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 MS 사용자만의 것은 아니잖습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토론 게시판에 웹브라우져에 대한 글이 있군요.

인터넷의 많은 웹 사이트중 IE 전용이라 오픈 소스 진영에서
만드는 웹 브라우져들의 사용이 제약받는 다는 내용입니다.

MS가 인터넷도 잡아먹을려고 전사적인 입장에서 공격적인
마켓팅을 하고 있군요.

과연, IE 전용이나 Window Media Player 서비스만 제공하는
웹 사이트들을 위해서 사용자는 Netscape나 다른 웹브라우져를
포기하고 MS 운영체제를 깔고 그들이 만든 프로그램 만으로
웹 사이트를 찾아 봐야 될까요?

인터넷은 특정 회사에 종속이 되면 안된다고 보여집니다. 분명히,
인터넷에는 각 기술에 대한 표준안이 있고, 표준을 충분히 지키는
프로그램들은 인터넷에서 자유롭게 사용이 되어야 겠지요.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IE 전용이라서 넷스케이프나 다른 웹브라우져로
사이트 열면 먹통이 되거나 내용을 볼 수 없는 사이트 웹 매스터에게는
사용자의 권리를 주장하는 메일을 보내는 운동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IE 만으로 접속하도록 권장하는 유명한 웹 사이트 목록을 만들었
으면 합니다.

국내 언론사의 웹사이트가 전부 IE 전용으로 바뀌어 버린다면, 리눅사
사용자들은 표준을 충실하게 지원하는 성능 좋은 웹브라우져가 나와도
최신 뉴스를 볼 수가 없다는 상황이 되버릴 수도 있겠지요.

그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IE 전용이라서 넷스케이프나 다른 웹브라우져

사이트 열면 먹통이 되거나 내용을 볼 수 없는 사이트 웹 매스터에게는
사용자의 권리를 주장하는 메일을 보내는 운동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IE 만으로 접속하도록 권장하는 유명한 웹 사이트 목록을 만들

으면 합니다.

말꺼낸 사람이 하는것이 이바닥의 생리 입니다.
메일보내시는거 열심히하세요...
리스트 만들면 참고는 하죠..

IE가 편리하지 않으면 쓰질 않을겁니다.
최소한 IE가 네스나 모질라보다 편하고 쉽고 빠르다면 전IE를 사용할겁니
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이미 애니브라우저 캠페인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여기를 누르면 애니브라우저캠페인(우리말아무 브라우저나 쓰자)용 미니 로고그림들이 있지요.(로고는 아니고 조그만 그림들)

단, 외국페이지라 우리나라 웹디자이너들이 그다지 신경을 안쓰는

편이겠죠.(너네들이 캠페인벌이든 말든 우리는 신경안쓴다. 이런

식이겠죠.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내가 알고 있는 브라우저중에 가장 느린 것이 ie인데요?
착각하시는 것 같은데
윈도우 뜰때 이미 IE 구성물들이 다 뜬답니다.
ie더블클릭해서 실행시키면 껍데기만 실행되는 거구요.
ie띄울래면 윈도우 뜨는 속도까지 생각해서 봐야죠.

느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잘아시는군요.. 그러니 램만 빵빵하면 빠르죠..

윈텐도의 가장 약점이 망할 브라우저와 시스템이 한몸이라는 거죠..

그러나 이 X같은 약점이 쓸만한 H/W와 램이라면.. 따로노는 넘보단

빠르죠...

보는 관점차이 아닐까요?

리눅스에서도 모질라나 네스를 띄울라면 리눅스 부팅하고 X띄우고 해야 함
니다.

그렇게 보면 같은거 아닌가요? 콘솔에서 모질라띄웠다는 사람 아직 못봐
서요....

IE(internet Exit)가 "가장" 빠르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쓰기에 속도에 저항감이 없다는 말입니다. 말하자면 빠르단 거죠...

"가장"은 아니지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물론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X띄우고 모질라 띄우는 것보다 윈도우 띄우고
IE띄우는 것이 빠르죠.
X 모질라 프로젝트 같은 것 나왔으면 좋겠네요.
X에 모질라 주요 라이브러리들이 같이 섞여서 뜨면 모질라 띄울때 체감속
도는 빠를테니까요.

역으로 말하면 IE가 윈도우랑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면
윈도우 뜨는 속도가 훨씬 더 빨라질텐데...
그래서 전 윈95만 쓴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텐도도.. 라스트 스텝에서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GUI를 골라쓰고
IE 웹브라우져 소스공개후 리눅스에서 경쟁시키고
시스템이 사용하는 탐색기와 브라우져 분리시킨담..
얼마나 좋겠습니까?

솔찍히 IE(internet Exit)가 끼워팔기로 기본사양처럼 넣어져 있어서
쓰는거지.. 따로 분리해서 경쟁시켰으면.. 몇이나 썼겠습니까..

거대자본의 피해자는 결국 힘없는 서민이라는 것이 또한번 증명된 셈이
죠...

ps 스타오피스도 무겁다던데.. 히유~~~ 거기다 hwp도 호환성 없다던데..
히유~~~

agolta wrote..
물론 실용적인 측면에서는 X띄우고 모질라 띄우는 것보다 윈도우 띄우

IE띄우는 것이 빠르죠.
X 모질라 프로젝트 같은 것 나왔으면 좋겠네요.
X에 모질라 주요 라이브러리들이 같이 섞여서 뜨면 모질라 띄울때 체감

도는 빠를테니까요.

역으로 말하면 IE가 윈도우랑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면
윈도우 뜨는 속도가 훨씬 더 빨라질텐데...
그래서 전 윈95만 쓴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그렇습니다!!

엑스 뜰때 기냥 모질라도 같이 뜨는 거죠.. 엑스와 모질라의 통합!!
모질라 이미 뜬 상태에서 창 하나 더 열어보세요 그냥 팍! 뜨지 않습니
까? (이게 바로 익스플로러 빨리 뜨는 원리인 듯 ㅡ.ㅡ)
웬만한 어플들도 다 모질라 기반으로 돌게 하고.. 멋지다..

MS 윈도 뜰 때도 모질라 꼽살이로 같이 뜨게 하는 방법 없나요 ㅋ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다시 생각해보니
유닉스 철학에는 영 걸맞지 않는 모습이긴 하군요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써 봤는데요... 무겁긴 하던데요.. ㅡ.ㅡ

게다가.. 사무실에서는 2바이트 문자를 기본적으로 이용하니.. --;;

뷰어용도 이외에는... 쓰기도 힘들어서리.. 징징~

헤유...

hwp와의 호환은... 쩝.. 말꺼낸 사람이 해야 한다는 이바닥 생리를 말하
신다면.. ㅜ.ㅜ 저랑 같이 함 하셔야 할듯 ^^;; openoffice.org인가? --
;; 가서.. 크..

암튼.. 3월경에... 2바이트 스타 오피스 나온다고 했으니.. 기대중입니
당. ^^

글구.. IE.. 일반 윈도우 사용자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임에는 틀림없
습니다. 윈도우와 한몸이라서... 죽어도 같이 죽는게 문제이긴 하지만..
(이따금씩 맘 안맞아서 혼자 죽는것도 봅니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