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메뉴의 설정에 보시면 "원격 데스크탑"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것이 VNC 서버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목적이라면 VNC 서버는 따로 깔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별개의 X 세션을 사용하는 VNC" 같은 것을 쓰고 싶으시다면, VNC 서버를 따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vnc4server 패키지)
VNC 클라이언트는 리눅스의 경우 vncviewer 를 설치하시면 되고 (아마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깔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윈도우의 경우에는 http://bbs.kldp.org/viewtopic.php?t=47890#249166 이것을 쓰세요. 한영키와 Alt+Tab 둘다 잘 될겁니다.
안타깝게도, vncviewer 는 리눅스용보다 윈도우용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Alt+Tab 도 지원되고 말이죠...;;
그리고 우분투는 ftp서버나 telnet서버는 안되는건가요?
apt-get install telnetd해도 묵묵부답 -_-;
그래서 apt-cache search telnet해도 telnetd는 안보이네요.
openssh server설치해도 당췌 뭘 어떻게 해야되는건지 몰라 헤메고 있네요 ㅠ.ㅠ
앞으로 더 헤메어야될듯...
1. 음 "묵묵부답" 이라는게 아무런 설치 메세지도 뜨지 않는다는 건가요? 좀 이상한데요...;;
참고로, telnetd 는 universe 패키지이니, 소스리스트에 universe 를 추가하셔야 합니다. ubuntu.or.kr 의 원하는 패키지를 찾지 못할 때 문서를 참고하세요.
2. ssh 서버는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셔야 합니다. putty 라는 유명한 ssh 클라이언트가 있습니다(물론 putty 는 ssh 뿐만 아니라 텔넷이나 raw 접속도 지원합니다). 접속하시기 전에, 인코딩을 utf-8 로 변경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3. ftp 서버 패키지로는,
* proftpd
* vsftpd
등등이 유명합니다.
firefox wrote:
3. ssh 는 기본으로 깔렸던 것 같은데, 꼭 telnet 을 안써도 된다면, ssh 로..
우분투는 역시 "데스크탑 배포판" 을 표방하고 있어서, ssh 서버가 자동으로 안 깔리더군요~ (사실 저로써는 좀 귀찮긴 하지만... 데스크탑이라고 주장하는데 어쩌겠어요~)
시스템이 부팅할 때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해 놓으면 될 것 같습니다.
/etc/rc.boot 같은 곳에(데비안/우분투 기준) 시작 스크립트를 놓고,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하세요.
물론 sudo 나 su 같은걸로 일반권한으로 vncserver 를 실행하는 것이 좋겠죠?
시스템이 부팅할 때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해 놓으면 될 것 같습니다.
/etc/rc.boot 같은 곳에(데비안/우분투 기준) 시작 스크립트를 놓고,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하세요.
물론 sudo 나 su 같은걸로 일반권한으로 vncserver 를 실행하는 것이 좋겠죠?
rc0.d 부터 rc6.d까지있고 rcS.d 이렇게 있네요.
rc.boot같은건 없는데요?(우분투 효리)
그리고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시작 스크립트는 어떤 파일에 어떻게 넣어줘야하는건지요?
시스템이 부팅할 때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해 놓으면 될 것 같습니다.
/etc/rc.boot 같은 곳에(데비안/우분투 기준) 시작 스크립트를 놓고,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하세요.
물론 sudo 나 su 같은걸로 일반권한으로 vncserver 를 실행하는 것이 좋겠죠?
rc0.d 부터 rc6.d까지있고 rcS.d 이렇게 있네요.
rc.boot같은건 없는데요?(우분투 효리)
그리고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시작 스크립트는 어떤 파일에 어떻게 넣어줘야하는건지요?
/etc/rc.boot 디렉토리를 만드시면 됩니다.
그러면 시스템 시작시에 /etc/rc.boot 안에 있는 모든 실행 파일들(쉘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등등)을 실행합니다.
텍스트 터미널로 리모트접속 할려면 openssh 나 telnetd 를
텍스트 터미널로 리모트접속 할려면 openssh 나 telnetd 를 설치.
X 터미널은 윈도우/리눅스에서도 접속할려면 vnc (realvnc ,tightvnc ) ,FreeNX 등이 있습니다.
리눅스끼리는 XDMCP 로도 가능하구요.
http://www.tldp.org/HOWTO/XDMCP-HOWTO
----------------------------------------
Nothing left after Nirvana.
아...감사합니다. ^^;둘다 설치해야겠네요...
아...감사합니다. ^^;
둘다 설치해야겠네요...
우분투 메뉴의 설정에 보시면 "원격 데스크탑"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
우분투 메뉴의 설정에 보시면 "원격 데스크탑"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것이 VNC 서버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목적이라면 VNC 서버는 따로 깔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별개의 X 세션을 사용하는 VNC" 같은 것을 쓰고 싶으시다면, VNC 서버를 따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vnc4server 패키지)
VNC 클라이언트는 리눅스의 경우 vncviewer 를 설치하시면 되고 (아마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깔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윈도우의 경우에는 http://bbs.kldp.org/viewtopic.php?t=47890#249166 이것을 쓰세요. 한영키와 Alt+Tab 둘다 잘 될겁니다.
