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생각..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안녕하세요. 선장입니다.
음. 전 작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대부분 GPL과는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왔습니다.(걔중에는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것도 두어개
있습니다. 밝히기는 그렇고..)

현재 리눅스 관련 회사들의 수익구조(에고. 어려운말이다)
는 GPL로 보호받는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의
비용으로 수익을 얻는.. 그런 회사들이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서비스가 필요없는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간단한 메모장이나, 압축해제 프로그램같은 악세사리 프로그램
들을 만드는 회사는 수익을 리눅스에서 전혀 기대할수 없을겁니다.

아닌가요?

이런 부분도 문제가 조금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MTV같은 비교적 성공적인 프로그램도 있고,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XHOST같은 BBS 호스트 프로그램도 있는걸로
MTV같은건 벌써 크랙이 퍼진 상태이고, XHOST도 거의 개발을 포기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XHOST류라면 사용자 지원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요. 이글은 사용자 입장의 글이 아닙니다.

리눅스를 통해 수익을 얻어려 시도하는 회사의 입장이라면?
그냥 아침에 또 쓰잘데기 없는 생각일까.. -_-;
에이. 일이나. -_-;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생각에는 윈도우나 유닉스에서 돌아가던 상용프로그램을 리눅스로 포팅
하는 경우에는 GPL의 제한도 거의 없고 소스코드 공개에 대한 부담도 별
로 없읍니다.
그리고 그럴경우 리눅스버전이라고 해서 윈도우나 유닉스보다는 싸야할 이
유도 없는것이죠. 고객의 입장에서는 OS에 들어가는 비용과 다른 프로그램
의 비용이 줄어들게 됨으로 전체적으로는 리눅스버전에서 돌리는 것이 훨
씬 경제적이 될 것이며 회사의 입장에서는 지원하는 플랫폼이 하나더 늘어
나게 되는 것이죠.

즉, 수익을 창출해야되는 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의 관점에서는 리눅스를 윈
도우나 상용OS와 같은 레벨의 'OS'로만 접근하는 것이 수익모델을 만들기
에 좋지 않을까요?

예를 들면 Oracle, IBM DB2, WebLogic 등등은 전부 리눅스버전이 있는데
이들은 다른 OS플랫폼과 가격이 동일할 뿐더러 이들의 개발회사는 리눅스
버전으로도 수익을 내고 있지요.

선장 wrote..
안녕하세요. 선장입니다.
음. 전 작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대부분 GPL과는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왔습니다.(걔중에는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것도 두어개
있습니다. 밝히기는 그렇고..)

현재 리눅스 관련 회사들의 수익구조(에고. 어려운말이다)
는 GPL로 보호받는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의
비용으로 수익을 얻는.. 그런 회사들이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서비스가 필요없는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간단한 메모장이나, 압축해제 프로그램같은 악세사리 프로그

들을 만드는 회사는 수익을 리눅스에서 전혀 기대할수 없을겁니다.

아닌가요?

이런 부분도 문제가 조금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MTV같은 비교적 성공적인 프로그램도 있고,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XHOST같은 BBS 호스트 프로그램도 있는걸로
MTV같은건 벌써 크랙이 퍼진 상태이고, XHOST도 거의 개발을 포기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XHOST류라면 사용자 지원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요. 이글은 사용자 입장의 글이 아닙니다.

리눅스를 통해 수익을 얻어려 시도하는 회사의 입장이라면?
그냥 아침에 또 쓰잘데기 없는 생각일까.. -_-;
에이. 일이나. -_-;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흠... 아침에 선장님께서 리플라이좀 부탁한다고 하셔서..
아무생각없이 Reply 해봅니다 -_-;;;

선장 wrote..
안녕하세요. 선장입니다.
음. 전 작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대부분 GPL과는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왔습니다.(걔중에는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것도 두어개
있습니다. 밝히기는 그렇고..)

아마 제가 있는 곳은 더 작겠지요.. -)
저는 허접한 실력에도 불구하고 상거래사이트를 개발중입니다.
프로그래머는 저 혼자... -_-;;;


현재 리눅스 관련 회사들의 수익구조(에고. 어려운말이다)
는 GPL로 보호받는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의
비용으로 수익을 얻는.. 그런 회사들이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서비스가 필요없는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간단한 메모장이나, 압축해제 프로그램같은 악세사리 프로그램
들을 만드는 회사는 수익을 리눅스에서 전혀 기대할수 없을겁니다.

아닌가요?

이런 부분도 문제가 조금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MTV같은 비교적 성공적인 프로그램도 있고,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XHOST같은 BBS 호스트 프로그램도 있는걸로
MTV같은건 벌써 크랙이 퍼진 상태이고, XHOST도 거의 개발을 포기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XHOST류라면 사용자 지원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요. 이글은 사용자 입장의 글이 아닙니다.

리눅스를 통해 수익을 얻어려 시도하는 회사의 입장이라면?
그냥 아침에 또 쓰잘데기 없는 생각일까.. -_-;
에이. 일이나. -_-;

흠... 상당히 찔리는 글이 -_-;;;
mtv... 냐하.. 크랙해서 쓰다가..
얼마전에 어떤님이 업버젼 크랙있다고 깔아보라고 해서 깔았는뎀..
크랙이 안되는 허무함이 -_-;;;

모두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저희도 작은 회사인데요.
그래서 리눅스 보다 NT쪽을 먼저 만듭니다.
그다음에 리눅스로 포팅 하고....
말이 포팅이지 거의 새로 짜는 수준...
개발툴의 열악함.
일이나 하야쥐

선장 wrote..
안녕하세요. 선장입니다.
음. 전 작은 소프트웨어 회사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대부분 GPL과는 상관없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왔습니다.(걔중에는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것도 두어개
있습니다. 밝히기는 그렇고..)

현재 리눅스 관련 회사들의 수익구조(에고. 어려운말이다)
는 GPL로 보호받는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그에 대한 서비스의
비용으로 수익을 얻는.. 그런 회사들이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말은 바꾸어 말하면, 서비스가 필요없는 프로그램들.
예를 들어 간단한 메모장이나, 압축해제 프로그램같은 악세사리 프로그

들을 만드는 회사는 수익을 리눅스에서 전혀 기대할수 없을겁니다.

아닌가요?

이런 부분도 문제가 조금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MTV같은 비교적 성공적인 프로그램도 있고,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XHOST같은 BBS 호스트 프로그램도 있는걸로
MTV같은건 벌써 크랙이 퍼진 상태이고, XHOST도 거의 개발을 포기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XHOST류라면 사용자 지원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요. 이글은 사용자 입장의 글이 아닙니다.

리눅스를 통해 수익을 얻어려 시도하는 회사의 입장이라면?
그냥 아침에 또 쓰잘데기 없는 생각일까.. -_-;
에이. 일이나.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