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네임서버 관련 질문
글쓴이: sasair / 작성시간: 화, 2004/09/14 - 11:40오전
1차 네임서버는 IDC에 있고요.
2차 네임서버는 사무실내에 일반 PC에 리눅스를 깔고, 파일서버겸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에 이 서버가 해킹을 당해서,
제가 iptables를 적용을 했는데요.
잘못 적용을 해서, 일주일 동안 2차 네임서버에 접속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2차 네임서버가 죽은동안 트래픽이 대폭 감소를 했네요.
질문1) 2차 네임서버가 죽으면, Domain Name을 쿼리 못 하나요?
질문2) 2차 네임서버는 1차 네임서버가 죽었을 경우에만 사용되는것 아닌가요?
질문3) 어떤 경우에 1차 네임서버 또는 2차 네임서버에 접속하기도 하나요?
질문4) 어떤 경우에 2차 네임서버가 죽으면, 트래픽이 대폭 감소를 할까요?
여기저기 문서를 뒤져봐도, 2차 네임서버의 정확한 역할이 없네요.
답변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Forums:
[quote="sasair"]1차 네임서버는 IDC에 있고요.2차 네
실제 1차가 죽지 않는다면 2차는 필요도 없을것입니다.
질문2) 2차 네임서버는 1차 네임서버가 죽었을 경우에만 사용되는것 아닌가요? <== 잘은 모르겠으나 1차가 죽었을때 사용하는것이 맞습니다. 아마 1차가 살아 있다면 2차는 사용하지 않을것 같은 느낌만 조금 드네요.(갈팡질팡, 테스트해보지 잘 못했서 모르겠습니다.)
질문3) 어떤 경우에 1차 네임서버 또는 2차 네임서버에 접속하기도 하나요? <== 네임서버 설정이 조금 들어가면 1차2차 골고루 사용할 수 있는것 같습니다. 예로
dig kldp.org 를 여러번 해봤을때 네임서버가 변경되지 않지만
dig yahoo.com 으로 했을땐 계속 변경이 됩니다. 기술적으로는 잘 모르겠습니다. 책읽을때 이부분은 잘 읽지 않았나봅니다.
질문4) 어떤 경우에 2차 네임서버가 죽으면, 트래픽이 대폭 감소를 할까요? <== 1차 네임서버로 데이터 갱신용 패킷을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자연히 감소되는게 맞습니다.
이 글이 전적으로 올은 글은 아님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차 이외의 네임서버는 보조 네임서버 역활이라고 생각하지면 될것 같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1차든 2차든 반응이 빠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
제가 알기로는 1차든 2차든 반응이 빠른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여기부터는 서명입니다. +++
국가 기구의 존속을 위한 최소한의 세금만을 내고, 전체 인민들이 균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착취가 없는 혁명의 그날은 언제나 올 것인가!
-- 조정래, <태백산맥> 중에서, 1986년
krnic에서 문서를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되어 있네요.(http:/
krnic에서 문서를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되어 있네요.
(http://domain.nic.or.kr/faqns_view.htm?page=1&mode=&seek=&s=&vtrec=4&count=7&num=4&pos=3&kinds=faqns)
네임서버를 1,2차 복수로 운영 중입니다. 이 중 2차(slave) 네임서버는 1차(master) 네임서버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만 질의 요청을 받게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외부 사용자(네임서버)의 관점에서 보면 네임서버의 1,2차 구별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무조건 1차 네임서버에 질의를 요청한 후 응답이 없을 경우 2차 네임서버에 질의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응답속도를 체크하였다가 빠른 서버쪽으로 질의를 요청하게 됩니다.
질의 대상 서버의 결정은 내부적으로는 RTT(Round Trip Time)이라는 좀더 복잡한 과정에 따라 결정되지만 간단히 설명드리면 1,2차 네임서버 중 네트워크 응답속도가 빠른 서버에 질의를 보낸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네임서버를 복수로 운영할 경우 주(master) 서버의 자료만을 관리하고 보조(slave) 서버들은 주 서버의 자료을 전송받아 운영하도록 하면 서버 관리가 수월합니다.
즉, 네임서버의 1차, 2차 구분은 서버를 운영할 때 어느 서버를 주서버로 사용하겠느냐는 구분이지 질의 요청을 먼저 받는 서버를 결정하는 구분은 아닙니다.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