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스템 리눅스 설치기

diylinux의 이미지

지금까지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하면서 이렇게 많이 그리고 이렇게 오랫동안 투자한적은
처음인듯 하네요.. 우선 시스템 사양입니다.

CPU: proscott 630
Memory: 1G
Hard: SATA 120G
VGA: nvidia 6600
MB: ASUS p5GD1( Gbps Lan, HD Audio(Realtek 880) 8channel)
Media: LG DVD-RW

다음은 이 시스템에 리눅스를 설치한 내역입니다.

** 기존 시스템: PIII 800Mz, 512MB, 190G(80GX2, 30GX1), TV card, NIC X2, CDRW
** 예전 시스템: PII 450Mz, 196MB, 110G( 80Gx1, 30Gx1), NIC X1, CD-Rom
** 기타 시스템: alpha, sparc 각각 1대씩
** Laptop : sony vio PGC-SRX55TL)

( 금요일)

1. LInux 설치
: Fedora3를 쓰고 있었기 때문에 Fedora3를 설치하기로 맘 먹음.
: 그래도 명색이 64비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x86_64 버전을 설치하려고 시도함.

2. 설치중..
: Fedora 3 를 다운 받은 후 CD로 구울려고 생각함.
: 원래 있던 컴퓨터에 CD-RW가 있었으나 약간의 문제로 인해 CD-Writing이 되질
않음
: Laptop(vio PCG-SRX55TL model) 에 있는 Writer를 이용함
: Fedora 3를 모두 다운 받은 후 설치하기 시작함.
3. 문제 발생
: 이상하게 설치하는 도중에 자꾸 시스템이 다운됨.
: 열이 많다는 것을 익히 들었기 때문에 혹시 열때문인지 하는 생각에
본체를 뜯어놔서 바람이 잘 통하게 함
: 다음날 쿨링팬을 사기로 마음 먹음.
: 열이 많이 난다는 것때문에 BIOS에서 CPU 온도를 체크함 --> 49도에서 50도 사이에 왔다 갔다함. 열때문이 아니라 생각함..
: 그럼 CD Media를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운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함. FTP로 설치하기로 마음 먹음.

4. FTP 설치중
: Floppy가 없기 때문에 CD Media에 boot.iso를 이용해서 부팅 시도함.
: 기존에 있는 컴퓨터 를 FTP 설정하고, ftp에 모든 파일을 복사함.
: 설치 시도 ----> 여전히 설치 도중에 시스템이 다운됨.

(토요일)
5. 어느새 다음날이 됨. 쿨링팬을 사로 감. Zalman Cooler를 사서 옴( 처음에는
케이스 쿨러를 살려고 했으나, 파는 분의 권유로 잘만 쿨러를 삼. 거기다가
2port짜리 KVM 도 같이 삼. 기존에 사용하던 KVM에서 Keybard와 mouse가
충돌하는 문제가 있었음)).

6. 쿨러를 달기 위해 보드를 또 뜯음(아 귀찮음). CPU 가 소켓 775방식이기 때문에
잘만 쿨러를 달기 위해서는 보드에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했음.
설치가 끝나고 이제는 잘 되겠지 하는 생각을 하는 도중...... 선이 하나 남는게 보임.
(이넘은 무슨 선이지..한참 생각하다가.. 무시하기로 함).
---> 부팅 시도--->시원한 쿨링팬 소음(-_-)이 들림.--> 바이오스에서 팬 속도를
알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를 뿌려주면서 멈춰버림. --> 그래도 새로운 시스템인데
왠지 찝찝함.---> 다시 보드 뜯음.---> 확인해보니 쿨링팬의 속도를 체크하는
점퍼가 P5GD1일 경우에는 4핀 짜리임. 잘만 쿨러는 3핀 짜리---> 다시 정품 쿨러로
변경함( 파는 사람좀 오래 살겠더군요..=_=)

7. 구글신한테 문제가 무엇인지 조언을 구함.
다들 아시겠지만 구글신이 좀 수다스럽습니까.. 다 보내주마..라고 그 정보를 필터링하는데 한참 걸림. ---> 결국 문제가 무엇인지 모르고 조언을 구하기로 생각함.
--> 아는 동생한테 물어봄 ---> EIST옵션을 켜라고 함 --> EIST옵션이 몬지 모르겠다고 하니 바이오스 설정에 보면 있다고 함--> 내 바이오스에는 없는데??-->보드의 바이오스 업그레이드하면 있다고 함-->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결심.