안타깝게도, vncviewer 는 리눅스용보다 윈도우용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Alt+Tab 도 지원되고 말이죠...;;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음...vnc가 딱 좋은데 이게 단점이우분투에서 사용자가 로그인 된
음...vnc가 딱 좋은데 이게 단점이
우분투에서 사용자가 로그인 된 상태에서
접속요청이 들어오면 '허락'을 해줘야만 되는군요.
전 외부에서 pc에 마음데로 접속 및 사용을 하기위함인데 ㅠ.ㅠ
아쉽네요.
그리고 우분투는 ftp서버나 telnet서버는 안되는건가요?
apt-get install telnetd해도 묵묵부답 -_-;
그래서 apt-cache search telnet해도 telnetd는 안보이네요.
openssh server설치해도 당췌 뭘 어떻게 해야되는건지 몰라 헤메고 있네요 ㅠ.ㅠ
앞으로 더 헤메어야될듯...
[quote="욕심많은오리"]음...vnc가 딱 좋은데 이게 단점이우
1. vnc 는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ftp 는 서버 설치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 vsftp 를 쓰고 있습니다.
3. ssh 는 기본으로 깔렸던 것 같은데, 꼭 telnet 을 안써도 된다면, ssh 로..
그냥 ssh로
저의 경우에는 우분투에 있는 엑스윈용 프로그램은 그냥 ssh로 해결을 합니다. 엠에스 윈도우에서 접근을 할 경우에는 cygwin을 깔아서 해결을 합니다. cygwin에서 접근을 할 경우에는 좀 느립니다.
ssh 서버 하나면 telnet, 그리고 ftp 두 기능을 몽땅 다 쓸 수 있어서 좋던데요.
==========================
부양가족은 많은데, 시절은 왜 이리 꿀꿀할까요?
=====================
"지금하는 일을 꼭 완수하자."
[quote="욕심많은오리"]음...vnc가 딱 좋은데 이게 단점이우
마찬가지로 원격 데스크탑 설정에 보시면 "허락" 방식을 사용할지 "암호" 방식을 사용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커스텀 VNC 서버를 사용한 방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암호 방식을 사용합니다. (vncpasswd 명령어로 설정)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욕심많은오리"]그리고 우분투는 ftp서버나 telnet서버
1. 음 "묵묵부답" 이라는게 아무런 설치 메세지도 뜨지 않는다는 건가요? 좀 이상한데요...;;
참고로, telnetd 는 universe 패키지이니, 소스리스트에 universe 를 추가하셔야 합니다. ubuntu.or.kr 의 원하는 패키지를 찾지 못할 때 문서를 참고하세요.
2. ssh 서버는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셔야 합니다. putty 라는 유명한 ssh 클라이언트가 있습니다(물론 putty 는 ssh 뿐만 아니라 텔넷이나 raw 접속도 지원합니다). 접속하시기 전에, 인코딩을 utf-8 로 변경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3. ftp 서버 패키지로는,
* proftpd
* vsftpd
등등이 유명합니다.
우분투는 역시 "데스크탑 배포판" 을 표방하고 있어서, ssh 서버가 자동으로 안 깔리더군요~ (사실 저로써는 좀 귀찮긴 하지만... 데스크탑이라고 주장하는데 어쩌겠어요~)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VNC는 로그인 한 상태에서만 접속이 되네요. OTL제가 원한건 원격
VNC는 로그인 한 상태에서만 접속이 되네요. OTL
제가 원한건 원격으로 WOL기능으로 PC를 켜고
제어를 하기를 원하는데 로그인한 상태에서만 VNC가 되니 막막하네요.
오늘은 늦었으니 내일은 SSH나 TELNET쪽으로 알아봐야겠네요.
답변주신분들 정말 고맙습니다.
[quote="욕심많은오리"]VNC는 로그인 한 상태에서만 접속이 되네요
시스템이 부팅할 때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해 놓으면 될 것 같습니다.
/etc/rc.boot 같은 곳에(데비안/우분투 기준) 시작 스크립트를 놓고, vncserver 를 실행하도록 하세요.
물론 sudo 나 su 같은걸로 일반권한으로 vncserver 를 실행하는 것이 좋겠죠?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인클루드"][quote="욕심많은오리"]VNC는 로그인 한
rc.boot같은건 없는데요?(우분투 효리)
그리고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시작 스크립트는 어떤 파일에 어떻게 넣어줘야하는건지요?
[quote="욕심많은오리"][quote="인클루드"][quote="욕심
/etc/rc.boot 디렉토리를 만드시면 됩니다.
그러면 시스템 시작시에 /etc/rc.boot 안에 있는 모든 실행 파일들(쉘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등등)을 실행합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