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USB 크기를 보니 100 X 62 X 22 mm 면, 가방 없이 가지고 다니긴 약간 큰감이 있긴 합니다.
실은 요피와 PC 를 바로 면전에서 연결하려고 사는 거라서요. 사무실에서 화장실갈 때 요피 들고 들어가도 무선랜이 되면 좋긴 하겠지만 뭐 꼭 그렇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는 없거든요. 요피에 CVS repository 를 두려고 무던히도 노력했건만, 요피의 시리얼 케이블 통신이 매우 불안정해서 결국은 무선랜카드를 생각하게 된 겁니다...
ASUS 제품도 봤었는데, 동일한 제품이 리눅스 지원된다고 적혀있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적혀있는 곳도 있어서 참 애매하더군요. 제 느낌엔 뭐 제조사에서 특별히 지원하는 건 없고, 그냥 리눅스 배포본에서 기본 지원하지 않나 예상되는데요...
아무튼 무선랜, 특히나 USB 무선랜은 일반 사용자들이 많이 쓰진 않나봅니다. 이런 때에 구입하게 되면 손해보기 다반사일것 같은 불길한 생각이 좀 듭니다만... :?
Re: USB 무선랜 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음... 아무도 추천을 안해주시는군요.
몇개 찾았는데 일단,
삼성 SWL-2200U
스틱형 USB 무선랜카드가 휴대성이 가장 좋을 것 같아서 이런 제품과
같은 부류의 디자인이 무난할 것 같은데요...
http://www.samsungmagic.co.kr/wireless/sub03.asp#0005
위 공식 홈에는 Linux 지원으로 돼 있는데, 다른 쇼핑몰에는 Linux 지원
여부가 명확하지 않네요. 그리고, Linspot 프로젝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올라와있더군요.
http://kldp.net/forum/message.php?msg_id=5516
질문하신분께서 리눅스를 어느정도 활용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제품 메뉴얼에 리눅스 설치 방법이 잘 나와있지 않거나, 지원은 되는데
알아서 설치해야 하는 걸까요?
ET-USB08
http://www.w-lan.co.kr/usb08.html
이건 디자인이 변기같습니다... -_-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 받아보니 리눅스 관련 파일은 없더군요.
리눅스 커널 Kernel 2.4.18-3 이상이면 USB 랜카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건가요?
Twinmos 802.11G Wireless USB Stick Lan Card(G240)
http://www.softwareandstuff.com/NET10278.html
이건 국내에서 구입할 수는 없는 것 같은데 Linux 가 지원된다고 써 있네요.
리눅스에서 잘 될지 안될지 감이 없어서,
USB 무선랜카드 쓰시는 분 계시면 조언을 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꼭 리눅스 지원이 된다고 적혀있는 것만 리눅스에서 쓸 수 있을 것 같진
않은데요...
Orion Project : http://orionids.org
....
Netami 의 NE-WUSB 도 쓸만합니다.
Linux 드라이버가 VIA 칩셋이랑 궁합이 안맞는 단점이 있긴 합니다만...
PS. 아무리 무지향 안테나라도, 생각보다 지향성이 있습니다. 전파가 약한곳에서, 혹은 특이한 지형에서 몇 cm만 상하좌우로 움직여줘도 수신율이 두배이상 차이가 나는 현상도 경험해 보았습니다. 스틱형은 위치보정이 불가능하니 사용할 장소의 전파강도가 약하다면 피하세요.
참고
http://at76c503a.berlios.de/
No Pain, No Gain.
오늘 갑자기 궁금해졌던게 여기 질문이 있군요!역시 kldp는 신비합니
오늘 갑자기 궁금해졌던게 여기 질문이 있군요!
역시 kldp는 신비합니다. ^^
그리고 또 한가지 802.11g가 지원되는 usb 무선 랜(카드? 스틱?)을 찾고 있는데, 발견한것이
ASUS WL-167g USB
제품입니다.
스팩상에는 linux redhat 7.1이상이라고 나와있는데 -_-;;
다른제품이라도 써보신분 추천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http://www.bamk.co.kr/mHun/product_asus/asus_wl-167g.html
----
훌륭한녀석!!
Re: ....
NE-WUSB 크기를 보니 100 X 62 X 22 mm 면, 가방 없이 가지고 다니긴 약간 큰감이 있긴 합니다.
실은 요피와 PC 를 바로 면전에서 연결하려고 사는 거라서요. 사무실에서 화장실갈 때 요피 들고 들어가도 무선랜이 되면 좋긴 하겠지만 뭐 꼭 그렇지 않더라도 크게 문제는 없거든요. 요피에 CVS repository 를 두려고 무던히도 노력했건만, 요피의 시리얼 케이블 통신이 매우 불안정해서 결국은 무선랜카드를 생각하게 된 겁니다...
ASUS 제품도 봤었는데, 동일한 제품이 리눅스 지원된다고 적혀있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적혀있는 곳도 있어서 참 애매하더군요. 제 느낌엔 뭐 제조사에서 특별히 지원하는 건 없고, 그냥 리눅스 배포본에서 기본 지원하지 않나 예상되는데요...
아무튼 무선랜, 특히나 USB 무선랜은 일반 사용자들이 많이 쓰진 않나봅니다. 이런 때에 구입하게 되면 손해보기 다반사일것 같은 불길한 생각이 좀 듭니다만... :?
Orion Project : http://orionids.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