8.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 먼저 ASUS에서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를 하는 방법을 찾음.
: Dos 혹은 Windows에서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됨. =_=
: (리눅스 바이오스 프로젝트는 어케 됐나..에휴..)
: 이 시스템에.. Windows를 설치하자니 왠지 아까운 생각이 들지만 어쩔 수 없이
임시 방편으로 설치하려고 결심함... Windows 를 찾았지만 가지고 있는건
Windows 98SE 버전만 있음.
Windows설치중......(왜 Windows는 컴퓨터 속도가 빠르든 늦던..항상 50분있까..)
어쨌든 설치를 끝냄. nic 안잡힘. VGA 안잡힘. 어쩔 수 없이 dos로 설치하기로
마음 먹음. 흠..floppy가 없다는 것이 생각났음.. 예전 컴퓨터에서 플로피를 떼기로
생각함... 어쨌든 기존 롬을 백업 받고, 다운 받은 새로운 롬을 설치함.
설치 한 순서는..
ASUS에서 최신 롬 다운 받음 ---> Laptop에서 CD로 구움---> windows에서
floppy 로 복사함--> 기존 롬을 백업 받고, 새로운 롬으로 업그레이드함
--> 그런데 도대체 EIST라는 걸 못찾겠음---> 베타에는 있는지..롬을 베타 버전 다운 받음---> CD로 굽고, Windows에서 floppy로 복사한 다음 도스로 부팅해서 롬을 기록함--> 그래도 못찾겠음.. 포기 직전에.. 보드 메뉴얼을 웹에서 다운 받아 다시 한번
읽어봄.. EIST??---> E?? intel speedstep technology..=_= --> enable시킴

(일요일..)
9. 드디어 fedora x86_64를 설치해보게 됨
: 설치..하는 도중에 다운되는 증상은 사라짐.. 모두 제대로 설치가 됨..
: 설치하는 도중에 zalman 쿨러 반환하로 감(4핀짜리가 있어요?? 라는 말을 들은 후
있어요..라는 강력한 포스 한방으로 모두 환불 받음. ^^;;;)

10. 설치 종료후..
: nvidia 인데.. 부팅후 화면이 까맣게 나오면서 시스템이 다운됨.
VGA 카드 설정 문제라는 강한 생각으로 다시 부팅을 시도한 후 framebuffer를 이용해서 부팅함( 순전히 firstboot 화면 볼려고..진행바 볼려고..=_= )
: 오.. 이 감격.. 이 속도.. 짱임.. 아.. 나두 진정한 64비트의 바다에 빠지는 군..이라는 생각과 더불어 내 시스템에서 사운드와 Lan이 안된다는 것과 VGA가 framebuffer로
동작한다는 생각이 듦.

