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에서 폰트 추가. XFT, truetype, xtt, 그리고 또?
안녕하세요
폰트라는것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다가 좀더 선명한 글꼴로 작업좀 하려고 1주일째 삽질중입니다.
구글, gnome한국사용자 홈페에이지, 그리고 이곳에서 관련 글을 전부다 읽어봤는데 정보도 너무 많고 암호같은 글자들도 있고 뭐가 뭔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개념이 안서서 시작부터 되지를 않는군요.
FreeBSD 5.2를 쓰고 있구요, xfce4, gnome 2.6을 쓰고 있습니다(모두 포트로 설치했습니다.)
일단 제가 이해한것을 말하면 X에서 폰트는 크게 XFT 하구 다른 방식(뭐라고 불러야 할지 모르겠습니다)이 있다.
XFT는 X클라이언트측에서 폰트 저장해서 보여주는거
다른 방식은 크게 XF86Config의 Fonts하는곳에 적어주는걸로 X서버측에서 알려주는것이고 truetype이나 xtt를 적어주면 되는것.
truetype은 한글 환경에 문제가 있는것(이건 2001년에 kfug에서 본 글이라 아직도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truetype하구 xtt는 같이 못쓰는것.
힌팅은 글자를 이쁘게하는것. AA는 일단은 켜두지만 윈도우 굴림체 같은건 꺼주는것.
xx.ttf는 트루 타입, xxx.ttc는 트루타입 모음
이정도입니다.
다른 분들은(정태영, iolo 등등의 분들)은 딱 글자만 봐도 뭐가 freetype이고
뭐가 다른거고 하는걸 바로 아시는것 같은데(http://bbs.kldp.org/viewtopic.php?t=25655&highlight=freetype)
전 눈이 고장인지 그냥 이쁘다 안이쁘다 정도밖에는 모르겠더군요.
그러니까 설정 파일은
~/.gtkrc # gtk1 프로그램
~/.gtkrc-2.0 #gtk2 프로그램
/etc/fonts/fonts.conf ,local.conf는 XFT용
그리고 XF86Config은 나머지 폰트 설정
(http://bbs.kldp.org/viewtopic.php?t=35501&highlight=xft+%C6%F9%C6%AE 을 보고 나름대로? 이해한것은 이렇습니다.)
이것들이 일단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굴림체를 쓰고 있기는 한데 어디서 검색해서 간단히 사용했습니다.
그냥 윈도우\폰트\의 굴림.ttc를
/usr/X11R6/lib/X11/fonts/TrueType/에 복사하고
XF86Config에 truetype 모듈 추가 X 재시작... 정도입니다.
그런데 검색을 해보면
mkfontscale, ttmkfdir, mkfontdir 등등의 명령어도 있고
fonts.dir을 다운받아서 쓰라는 말도 있습니다.
제가 알고 싶은것은 제가 한 방식의 문제점이 있는것인가요?
firefox(모두 굴림체로 설정했습니다)로 구글 기본 홈페이지 같은곳에 가보면
처음 글자들이 작은데요, 그 작은 글자들이 윈도우랑은 뭔가 다르게 못생긴것 같습니다.
힌팅이나 AA를 해주면 좋아질것 같은데... 맞나요?
제가 한 방식에서는 이런 방법을 찾으려면 어떻게 검색을 해야 하나요?
그리고 위의 명령어들은 fonts.dir을 만들려고 하는것 같은데 그냥 실행하면 되지 다운을 받아야 될 필요가있는건가요?
그리고 gtk1, gtk2, 아무것도 아닌것 등등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어떤것이 있습니까?
/usr/X11R6/lib/X11/fonts에 보면 TTF하는 디렉토리도 있고 TrueType하는 디렉토리도 있는데 두개가 같은 디렉토리아닌가요?
