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비안이나... 우분투나... 아직까지는 그게 그거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최신 하드웨어를 잘 잡아주는 우분투가 더 유리할 것 같기도 한데요.
우분투 설치 시디로 부팅시 server 를 입력하면 데스크탑 패키지 없이 서버로만 설치됩니다.
막서버(일명 그냥 되는대로 막쓰는 서버)용으로야 말릴 이유가 없지만, 하루에도 20~30개씩 패키지들이 업데이트 되는 우분투를 두고
비교적 중요한 용도의 서버용으로 쓰기엔 뭐랄까.. 좀 껄쩍지근 하지 않을까요?
분명 데스크탑용으로는 더할 나위 없이 좋긴 하지만..
테스트용으로 쓸 서버라면 시험삼아 써보시고, 중요한 용도라면 제고해보심이 옳을 줄로 압니다..
그나저나 요즘엔 호스팅업체들도 2.6버젼대의 커널을 많이 쓰더군요.
전 그래도 서버는 데비안 우디! (2.2 혹은 2.4 버젼의 든든함!)
별로 -_-;
Desktop 용으로 나왔다고 알고 있는데요..
서버 돌릴꺼면 데비안이 훨씬 낫지 않을까요..
뭐 우분투를 아직 안써봐서
정확히 말씀은 못드리겠습니다만..
데비안을 쓸 당시에
매우 좋아라 했었습니다 ㅎㅎ
물론 지금은 BSD가 더 좋아요 >.<
Every man dies. But not every man truly lives.
데비안이나... 우분투나... 아직까지는 그게 그거라고 생각합니다.오
데비안이나... 우분투나... 아직까지는 그게 그거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최신 하드웨어를 잘 잡아주는 우분투가 더 유리할 것 같기도 한데요.
우분투 설치 시디로 부팅시 server 를 입력하면 데스크탑 패키지 없이 서버로만 설치됩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인클루드"]데비안이나... 우분투나... 아직까지는 그게
막서버(일명 그냥 되는대로 막쓰는 서버)용으로야 말릴 이유가 없지만, 하루에도 20~30개씩 패키지들이 업데이트 되는 우분투를 두고
비교적 중요한 용도의 서버용으로 쓰기엔 뭐랄까.. 좀 껄쩍지근 하지 않을까요?
분명 데스크탑용으로는 더할 나위 없이 좋긴 하지만..
테스트용으로 쓸 서버라면 시험삼아 써보시고, 중요한 용도라면 제고해보심이 옳을 줄로 압니다..
그나저나 요즘엔 호스팅업체들도 2.6버젼대의 커널을 많이 쓰더군요.
전 그래도 서버는 데비안 우디! (2.2 혹은 2.4 버젼의 든든함!)
--->
데비안 & 우분투로 대동단결!
[quote="kirrie"]막서버(일명 그냥 되는대로 막쓰는 서버)
우와 하루 20-30개 패키지들이 업데이트 되나요? 서버는 커녕 데스크탑 용으로도 쓰기 두렵군요. 일주일에 한두개 업데이트도 귀찮아 죽겠는데...
데스크탑으로는 이용이 편한데요. 제가 얼마전에 테스트해볼려고 서버로 만들
데스크탑으로는 이용이 편한데요. 제가 얼마전에 테스트해볼려고 서버로 만들려고 했는데, 좀 불편하더군요. 왜냐면, root 암호가 뭔지 모르기 때문이었습니다.
우분투에서는 root 암호를 따로 주지 않고, 그냥 sudo를 이용하도록 하고 있거든요. 물론 root 터미널을 제공하고는 있지만,
아마, 세팅을 어떻게?? 바꾸면 su - 를 이용해서 사용자 변환도 가능하겠지만요. 저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다른 배포본 그냥 설치했죠 ㅠㅠ
서버로 깔았을 때 서버관련 패키지들은 하루에 20~30 개씩 업데이트 안
서버로 깔았을 때 서버관련 패키지들은 하루에 20~30 개씩 업데이트 안되던데요.
보통 업데이트 많이 되는 게 Gnome 관련(데스크탑쪽이죠.)이나 멀티미디어 관련인데, 아파치나 ftp 서버등은 5.04 깐 다음에 한두번이나 업데이트 됐나.. 그 정도 입니다.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sudo passwd
터미널여시고 sudo passwd
하면 루트 암호 입력이 가능합니다.
처음에는 계정암호를 물어보고 다음으로 입력할 루트암호를 물어봅니다.
이제부터 루트로 로긴도 가능하고 su 로 루트권한을 획득 할 수 도 있지요....
==================================================================
정체된 일상.... 계기를 만들어야 하는데........
BLOG : http://khmirage.tistory.com/
패키지가 자주 업데이트 되는것은 단점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업
패키지가 자주 업데이트 되는것은 단점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업데이트가 있어도 해주지 않고 가끔씩만 해 주면 되는 것 아닌가요...?
또, testing 이 아닌 stable 버전을 쓰면 업데이트의 수도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
블로그 / 위키 / 리눅스 스크린샷 갤러리
[quote="kirrie"]하루에도 20~30개씩 패키지들이 업데이
릴리즈 되면 더 이상 패키지 업데이트 없습니다. 베타버전을 말씀하는군요.
우분투는 woody처럼 보안문제가 있을때만 그 패키지에 한해서 업데이트 됩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