11. 재부팅..
: 예전 컴퓨터에서 realteck 8139 랜카드를 떼서 새로운 시스템에 붙임 -->시스템의 패키지를 up2date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시도함--> 하루 죙일 걸림
: 어쨌든 모두 올린후 커널 버전 확인하니 2.6.10임. 앗싸~
: nvidia의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 받은 후 설치 시작함.
: nvidia왈.. precompiled된게 없다.. 다운 받을래?? 응~!!!! 없다.. 컴파일 시켜줄께..
: 라는 친절한 nvidia..갑자기 하는 말.. 나는 2.6.11이상이어야 제대로 되는데..
업그레이드 한 다음에 다시 해줘~~ 라는 말에 좌절함..
: 하지만 FC를 믿기에 업데이트 사이트로 감--> 최신 버전이 2.6.10임.
--> 11을 찾으니 FC4 test에만 있음.. 고민함..vanilla를 설치할까.. 아니면..FC4를 설치할까.. 귀차니즘으로 FC4에 있는 커널을 다운받은 후 설치함.--> 커널에서 요구하는 사항도 다양함..--> 친철하게 다 설치해줌..--> 덕분에 시스템이 엄청 불안함..->
여기에서부터는 그냥 테스트로 설치해봐야지..하는 생각이 강하게 들기 시작함.
--> 컴파일 시도함..---> 그래도 HT이용해서 daul로 잡는데..거기다가 3.0G인데..
--> 커널 컴파일 하는 도중에 KDE 테마 바꿀려고 kde-look에서 테마 다운 받음--> 설치하는 도중에 32비트 라이브러리 달라고 자꾸 징징대면서 죽어버림..--> 링크 시켜줌--> 그래도 몰라 이건 몬지 몰라 32비트 줘..-->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그냥 bluecurve쓰지모..하는 생각으로 포기함..=_=
이 와중에 커널 컴파일이 끝남--> 재부팅---> 커널 패닉--> 흠..역시 맞질 않는군..
하는 생각으로 소스 컴파일 시도함.--> 한김에 필요없는건 조금 뺌-->다시 커널 컴파일--> 다시 커널 패닉..--> !! 충격..아무리 커널 컴파일 잘 안해도.. 패닉이 나다뉘 =_= !!
--> 오류 메시지는 xxxx.ko를 찾을 수 없음.. 흠.. initrd 이미지 문제이군--> initrd 이미지를 확인하려모 풀어서 마운트 함---> 마운트 할수 없다고 함--> 흠..역시 inttrd 문제라 생각함..--> 다시 initrd이미지 만들어줌..--> 재부팅--> 패닉 ---> =_+ initrd이미지의 내용을 보려고 시도함..--> 마운트 안됨--> file로 특성확인--> cpio 파일이라고 함--> =_= 어쨌든 cpio로 풀어서확인함 -->필요한 사항은 모두 다 있음..에휴..
이건 아직 데스크탑으로 쓰기에는 부적절하다는 FC의 계시로 생각함 -->여기에서부터
gentoo로 바꿔야겠다는 강력한 외침소리가 들리기 시작함..--> 언제 컴파일 다하지..라는 생각을 하는 순간 외침소리가 중얼거림으로 바뀜..
--> FC4 test를 설치해서 쓰다가 안정화되면 그때 다시 설치하자..라는 생각을 함.

(월요일)
12. 회사 선배한테 Fedora 4 test x86 dvd와 x86_64 dvd를 구워달라고 부탁함
--> 두장을 들고 오후 7시 쯤 퇴근함.

(fedora core 4 설치 시도)
13. 설치할때 xfs를 선호하는 편이라 linux xfs 옵션을 주고 부팅함.
anaconda에서 한글이 모두 깨짐---> 뭐..베타버전이니까--> xfs 파일 시스템을
포멧하는데 문제가 발생했다고 함.---> 설마....--> 영문으로 설치를 시도함 -->
역시 문제가 있다고 함 --> bugzilla 뒤짐--> 답변을 찾기에는 너무 많는
내용이 있음---> xchat 로 fedora에 들어감---> xfs로 설치하는 도중에 오류가 생긴다고 물어봄.---> 아무도 대답 안함---> 잠시 놀다가 얘들이 질문하는거 답변만 해줬음-->#fedora-devel로 들어감--> 동일한 질문을 물어봄--> 한얘가 topic를 보라고 함--> topic에는 버그질라를 활용해주세요..라는 말이 친절히 쓰여저 있음--> 다시 한번
버그 질라 뒤짐---> xfs를 100%지원하지 못한다는 말과 함께 anaconda의 개발 버전을
다운 받으라는 말이 있음--> 이걸로 확 다시 패키징해버려??? 라는 생각이 들지만-->너무 너무 귀찮음(아시죠? 순 노가다란걸..)--> 그냥 조용히 FC4는 접음 =_=

(화요일)
14.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다..
: 무엇이 문제인지 고민하기 시작함--> 아.. 역시 64비트는 아직 요원하구나..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함--> 애써 이것도 안되고, 이것도 안되고,, 그냥 32비트 쓰자-->
이런 결심을 하게 되면서 지금껏 했던 노력이 모두 물거품으로 돌아감 =_=

