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트록스220도 괜찮은건가요?

이한길의 이미지

한번 반품하고 무척 신중히 듀얼 그래픽 카드를 보고 있었습니다..그런데..

얼마전 옥션에 보니까...

MATROX / 밀레니엄2/미스틱220/4메가PCI/듀얼용

요런것도 있네요.. AGP카드 볼트인가 배속인가 신경 안써도 될것 같아서..
그리고 무척 싸서 ... 어짜피 멀티미디어는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하나 살까 하는데 괜찮나요?

오직 2D만 하는데..
근데 4MB듀얼이라는게 무척 ... 의심스럽네요..
판매자는 사용해보시면 압니다 하는데...

kosta3의 이미지

220에 듀얼이 있었나요? - _-;;
아무래도 듀얼이란 의미는 남는 PCI에다가 새로 설치후에
듀얼 모니터로 써라.. 뭐 이런 의미인거 같습니다.
그냥 듀얼용이라고 붙인것 같은데, 확실한건 그림을 봐야 알것 같네여

ydhoney의 이미지

그래픽 메모리 계산법이 있었는데..잘 기억은 안납니다만..-_-;

(사용하려는 해상도의 픽셀수랑 몇bit칼라를 사용하느냐를 어떻게저떻게 하면 나왔던걸로..)

생각보다 2D용은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지는 않는듯 합니다.

물론 해상도가 1900대를 넘어서고 기본 24bit 칼라에 듀얼을 쓰고 그래픽 워크스테이션이라며 온갖 삽질을 해대고 하면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겠습니다만..

이한길의 이미지

kosta3 wrote:
220에 듀얼이 있었나요? - _-;;
아무래도 듀얼이란 의미는 남는 PCI에다가 새로 설치후에
듀얼 모니터로 써라.. 뭐 이런 의미인거 같습니다.
그냥 듀얼용이라고 붙인것 같은데, 확실한건 그림을 봐야 알것 같네여

한참을 뚫어지듯 보니까 답이 나오네요...

저게 제가 잘못 안건가봐요.. 매트록스220이 아니라...
종류가 여러가지인가봅니다... ㅡㅡ;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이한길의 이미지

ydhoney wrote:
그래픽 메모리 계산법이 있었는데..잘 기억은 안납니다만..-_-;

(사용하려는 해상도의 픽셀수랑 몇bit칼라를 사용하느냐를 어떻게저떻게 하면 나왔던걸로..)

생각보다 2D용은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지는 않는듯 합니다.

물론 해상도가 1900대를 넘어서고 기본 24bit 칼라에 듀얼을 쓰고 그래픽 워크스테이션이라며 온갖 삽질을 해대고 하면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겠습니다만..

1024*768*2(16bit high color)*2(frame buffer) 이정도면 안될까요?

두개라면 최소한 저 위의 더블은 되야겠지요..
그러면 대략 6MB인데..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이한길의 이미지

아무래도 제가 상품에 대해 잘못 안게 아닐까 싶어서 지울려고 했는데...
벌써~... 너무 빠릅니다.. KLDP는... 앞으로는 글 쓰기에 좀더 신중을 기해야겠어요..

----
먼저 알게 된 것을 알려주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http://hangulee.springnote.com
http://hangulee.egloos.com

warpdory의 이미지

미스틱 220 이 정식 제품명입니다.

밀레니엄 2 의 light 버전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저도 집에 하나 있습니다. 제가 쓰는 용도는 말 그대로 '듀얼'용입니다.

PCI 버스를 쓰기 때문에 ... AGP 를 이미 어떤 VGA 카드가 하나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에 미스틱 220 을 꽂아서 듀얼모니터로(정확히는 두번째 모니터로) 연결해서 쓰는 경우에 꽤 쓸만합니다.

첫번째 VGA(AGP) 에서는 그래픽 작업하고 .. 뭐 이러면서 두번째 VGA(PCI, 이경우에는 미스틱 220 이지요.)에서는 텍스트 작업하고 .. 이럴 때 매우 쓸만합니다. 제가 그렇게 쓰거든요.


---------
귓가에 햇살을 받으며 석양까지 행복한 여행을...
웃으며 떠나갔던 것처럼 미소를 띠고 돌아와 마침내 평안하기를...
- 엘프의 인사, 드래곤 라자, 이영도

즐겁게 놀아보자.

ydhoney의 이미지

이한길 wrote:
ydhoney wrote:
그래픽 메모리 계산법이 있었는데..잘 기억은 안납니다만..-_-;

(사용하려는 해상도의 픽셀수랑 몇bit칼라를 사용하느냐를 어떻게저떻게 하면 나왔던걸로..)

생각보다 2D용은 많은 메모리를 요구하지는 않는듯 합니다.

물론 해상도가 1900대를 넘어서고 기본 24bit 칼라에 듀얼을 쓰고 그래픽 워크스테이션이라며 온갖 삽질을 해대고 하면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겠습니다만..

1024*768*2(16bit high color)*2(frame buffer) 이정도면 안될까요?

두개라면 최소한 저 위의 더블은 되야겠지요..
그러면 대략 6MB인데..

프레임버퍼는 상관이 없지 않을까요?

어차피 한번에 모니터에 보여주는만큼만 가져다가 보여주면 되는걸텐데요.

p_teto의 이미지

밀레니엄 씨리즈만 보면 안좋은 기억이 생각납니다. :(

밀레니엄 G200을 아버지 사무실에 사용하는 PC에 설치해놨었는데..

군대를 갔다오니 들어보지도 못한 그래픽 카드로 바뀌어 있더군요.

아버지 말씀을 들어보니 제가 군대에 있을때 컴퓨터가 고장이나서 AS를 보냈었다고 하더군요.

나온지 얼마 안됐을때 산거라서 약 20만원정도 구입한 그래픽 카드였는데 :(

AS를 보낸지 2년이 넘었다고 하셔서 그냥 참았습니다. :evil: :evil:

얼마전에 아버지 사무실에 있는 모니터가 삼성 14인치라서

제가 사용하던 필립스 109S 모니터로 바꿨는데.. 해상도를 1024x768x16bit로 잡는순간..

화면이 깨져 버리더군요;; 그래서 그래픽카드 메모리를 확인해보니 1M짜리더군요. 아니다.. 512k짜리였나?...

다시 열받더군요 :evil: AS보낸지 3년이 지난후라... 또 꾸욱 참았습니다.

19인치 모니터를 800x600으로 잡아 놓고 쓰고 있습니다. 워드칠때 글짜크기가

새끼손톱크기(과장)로 보이더군요.. 아버지는 글씨가 커보인다고 좋아하시던데..

아직도 생각하면.. :evil: :evil: :evil: :evil: :evil:

밀레니엄.. 명품입니다 ㅜ.ㅡ

창조는 괴로움의 구원인 동시에 삶의 위로인 것이다.
그러나 창조하기 위해서는 그 자신의 괴로움이 따르면서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것이다. -니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