FreeBSD포트로 설치하다 보니 그냥 make install밖에는 할줄 몰라서 설정을 조금 바꾸어도 도데체 뭘 봐야 바뀐건지를 아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너무 초보적이거나 중복 질문이 아닌지 불안하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ps) 폰트 용어가 너무 많은것 같아요.
XFS, fc-cache는 또 뭔지... ㅠ.ㅠ
아참 그리고 폰트 세계(?)에서는 어떤것이 대세? 인가요?
첨부 | 파일 크기 |
---|---|
zzz.png | 9.93 KB |
screenshot.png | 95.4 KB |
fluxbox.tar | 230 KB |
댓글
왠만큼 가닥은 잡으실 수 있을 듯...http://trand.hi
왠만큼 가닥은 잡으실 수 있을 듯...
http://trand.hihome.com/sapjil/20040612.htm
연결이 깨졌습니다. (내용무)
니네 군대에서 멀쩡한 몸으로 18시간 자봤어? ㅋㅋㅋ
---------------------------------------------------------------
폐인이 되자 (/ㅂ/)
Re: X에서 폰트 추가. XFT, truetype, xtt, 그리고 또?
XFT/Fontconfig 와..
Xfont 체제로 나뉜다고 보면 됩니다 +_+!!
truetype이나 xtt는 아니고.. freetype이나.. xtt이며..
freetype도 한글환경에 문제가 없습니다..
힌팅이 켜진다고 다 이뻐지게 하는건 아닌거 같구요 -_-;;
복잡한 글자라던가.. 그런 경우.. 글자가 뭉게져서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걸..
좀 더 이쁘게 보이게 하기 위한 기술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 하는거보다.. 그냥.. 비트맵을 집어넣어버리는게..
더 쉬워서 그렇게 많이 한다고 들었습니다 +_+!!
gtk1 은.. xfont를 사용하며..
xfont를 사용하는 경우.. -lucida-......-*-*-*-....,-hanyang-round gothic-....-ksc5601-1987-0 뭐 이런식의 복잡한
형태로 글꼴이 표현되면.. XFont입니다..
gtk2의 경우는.. XFT/Fontconfig 체제를 사용하구요..
fc-list 같은걸 해보시면 나오는 그런 형태로 폰트가 표현됩니다...
(Gulim 12 italic) 이라던지..
xfont는.. fonts.dir이라던가.. fonts.scale이던가.. 하튼 그런 화일들을
이용해서.. 해당 디렉토리의 폰트 데이타를 캐슁(?) 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폰트를 등록할땐 그걸 갱신해줘야 할 필요가있습니다
그래서.. mkfontscale ttmkfdir mkfontdir 을 실행시키는거죠..
하지만.. XFT/Fontconfig 체제에선... 새로운 폰트등록은..
/usr/share/fonts/ 밑에다가 폰트를 집어넣고
fc-cache 한번 치는것으로 끝입니다..
굴림체는.. 내장 비트맵이 꺼지면 아주 못생긴 폰트로 변신합니다 -_-!!
그놈 한국 위키를 뒤져보시면.. XFT체제에서.. 특정폰트에서
aa를 끄는 법이 있습니다.. 찾아서 해보시기바랍니다..
그리고.. XFont체제는.. aa가 아예 먹지 않으니.. ... ...
.... 상관없을거구요..
XFT인지.. XFont인지 구별하는건..
간단하게.. 폰트가 어떻게 표현되느냐와..
aa가 먹는지만 보면 됩니다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quote="트랑"]왠만큼 가닥은 잡으실 수 있을 듯...htt
보다보니 조금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댓글 하나 더 답니다..
예전에.. freetype모듈이 멍청하던때에 글들을
많이들 참고하셔서..
편견이 아직 좀 남아있는듯 싶군요 -_-;;
이탤릭정도는.. 뭘 쓰던 .. 다 가짜로 잘 만들어내더군요 :)
볼드는.. 패치되지 않은.. xft에서는.. 가짜로 만들어내지 못하지만요..
ttf에.. 볼드나 이탤릭 정보가 있는게 아니라 :)
볼드폰트와 이탤릭, 볼드이탤릭등의 폰트가 따로 존재해야합니다
(FontFamily가 같고.. Full Name이라던지 기타 정보가 좀 다릅니다.. UnBatang Bold식으로..)