15. FC3설치
: 역시 설치는 잘됨. 이제는 framebuffer로 사용하는것에 익숙해져버렸음 =_=
: F 를 xfs로 설치한 후 모두다 업그레이드 함

(수요일)
16. 커널 업그레이드 시도함
: nvidia는 2.6.11이상을요구하지만 사운드를 알아본 결과 2.6.12 혹은 alsa 1.0.7버전에서 intel HD를 지원함.
: 2.6.12-rc1 에 mm patch 함
: 커널 컴파일을 시도함--> 패닉이 남--> fedora에는 커널 컴파일할때 특이사항이
있을거라고 판단함--> 문서를 읽어봤지만 특이사항이 없음--> irc fedora 채널에 문의함 --> 모두 builtin 하라고 함(fs builtin, sata builtin 함) --> 커널 올라감

( 목요일)
17. sound에 대해서 확인함 ( 사운드는 lspci할 경우 snd-hda-intel를 요구함)
커널 컴파일 시도함 --> 제대로 올라오지만 사운드는 안들림--> 이유를 모르겠음..
-->alsa mixer실행을 해봄--> 모든 채널(8채널)이 off 되어 있음--> 구글 검색--> azalia라는 모듈을 이용하라고 함--> 확인해본 결과 alsa 1.0.7이상에서 제공하지만 realtek 에서는 1.0.4를 제공하고 있음.--> 커널 버전과 맞질 않아서 제대로 컴파일되지 않음--> 다시 한번 구글을 검색함--> azx라는 모듈을 사용하라고 나와있음--> alsa-driver를 컴파일 한후 모듈을 올려봄--> 검색하지 못함--> device가 없다는 메시지처럼 나옴-->다시 검색함--> sndhda-intel를 사용하라는 말이 있음--> 커널에 이미 있기 때문에 모듈을 올렸음--> 잘 올라감--> alsamixer 를 실행하니 6채널로 잡히지만 모든게 다 off임--> 갑자기 mute라는 단어가 생각이 난후 m을 눌러봄. 사운드 잘 들림

이렇게 해서 근 일주일 동안 시스템 설정에 들어간것 같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론 이것은 P5GD1 보드를 사용할 경우입니다)

1. 64비트로 사용하실 경우
보드에서 제대로 지원하는지 확인하시고 될수 있는한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하시는게 좋습니다.

2. FC4-test에는 ext3/ext2외 에는 다른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못하고 전반적으로 불안합니다. (당연한건지 모르겠네요..)

3. 64비트로 설치하시면 필요한 32비트 라이브러리를 복사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아니면 여러가지 dependency가 걸릴 수 있습니다.

4 RealTek 880(d)일 경우에는 kernel 2.6.12를 사용하시고, 아니면 FC 에 있는 2.6.11를 사용하시되 직접 컴파일 하셔서 올리시기 바랍니다. snd_hda_intel 모듈을 이용합니다.

5. Marvell 은 sk98lin이라는 모듈을 이용합니다. 이것은 2.6.11이상에 있는 것으로
확인했지만,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ASUS 홈페이지에 가서 보면
LInux용 드라이버가 있습니다.

6. SATA는 대부분 SCSI 로 잡힙니다 . 이 보드에서는 ata_piix 모듈을 이용합니다.

7. 될 수 있는한 FC3에서는 커널을 컴파일할때 파일 시스템, 그에따른 드라이버는
builtin하는게 편합니다 (아니면 자칫 커널 패닉 화면을 보게 될겁니다)

아..그래도 그나마 잘 설치가 된것 같아 기분은 좋네요..:)

bus710의 이미지

진정한 베타 테스터 십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모험도 좋지만 전 한동안( 혹은 아주 오랫동안 ) 노멀 유저로 살렵니다...ㅠ.ㅠ;;;;

life is only one time

doodoo의 이미지

존경합니다

그나저나 지금은 잘 사용하고 계시는지......

지금쯤 후기를 올리셔야 할 시기인것 같습니다...^^;

budle77의 이미지

그게 그런 문제였나요? 전 설치하다가 다운되길래 걍 정식 버전 릴리즈되면 써야지~하고 놔뒀는데... ^^;

다시한번 설치해 봐야 겠네요.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