한걸 얻을수도 있는곳
이 대학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물론 님이 하시기 나름이지만요...

외람된 말씀이지만....
돈이라면..
음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지
않겠어요??

음..진지하게 ㅡ,.ㅡ
말 드리자면....@_@
음..
아~~~정말 곤란하군요 진지하게
생각하니깐...ㅤ_ㅤ
근데...리누스 토발즈.....
그이(?)도 대학을 나왔고...
대학시절 리눅스의 역사를 만들었죠
그냥 제 개인적으로는
대학을 다니심이....
헉..혹시 왕따인가요??
대학다니시며 많은 책읽고...
교양수업도 많이 들으시고...
그리고
대학다니는 사람에게는
고졸인 친구 대부분은 부러워하지요
막상 대학생인 사람은 대학이
별꺼 아니라고도 하지요...
선택은 님이 하십니다...
돈이 목적이십니까??

리눅스는 영원한 공짜가 되길바랍니다
그리고..
받은만큼 스스로가 갚아 나가야
겠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헤헤.. 대학교 다니면 뭘배우나 생각하기 쉽죠.,
특히나 컴터 전공 아닌 자질 있는 컴터 매니아들은
학교 안가고 책만 봐도 잘 아는거 뭘 학교 가나 생각들기도 할겁니다.
사실 어떤 분야로 뛰어든다는것..
대학교는 그 분야가 진정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저의 경우, 고교때까지는 막상 컴터에 관심이 있었다.
라고 표현하면 옳겠네요.
내 전공이 컴터 전공이 아니지만 그쪽 전공도 들어가며 얻은 결론..
내가 좋아하는 것은 컴퓨터 이론이지, 계획된 프로그램 제작은 아니다.
즉 제가 컴퓨터란 것 자체를 좋아할순 있어도 그걸 직업삼을 체질은 아니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래도 kldp에서 문서 읽은것이 왜이리 즐거운지요 ^^;)
대학교를 다니면 그런것을 체험할수 있습니다.
2학년때까지는 이리저리 둘러보고 고민을 했다면
3학년때에는 "어른다운 결심으로" 미래를 결정하는 거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의 의미를 고졸에서 경력을 쌓는게 자신에게
도움이 되겠느냐 아니면 대학을 졸업하는게 자신에게
더 도움이 되겠느냐의 의미로 받아 들이겠습니다.

그래서 Computer Science분야를 이야기 한다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 커리큘럼을 독학으로
완벽하게 소화하지 않는 이상..
대학교에서 공부하는것이 좋습니다.

중간에 대학교 생활이 싫증이 나면 사회로
뛰어 드심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아마 다음에 다시 학교로 돌아갔을 때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100배는 뛸겁니다 -.-;

그리고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완벽하게
파악이 될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학교에서 가르쳐주는것만 해서도
안됩니다.. 어디에 적용되고 어떻게 하는지를
파악하는것도 중요하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두 밑에 JS님의 생각과 비슷합니다...
요즘 컴퓨터 분야의 학과에서는
거의 기술자를 키우지요...전산학자를 만들지는 않습니다.
4년제건 2년제건 크게 차이 없을껍니다...
아마 고졸 4년경력이나..
대졸이나..실력은 비슷할 겁니다.
다만..학교에서는 좀 더 편하게(^^) 좀 더 넓은 분야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정말 중요한 것은 질문 올리신 분의 선택이 아닐런지?
그럼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