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pdf 문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글쓴이: yong27 / 작성시간: 수, 2005/06/29 - 10:19오후
amd64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글 pdf 문서를 보려면 어떻해야할까요.
다음 문서입니다. http://www.ktug.or.kr/doc/lshort-kr/lshort-kr-sandol.pdf
xpdf 로 보면 한글이 깨지면서 아래의 메세지를 보여줍니다.
Warning: Cannot convert string "-*-times-medium-r-normal--16-*-*-*-*-*-iso8859-1" to type FontStruct Error: Unknown character collection 'Adobe-Korea1' Error: Unknown font tag 'F4' Error: Unknown font tag 'F4' Error: Unknown font tag 'F4' Error: Unknown font tag 'F4' Error: Unknown font tag 'F4' Error: Unknown font tag 'F10' ...
gimp 로 보면
ESP Ghostscript 7.07.1: Unrecoverable error, exit code 1
acrobat reader는 amd64 리눅스용이 없더라고요.
File attachments:
첨부 | 파일 크기 |
---|---|
![]() | 39.75 KB |
Forums:
evince 참 좋습니다.
evince 참 좋습니다.
evince도 결국 xpdf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xpdf에서
evince도 결국 xpdf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xpdf에서 한글이 안보이면 evince에서도 안보입니다. pdf 파일 내에 한글 폰트를 내장하지 않은 문서라서 시스템에 깔려있는 폰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폰트가 없어서 일어나는 일인 듯 합니다.
해결 방법은, 우분투의 경우 xpdf-korean 패키지를 깔면 됩니다. 데비안도 마찬가지일 것이고 래드햇 계열이라도 비슷한 패키지가 있지 않을까 하네요 :)
그것을 깔면 xpdf, evince 모두에서 한글이 잘 보이는군요.
덕분에 저도 잘 깔았습니다.
드디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드디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좀더 다이나믹하게~
아, 참고로 리눅스용 adobe reader를 깔아도 영문판을 깔면 폰트
아, 참고로 리눅스용 adobe reader를 깔아도 영문판을 깔면 폰트가 내장되어있지 않는 한글 문서는 보이지 않습니다. 한글판 adobe reader를 깔면 한글 폰트가 같이 깔리는 것 뿐입니다. 영문판을 깐 사용자는 adobe 사이트 가서 잘 뒤져서 한글 폰트 팩 비스므리한 걸 받아서 깔아야 합니다.
acroread 리눅스버전은 다음 스레드의 링크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acroread 리눅스버전은 다음 스레드의 링크에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ftp://ftp.adobe.com/pub/adobe/reader/unix/7x/7.0/kor
----
아발발다빠따반반나다발딸발발다빠따따맣밤밤따받따발발다따밝다발발다빠따따밤반다빠따다맣밥발
발다따밥다발발다따박다발발다빠따따밞밭밭다따다맣아희
위에 있는 pdf문서를 봐보니 저도 한글이 출력이 되지 않네요.
그래서
==> 해결 방법은, 우분투의 경우 xpdf-korean 패키지를 깔면 됩니다.
라고 하셔서
$ sudo apt-get install xpdf-korean
이라고 해보았으나, 설치가 되지 않네요. 추가 해줘야 하는 소스 리스트 라도 있나요?? (우분투 효리를 쓰고 있습니다.)
multiverse 소스 리스트에 있네요..소스 리스트 끝에 mult
multiverse 소스 리스트에 있네요..
소스 리스트 끝에 multiverse를 추가해주시면 나올겁니다.. :)
------------------------------
무엇을 하기 좋아한다고 해서 재능이 있는 것은 아니다.
좋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해내는 것도 중요하다.
음......
sudo apt-get install xpdf-korean
꾸러미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완료
xpdf-korean 꾸러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꾸러미가 참조하고 있습니다.
해당 꾸러미가 누락되었거나 지워졌다는 뜻입니다. 아니면 또 다른 곳에서
꾸러미를 받아와야 하는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E: xpdf-korean 꾸러미는 설치할 수 있는 후보가 없습니다
라고 나오네요.. 죄송한데 구체적으로 소스리스트에 어떤 리스트를 추가 하셨는지..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우분투 효리 사용자..)
deb cdrom:[Ubuntu 5.10 _Breezy Badger_ -
deb cdrom:[Ubuntu 5.10 _Breezy Badger_ - Preview i386 (20050908)]/ breezy main restricted
deb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 main restricted
deb-src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 main restricted
## Major bug fix updates produced after the final release of the
## distribution.
deb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updates main restricted
deb-src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updates main restricted
## Uncomment the following two lines to add software from the 'universe'
## repository.
## N.B. software from this repository is ENTIRELY UNSUPPORTED by the Ubuntu
## team, and may not be under a free licence. Please satisfy yourself as to
## your rights to use the software. Also, please note that software in
## universe WILL NOT receive any review or updates from the Ubuntu security
## team.
deb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 universe
deb-src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breezy universe
deb http://security.ubuntu.com/ubuntu breezy-security main restricted
deb-src http://security.ubuntu.com/ubuntu breezy-security main restricted
# deb http://security.ubuntu.com/ubuntu breezy-security universe
# deb-src http://security.ubuntu.com/ubuntu breezy-security universe
deb http://si.archive.ubuntu.com/ubuntu breezy multiverse
아.. 브리지를 사용하시는군요..위의 소스리스트를 사용하면 효리에
아.. 브리지를 사용하시는군요..
위의 소스리스트를 사용하면 효리에서 브리지로 바뀌지는 않나요?
(아닌가...)
흠... 리눅스도 롤백 있나요??
[quote="stong"]아.. 브리지를 사용하시는군요..위의
만약 효리시라면 주소에서 breezy인 곳을 hoary로 바꾸시면 되져..
인생이란게 다 그런게 아니겠어요....? 뭘(?)
http://schutepen.egloos.com
[Gentoo]
Gentoo 에선
USE="linguas_ko" emerge acroread
/etc/make.conf 파일 USE에 linguas_ko 추가 해주면,
한글패치가 이루어 지는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T___T
Re: [Gentoo]
LINGUAS="ko"
이렇게 써도 됩니다. ;-)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Re: [Gentoo]
오 나의 여신님.. 감사합니다!
ㅡ_ㅡ;
evince 에서 한글 글꼴이 깨져 보이는데
우분트를 쓰고 있습니다.
evince에서 한글 글꼴이 깨져 보이는데 어떻게 안 깨지게 할 수 있을까요?
xpdf는 xpdf-korean을 설치하니까 잘 보이네요. 그리고 acroread 도 잘 보여주고요.
뭔가 고치면 될 것 같은데 모르겠습니다. 제가 깨져 보인다는 파일은
가 아니고
http://www.ktug.or.kr/doc/lshort-kr/lshort-kr.pdf 입니다. 이 문서는 한글 글꼴이
문서에 포함되지 않은 것 같군요. lshort-kr-sandol.pdf 파일은 어떤 프로그램이든 잘 보여줍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