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뱐도 깔고보면 리눅습니다. 별로 다를거 없어요.
레드햇 계열이 훨씬 편하고 좋아요. 데비안은 익숙해 지면 편하지만,
익숙해 지기까지 좀 짜증나요.. 레드햇이 괜히 인기가 있는게 아니죠..
성능은 당연히 똑같죠.. 레댓이나 데뱐이나..
프비는 완전히 다른(겉모양은 비슷해 보여도) OS니까, 비교하긴 어렵지만,
대체적으로 쓰면서 느끼는건데, 리눅스보다는 한결 빠르고 좋은느낌...
근데 데비안처럼 좀 어렵고, 문서도 별로 없죠.. 맨페쥐하고 영어로된 handbook이 거의 문서의 전부... T.T
걍 편하게 쓰시려면 래댓을 쓰시고, 좋은 성능을 원하시면 프비쓰세요.
그냥 제 사견입니다... 약간의 참고가 되시기를..
그냥 wrote..
국내외 있는 리눅스라는 리눅스는 다써보다가
지금은 맨드레이크 7.1을 쓰고 있읍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데뱐 시디를 공구하더군요.
데뱐이 좋은가요?
freebsd보다 좋은건지? 리눅스와 호환성은 어떤지?
툴은 갖추고 있는지? 한글 문제점은?
일본어도 입력이 가능한지?
그냥 wrote..
국내외 있는 리눅스라는 리눅스는 다써보다가
지금은 맨드레이크 7.1을 쓰고 있읍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데뱐 시디를 공구하더군요.
데뱐이 좋은가요?
freebsd보다 좋은건지? 리눅스와 호환성은 어떤지?
툴은 갖추고 있는지? 한글 문제점은?
일본어도 입력이 가능한지?
Re: 일반리눅스 배포본보다 데뱐이 좋나요? 어떤점에서?
데뱐도 깔고보면 리눅습니다. 별로 다를거 없어요.
레드햇 계열이 훨씬 편하고 좋아요. 데비안은 익숙해 지면 편하지만,
익숙해 지기까지 좀 짜증나요.. 레드햇이 괜히 인기가 있는게 아니죠..
성능은 당연히 똑같죠.. 레댓이나 데뱐이나..
프비는 완전히 다른(겉모양은 비슷해 보여도) OS니까, 비교하긴 어렵지만,
대체적으로 쓰면서 느끼는건데, 리눅스보다는 한결 빠르고 좋은느낌...
근데 데비안처럼 좀 어렵고, 문서도 별로 없죠.. 맨페쥐하고 영어로된 handbook이 거의 문서의 전부... T.T
걍 편하게 쓰시려면 래댓을 쓰시고, 좋은 성능을 원하시면 프비쓰세요.
그냥 제 사견입니다... 약간의 참고가 되시기를..
그냥 wrote..
국내외 있는 리눅스라는 리눅스는 다써보다가
지금은 맨드레이크 7.1을 쓰고 있읍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데뱐 시디를 공구하더군요.
데뱐이 좋은가요?
freebsd보다 좋은건지? 리눅스와 호환성은 어떤지?
툴은 갖추고 있는지? 한글 문제점은?
일본어도 입력이 가능한지?
데비안의 장점은!!!
데비안의 장점은 패키징입니다.
dselect 의 기능..
네트워크가 연결 안된상태에서는 데비안 쓰기가 불편합니다.
Re^3: 헉!! 그럼 모뎀사용자는...
데비안 사용을 힘들게 할 준비하라는 건가?
으~~ 나도 전용선을 원한다 !!!
근데 돈이 없네... ^^;
To be continued
Re^4: 헉!! 그럼 모뎀사용자는...
2000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시디 1장에 넣을수 없지요..
이건 응용 프로그램 시디를 만들어서 팔면 되지만 (패키지 모음 시디)
또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는 프로그램들은 어떻게 할까요???
맞습니다...정말 편하죠...
rpm이라면
ftp로 접속하고..솔직히 마땅한 ftp찾기 어려움..
다운받아서
rpm -ivh asdfsdfasdfas
근데 의존성문제도 생기고
하지만 원격지 서버 업하는것도 쉬운 데비안!!
dselect로 한방에 끝!!
헐..
그냥 게으르고.. 네떡 있으면 데뱐 쓰세여..
흠냐..
헐..
툴은 많이 같추구 있구여.. 컴파일할 일이 없어지구여..
일본어 입력을 원할 경우 task-japan 패키지만 깔면
될꺼구여...
리눅스와의 호환성은 데뱐도 리눅스니까 문제없구여..
프비와의 비교라면 어떤 면에서냐구
다시 물어야 겠져..
헐..
그럼 휘리릭..
그냥 wrote..
국내외 있는 리눅스라는 리눅스는 다써보다가
지금은 맨드레이크 7.1을 쓰고 있읍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 데뱐 시디를 공구하더군요.
데뱐이 좋은가요?
freebsd보다 좋은건지? 리눅스와 호환성은 어떤지?
툴은 갖추고 있는지? 한글 문제점은?
일본어도 입력이 가능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