요새는.. freetype, xft, xtt 할거 없이.. ttc지원에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리고.. xft2는.. ttf글꼴만을 위한게 아닙니다..
otf, ttf, ttc 외에도 대부분의 폰트 포멧을 전부 지원합니다..
freetype도 마찬가지지만요..
fonts.dir은.. ttc폰트의 명세서는 아니고..
그 디렉토리에 있는 폰트파일들의 정보를 저장해둔 파일입니다..
ttf,ttc등은.. 벡터폰트이기 때문에..
몇 포인트만 사용가능하다 이런게 -_-;; 통하지 않습니다;;;
예전엔 트루타입을 지원하지 못했고.. 비트맵폰트들(pcf,bdf같은것들..)만을
사용하던 시기의 흔적이 아닐까 싶습니다 :)
뭐 하튼.. 그런건.. 받아다가 쓰는거보다는..
정도로 만들어내는걸 더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fc-cache는.. 폰트를 /usr/share/fonts/밑에 아무데나
넣고.. 아무데서나 실행시키면 됩니다 :)
(/etc/fonts/fonts.conf에보면.. /usr/share/fonts가 들어가있고.. 리컬시브하게 그 밑을 뒤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구지 폰트를 복사해다 넣은 곳에서 실행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그렇군요. 지적 고맙습니다. 사실 대충 제가 한 삽질들만 정리를
그렇군요. 지적 고맙습니다.
사실 대충 제가 한 삽질들만 정리를 해서 두번째부턴 슥슥 진행이 되게
의도를 했던 건데 어쩌다 보니 내용이 길어지게 되고 확실하게 알지 못하는
내용들도 '설명'을 하려 했던 바가 있습니다.
fc-cache 실행 역시 저도 아무데서나 실행시키곤 하곤 했는데... 어설프게
아는 건 역시나...
(다만 데비안의 경우인지 제 시스템의 경우인진 모르겠지만 mkfontdir과
mkfontscale로 fonts.dir을 만들었을 경우엔 -bold- 항목은 생성되지가
않아서 한글은 제대로 된 굵은 글씨를 볼 수가 없더군요. 한글 부분만
살짝 짤라내서 첨부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질문
오늘 참 좋은걸 배우네요.
폰트는 용어들이 항상 헷갈려서.
일단,
X 에서 폰트를 사용하는 방식에
구식인 Xfont 방식과
신식인 XFT/Fontconfig 방식의
두 가지가 있다는 걸 알겠구요.
XFT/Fontconfig 방식을 할 때 사용하는 모듈에
freetype module 과
xtt module 이 있다는 것 까지는 알겠는데
정태영님 글 중에서
에서 말하는 xft, xft2 는 또 뭔가요?
그리고 XFT/Fontconfig 방식을 사용할 때는
XF86Config에 써주기만 하면
freetype 모듈을 쓸지 xtt 모듈을 쓸지만 결정해 주면
별도의 다른 설정은 필요없나요?
두 모듈 중 아무거나 써도 차이가 없나요?
개념없는 초딩들은 좋은 말로 할때 DC나 웃대가서 놀아라. 응?
Re: 질문
아니요..
xtt나.. freetype은.. Xfont에서.. 트루타입 폰트를 사용할 경우에..
필요한 모듈입니다 :)
XF86Config-4의 폰트패쓰에.. 넣어주는거나...
xfs를 등록해주는 것들이..
XFont에 폰트를 추가하는겁니다 :)
xfontsel에서 확인할 수 있구요..
XFT/Fontconfig 체제는..
