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로 Ogg Vorbis 사용하시면 커멘트가 무조건 UTF-8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
아.. 근데 궁금한게, MS의 cp949는 무슨 표준에 기반한건가요?
MS 한글판의 encoding을 UTF-8로 바꿀수 있나요?
아니면, 다음 version에서 바뀔 가망성은 있나요??
갑자기 똑같은 것을 여러개로 표현하는 것이 무슨 바벨탑 같은 느낌이 자꾸드네요
왜 이런 노가다를 해야 하는 것인지 쩝...
아니면, linux에서 속 편하게 euc-kr를 쓰는게 맞는 건지.. 쩝.
FTP, 당나귀, 압축파일 등등은 아직 한글때문에 불편하게 많아서.
쩝. 모든 file에 encoding정보가 같이 들어가야 하는 사태가 발생할 것 같군요.
으흐흠
아마록은
http://bbs.kldp.org/viewtopic.php?t=53133
요기를 참고해보세요 ^^
xmms는 폰트설정이 안되어 있으신거 같네요
영문폰트,한글폰트 뭐 이런식으로 xmms설정에서 잡아주시면 됩니다.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xmms 비권장 beep-media-player 권장.beep-med
xmms 비권장 beep-media-player 권장.
beep-media-player 에서 플러그인 설정으로 들어간 후 MPEG 플러그인의 설정에서 convert non-utf8 옵션을 활성화 시킨 후 인코딩명에 cp949 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Re: amarok에서 한글노래 제목이 깨지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easytag에서 utf-8 로 한글 ID tag들을 save하고
amarok에서 "Do not decode the following as latin 1" option들중
ID3v1 tags를 선택하고, 아래 decode charset을 UTF-8로 해주니까
잘 되더군요.
그리고, KDE의 font나 그런 option들도 amarok에 모두 적용되니까
우선 KDE에서 한글 등등이 잘 되나 확인 하시구요.
전 gnome에서 amarok썼더니 제일 처음에 KDE setting이 잘 못되어 있어서
고생좀 했습니다.
아마 위에 방법을 cp949나 euc-kr로도 할 수 있을텐데 전 모두 UTF-8을 쓰고
있어서 그건 확신이 없습니다.
참고로 Ogg Vorbis 사용하시면 커멘트가 무조건 UTF-8로 들어가
참고로 Ogg Vorbis 사용하시면 커멘트가 무조건 UTF-8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
[quote="검은해"]참고로 Ogg Vorbis 사용하시면 커멘트가 무
아.. 근데 궁금한게, MS의 cp949는 무슨 표준에 기반한건가요?
MS 한글판의 encoding을 UTF-8로 바꿀수 있나요?
아니면, 다음 version에서 바뀔 가망성은 있나요??
갑자기 똑같은 것을 여러개로 표현하는 것이 무슨 바벨탑 같은 느낌이 자꾸드네요
왜 이런 노가다를 해야 하는 것인지 쩝...
아니면, linux에서 속 편하게 euc-kr를 쓰는게 맞는 건지.. 쩝.
FTP, 당나귀, 압축파일 등등은 아직 한글때문에 불편하게 많아서.
쩝. 모든 file에 encoding정보가 같이 들어가야 하는 사태가 발생할 것 같군요.
왜 그런 작업이 필요한 것인가 하면..ID3v1의 경우 ASCII
왜 그런 작업이 필요한 것인가 하면..
ID3v1의 경우 ASCII 외의 문자에 대한 지원이 전무하다시피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시스템 코드페이지로 땜빵(?)을 하죠.
ID3v2의 경우 유니코드를 어느 정도 지원하긴 하지만, 모든 프로그램이 유니코드 ID3v2를 제대로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한마디로 국제화를 위한 MP3 태그 표준이 보급화돼있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APEv2는 논외로..)
---
MP3 말고 Ogg Vorbis 사용하시면 문제는 말끔히 사라집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