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텀이 기본적으로 schuma.. 어쩌고 저쩌고 폰트를 사용하는데
그것이 원래 비트맵이었다가 트루타입으로 바뀌면서 한텀의 기본폰트와는
맞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 것 같습니다.(한텀은 리소스 파일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KDE(또는 기타 윈도우매니저, 데스크탑 환경)하곤
상관이 없습니다)
거기서 hangulFont와 Font를 dordory 님의 시스템에 있는
폰트로 바꿔주시면 됩니다.(xlsfonts를 사용해보세요.)
그리고 권순선님 말씀대로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사소한 것이라도 답하는 분들에게는 큰 정보가 됩니다~
좀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Xfree86 howto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전체적으로 리소스라는 개념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하려면 X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둘이 완전히 따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일단은 폰트 지정하는 것부터 차근히 해 보세요.
그럼 전 이만.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말씀하신 것만으로는 상황파악이 어렵습니다.어떤 배포판을 사용하고
말씀하신 것만으로는 상황파악이 어렵습니다.
어떤 배포판을 사용하고 있는지, KDE의 버전은 어떻게 되는지, 특별히 설치 이후 수정한 사항이 있는지 등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설명하셔야 할 것 같네요.
한텀 폰트문제...
폰트가 없다는 에러메시지를 만난다면
/usr/X11R6/lib/X11/app-defaults/Hanterm 리소스파일을
편집하여 주시면 됩니다.(패쓰가 정확한지 모르겠네요;;)
한텀이 기본적으로 schuma.. 어쩌고 저쩌고 폰트를 사용하는데
그것이 원래 비트맵이었다가 트루타입으로 바뀌면서 한텀의 기본폰트와는
맞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 것 같습니다.(한텀은 리소스 파일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KDE(또는 기타 윈도우매니저, 데스크탑 환경)하곤
상관이 없습니다)
거기서 hangulFont와 Font를 dordory 님의 시스템에 있는
폰트로 바꿔주시면 됩니다.(xlsfonts를 사용해보세요.)
그리고 권순선님 말씀대로 질문은 최대한 자세히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사소한 것이라도 답하는 분들에게는 큰 정보가 됩니다~
Mors est quies viatoris
Finis est omnis laboris
폰트를 지정해 보세요.$ hanterm -fn *schumache
폰트를 지정해 보세요.
$ hanterm -fn *schumacher*bold*16* -hfn *daewoo*
한글 폰트가 보기 싫을 겁니다. 카이스트 이야기 폰트가 가독성이 좋구요. 최근에는 백묵 폰트도 많이 씁니다. 엑스에서 폰트를 찾아보려면....
$ xlsfonts
하시면 됩니다. 이렇게하면 폰트 전체 리스트가 나오니까...
$ xlsfonts | grep baekmuk
이런식으로 하면 백묵 폰트만 출력되겠죠.
$ xlsfonts | grep iyagi
마찬가지로 이야기 폰트만 걸러내는 방법입니다.
여기에서 나오는 폰트 이름을 -hfn 옵션 뒤어 적어주면 됩니다. 영문 폰트는 -fn 뒤로 갑니다. 이걸 매번 타이핑 하기 귀찮으면 .Xdefaults 파일에다가 리소스를 적어 주면 됩니다. 참고로 제가 쓰는 .Xdefaults의 일부입니다.
* 를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시구요.
좀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Xfree86 howto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전체적으로 리소스라는 개념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하려면 X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둘이 완전히 따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일단은 폰트 지정하는 것부터 차근히 해 보세요.
그럼 전 이만.
"I conduct to live,
I live to compose."
--- Gustav Mahler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