XFont와.. 연관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
(XF86Config에서.. freetype모듈을 쓰도록하던 xtt모듈을 쓰도록하던 둘다 안쓴다고 하던 상관이 없다는 말입니다.. )
fontconfig가.. 설정을 담당하고.. (/etc/fonts/fonts.conf /etc/fonts/local.conf ~/.fonts/ ~/.fonts.conf 등이 관련된 파일이죠..)
xft가.. 렌더링을 담당하는 듯 하더군요 :)
(api를 본건아니라서 확신은 못하지만 그렇게 돌아가는 거 같더군요 헤헷)
xft1, xft2는.. 글쎄요.. 버젼 차이죠.. 요새 gtk2나.. qt에서 사용하는게
xft2구요 :)
한번 홈페이지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http://freedesktop.org/Software/fontconfig
그리고 XFT/Fontconfig 에.. 추가된 폰트는..
fc-list
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
또한.. xft에서 pseudo bold를.. 구현한.. akito씨의 패치가..
http://www.kde.gr.jp/~akito/ 에 존재하고 있구요..
글꼴 선택창에서.. 볼드나.. 이탤릭폰트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폰트에서도..
볼드나 이탤릭 폰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치또한 존재합니다..
gtk2쪽에서는 그 부분이.. pango가 담당하기 때문에.. pango를 패치해야하며..
google에서.. firefly pango bold 정도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
qt관련된 것들은.. 아까 말씀드린 아키토씨 홈페이지에 패치가 있구요 :D
아 그리고 xtt는.. pseudo 볼드가 구현되어 있어서..
볼드가 없는 폰트에서도.. 볼드를 만들어낼 수 있는걸로 알고 있지만..
업데이트가 계속 되고 있는건지는 모르겠군요..
freetype은 계속 버젼업이 되고 있는걸로 알지만요..
실제 사용상에선 ... pseudo bold가 가능한지 말고는
차이를 모르겠군요 :twisted: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quote="트랑"](다만 데비안의 경우인지 제 시스템의 경우인진 모르
아.. mkfontscale과 mkfontdir등은.. 실제 폰트정보를 가지고
만들어내기 때문에..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볼드나.. 이탤릭 같은 경우는
생성되지 않는게 제대로 동작하는걸로는 보이는군요..
아름다운 gtk2세상으로 넘어오세요 :D
그 복잡한 폰트설정은 이제 다 잊어버리시고 =3=33
구시대의 유물인.. gtk1이나.. xfont를 사용하는 그 외의 것들을
다 .. 이제 놓아주시고 :D
gimp도.. 이제.. 2.x대가.. stable 버젼으로 나왔습니다 :D
(이제라고 하기엔 좀 오래된 일인가;; )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그 꿈을 닮아간다...
http://mytears.org ~(~_~)~
나 한줄기 바람처럼..
[quote]아름다운 gtk2세상으로 넘어오세요그 복잡한 폰트설정은
ㅋㅋㅋ 이눔의 Fluxbox와 WIndowMaker가 저를 놔주지 않네요. :wink:
이 스레드도 명예의 전당에 갔으면 하는 바램이 생기네요. =)
이 스레드도 명예의 전당에 갔으면 하는 바램이 생기네요. =)
저의 무지함을 고백하면서 마지막 한 가지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f
저의 무지함을 고백하면서 마지막 한 가지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fluxbox 0.9.9 버전에서는 현재 XFT2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가
fluxbox 땜시 xfs + xtt를 놓지 못한다고 한 말은 틀린 얘기가 됩니다.
방법은 오른쪽 마우스 버튼 클릭으로 나오는 fluxbox 메인 메뉴에서
Configuration - AntiAlias 항목을 활성화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마치 KDE에서
XFT2를 쓰는 법과 같은데, 너무도 당연한 것이었는지 FAQ나 메뉴얼에서도
찾지를 못하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ㅡ.ㅡ)ㅋ
단, 로케일은 UTF-8을 써야지 fluxbox에서 제대로 한글이 나옵니다. 즉
EUC-KR이라면 창제목 표시줄, 툴바, 메뉴에서의 한글이 모두 깨져서 나오게
됩니다. 또한 fluxbox에서 UTF-8을 사용하면 엑스 윈도 시작 시에 5초 정도의
딜레이 버그가 발생합니다. fluxbox 홈페이지에서도 로케일을 C로 맞춰서
쓰는 방법을 임시로 명시해주고 있더군요.
