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시 서비스들을 비활성화 어떻게 시키나요??
글쓴이: dthunder / 작성시간: 화, 2005/09/20 - 7:45오후
안녕하세요~~
현재 휴인스의 PXA255-Pro2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리눅스를 포팅해서 보드에 올렸는데요.
ramdisk는 휴인스에서 제공하는걸 사용하는데....
부팅할 때 자꾸 Portmap service와 IrDA서비스, boa web server 서비스가 실행이 되네요.
제가 필요한건 boa밖에 없는데....이것만 실행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리고 보드에서 제가 고정시킨 IP를 할당시키고 싶은데요.
매번 부팅해서 들어가서 다시 잡아주려니 넘 번거로워서..ㅡㅡ
이것도 어떻게 하는지 좀 알려주세요^^
그럼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Forums:
서비스 데몬이라면 /etc/rc.d 나 /etc/init.d 안을 살펴보
서비스 데몬이라면 /etc/rc.d 나 /etc/init.d 안을 살펴보시는게..
커널모듈로 올라온 경우라면 해당 모듈만 빼면 될테구요.
IP라면 초기 부팅시 eprom에 IP 설정하는 부분이 있거나 /etc 밑에
해당 ethernet 이름으로 된 파일이 있을겁니다. 그걸 수정해야 할겁니다.
임베디드라도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간디가 말한 우리를 파괴시키는 7가지 요소
첫째, 노동 없는 부(富)/둘째, 양심 없는 쾌락
셋째, 인격 없는 지! 식/넷째, 윤리 없는 비지니스
이익추구를 위해서라면..
다섯째, 인성(人性)없는 과학
여섯째, 희생 없는 종교/일곱째, 신념 없는 정치
네 답변 감사합니다. ip는 /etc/init.d/network에서 처리
네 답변 감사합니다. ip는 /etc/init.d/network에서 처리해주면 되고...
irda service는 /etc/init.d/rc.irda를 없애주면 되는군요.
근데 irda는 그래도 서비스는 시작된다고 나왔다가...
스크립트가 없다고 그냥 빠지는데요..아예 이것도 없애고 싶은데
이건 어떻게 하죠??
레드햇 계열이라면 /etc 아래 어딘가에 있는 rc2.d나 rc3.d 등
레드햇 계열이라면 /etc 아래 어딘가에 있는 rc2.d나 rc3.d 등의 디렉터리를 찾은 후 (rc 뒤의 숫자는 run level입니다.) 그 안에 있는 링크들(모두 첫 글자가 S) 중 /etc/init.d/rc.irda를 가리키는 것의 이름을 바꾸거나 지우면 될 것 같습니다. 디폴트 run level 디렉터리만 수정하든가 rc1.d - rc5.d를 다 수정하든가 해야 합니다.
그리고 끄거나 리부팅 할 때를 위해서 rc0.d와 rc6.d에 있는 링크들(첫 글자가 K)도 손봐야합니다.
#which chkconfig/sbin/chkconfig#ma
#which chkconfig
/sbin/chkconfig
#man chkconfig
...
#chkconfig --list
...
음.... 쿵....
#chkconfig --help
??
>>> 센드메일이 도대체 어떻게 부팅될때(런레벨)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지?
# chkconfig --list sendmail
sendmail 0:off 1:off 2:on 3:on 4:on 5:on 6:off
>>> 런레벨 3(콘솔+멀티유저모드)으로 부팅한 경우 sendmail을 자동으로 실행하고 싶지 않다.
#chkconfig --level 3 sendmail off
#
>>> 바뀌었나 확인?
# chkconfig --list sendmail
sendmail 0:off 1:off 2:on 3:off 4:on 5:on 6:off
>>> 그러나, 현재는 돌고 있는데?
# ps -e | grep sendmail
27675 ? 00:00:00 sendmail
>>> 어떻게 죽이지? 방법이 여러 가지지만....
방법1.
# /sbin/service sendmail stop
Stopping Sendmail: [ OK ]
#
방법2.
# cd /etc/init.d
# ./sendmail start
# ./sendmail stop
방법3. 느긋한 성격이라면, 리부팅한번하면 안뜰텐데 모....
* 혹시나.... 런레벨이 모지?
# vi /etc/inittab 을 보면 주석(코멘트 #으로 시작)이 있는데, 읽어보면, 대충 알 수 있다.
....
id:3:initdefault: <=========== 현재 글쓴이의 런레벨은 3이다.
....
* 결론 : 스크립트에 대해 해박하다면, 직접 /etc/rc디렉터리를 손본다.
그러나, 레드햇의경우 chkconfig, service라는 유틸리티를 쓰면 편리하다.
(사실, 귀차니즘을 해소시켜주기도 한다.. )
쿵~아~ 2 : on 으로 기술한 부분이 멋진 그림으로 나왔다. --
쿵~
아~ 2 : on 으로 기술한 부분이 멋진 그림으로 나왔다. --;
: o 가 .... 디폴트세팅으로 인해 이모티콘으로 출력되었지만, 애교로 그냥 보자.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