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에서.. 사용한다는 UTF-8-MAC 이라는 문자셋 인코딩 방식이 있던데.. UTF-8 이랑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건가요?
UTF-8-MAC 에관한 처리를 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해.. 조금이라도 아시는분은.. 답변 글 좀 써주세요... 자료가 거의 구할데가 없네요..
그럼.. 좋은하루 되세요..
Mule-UCS와 utf-8-mac으로 검색을 해보니 CR/LF 처리 외에는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emacs에서 사용할 경우는 헤더가 어쩌니 하는 것 같은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UTF-8-MAC에서는 풀어헤친 글자와 조합된 글자가 동등하게 취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가' 라는 글자와 'ㄱㅏ'라는 글자가 동등하게 취급됩니다. (앞의 '가'는 한글음절[U+AC00~U+D7A3]안에 있는 코드를 사용하고 뒤의 'ㄱㅏ'는 한글자모[U+1100~U+11F9]안의 코드를 사용합니다.)
MacOSX의 파일시스템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이 생깁니다.
ganadist-iBook:/tmp/test ganadist$ touch 가 ganadist-iBook:/tmp/test ganadist$ ls 가 가 ganadist-iBook:/tmp/test ganadist$ ls ㄱㅏ
기술적인 사항은 Unicode Normalization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텍스트 포맷에 대한 자세한 정보
<code>
<blockcode>
<apache>
<applescript>
<autoconf>
<awk>
<bash>
<c>
<cpp>
<css>
<diff>
<drupal5>
<drupal6>
<gdb>
<html>
<html5>
<java>
<javascript>
<ldif>
<lua>
<make>
<mysql>
<perl>
<perl6>
<php>
<pgsql>
<proftpd>
<python>
<reg>
<spec>
<ruby>
<foo>
[foo]
Mule-UCS와 utf-8-mac으로 검색을 해보니 CR/LF 처리 외
Mule-UCS와 utf-8-mac으로 검색을 해보니 CR/LF 처리 외에는 차이가 없는 것 같습니다.
emacs에서 사용할 경우는 헤더가 어쩌니 하는 것 같은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UTF-8-MAC에서는 풀어헤친 글자와 조합된 글자가 동등하게 취급되는
UTF-8-MAC에서는 풀어헤친 글자와 조합된 글자가 동등하게 취급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가' 라는 글자와 'ㄱㅏ'라는 글자가 동등하게 취급됩니다. (앞의 '가'는 한글음절[U+AC00~U+D7A3]안에 있는 코드를 사용하고 뒤의 'ㄱㅏ'는 한글자모[U+1100~U+11F9]안의 코드를 사용합니다.)
MacOSX의 파일시스템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이 생깁니다.
기술적인 사항은 Unicode Normalization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데스크탑 프로그래머를 꿈꾸는 임베디드 삽질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