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gul Jamo와 Hangul Syllable 영역

puzzlet의 이미지

위키백과에서 Hangul Jamo 영역의 글자로 입력하고 글을 저장했는데, 그 부분이 알아서 Hangul Syllable 영역으로 조합돼서 저장된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으ᇰ 옛이응 받침이 들어간 응)을 썼는데, 으ᇰ(으, 옛이응 받침)으로 저장된 것입니다. 그렇게 저장되면 Code2001 같은 네모 글꼴 에서는 '으'와 옛이응이 겹쳐 보이게 됩니다. 제가 알고 있는 글꼴 중에서 한글 자모 영역이 구현되어 있고 네모 글꼴이 아닌 것이 은자모바탕밖에 없어서 훈민정음 같은 글에서는 첫번째 글꼴로 은자모바탕을 지정해 놓기는 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송효진의 이미지

불여우에서는 안그럴거라고 생각합니다.
익스플로러에서 월권(?)하는 거라고 생각되네요.

가끔 불여우에서 작성한 글(힣 뷁 등)이 익스플로러에서 보면 자소가 따로 떨어져 보이는데,
불여우는 모아서 보여주지만, 익스플로러는 모아서 입력하나봅니다.

puzzlet의 이미지

송효진 wrote:
불여우에서는 안그럴거라고 생각합니다.
익스플로러에서 월권(?)하는 거라고 생각되네요.

가끔 불여우에서 작성한 글(ㅤㅎㅣㅎ ㅤㅂㅞㄺ 등)이 익스플로러에서 보면 자소가 따로 떨어져 보이는데,
불여우는 모아서 보여주지만, 익스플로러는 모아서 입력하나봅니다.


저는 불여우를 쓰는데, 윈도우즈와 리눅스 둘 다 테스트해봤습니다.

발발다빠따반반나다발딸발발다빠따따맣발발다뿌
멓터벅더떠벋떠벌더벌벌떠벌떠더법벍떠더벌벌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