(http://fluxbox.sourceforge.net/docs/en/faq.php#slowstartup)
마지막으로 스타일에서의 글꼴 설정 방법도 달라지게 되는데,
대략
-*-helvetica-medium-r-normal-*-12-*-*-*-*-*-*-*,
-*-Gulim-medium-r-normal--12-*-*-*-*-*-*-*
이런 식으로 EUC-KR 같은 상황에선 맞췄던 글꼴을
*font: Gulim-8.5
와 같은 방식으로 하도록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윈도메이커는 cvs로
나오는 0.90에서는 xft2를 지원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명예에 전당에 간다면 저의 무지함이 만 천하에 -_-;;;답변주신
명예에 전당에 간다면 저의 무지함이 만 천하에 -_-;;;
답변주신 모든 분들, 그리고 예전에 폰트 관련 글 쓰셨던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아주 예쁜 폰트를 쓰고 있습니다.
테마도 eXperience를 쓰다보니 옆에 사람들이 제가 윈도우를 쓰는줄 알더군요-_-;
서명없어요.
음.... gnome에선 AA가 되는데 firefox에선 안된다?
휴... 어느 정도 감도 잡은것 같고 해서 자신있게 집에 컴퓨터에도 프비5.2를 깔았습니다.
.fonts.conf는
http://www.megapass.co.kr/~leimorange/fonts.conf
(직장에서도 이 파일로 사용했습니다)
를 사용했구요.
스샷은
http://tenet2.knu.ac.kr/~guru0109/phpBB2/viewtopic.php?p=253#253
와 같습니다.
보면 그놈관련 패널이나 그놈 터미널의 글꼴은 이쁜데요
구글이나 kldp화면을 firefox로 보면
"빠"라든지, "환"같은 글자가 이쁘지가 않습니다.
이게 지금 firefox에서도 AA가 먹혀있는것인가요?
pkg_tree로 봐도 firefox는 gtk2.xxx 사용하는것 같고
gnome2.6도 gtk2.xxx 사용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한쪽은 되고 한쪽은 안되고 이럴수도 있는건가요?
설정은 처음 질문 올린것처럼
.fonts.conf를 제 홈디렉토리에 복사해두었으니XFT2를 쓰는것 아닌가요?
(XF86Config에서는 truetype 모듈 해줬는데 이건 상관없겠죠?)
어느 부분을 확인해봐야 할까요?
직장에선 재수로 된건가 봅니다 ㅠ.ㅠ
서명없어요.
1) Firefox가 0.81이면 gtk2+xft인지 X11인지를 확인해
1) Firefox가 0.81이면 gtk2+xft인지 X11인지를 확인해보세요.
영문 메뉴로 보아서는 0.9인 것 같군요. 그럼 상관이 없겠구요.
2) ~/.xsession 파일 내에서 export GDK_USE_XFT=1 를 확실하게
명시해 주셨는지도요.
3) Firefox의 환경 설정에서 글꼴 지정을 다시 한번 더 확인해 주세요.
GDK_USE_XFT 를 지정하지 않아도 .fonts.conf 와 .gtkrc-2.0만 갖추고 있으면
알아서 잘하는 GTK2 쪽 애들과는 달리, Firefox는 GDK_USE_XFT 환경변수를
꼭 명시해줘야 하더군요.
Re: 음.... gnome에선 AA가 되는데 firefox에선 안된다?
Font smoothing/antialias does not work after fix of bug 197037
모질라 1.7 , 불여시 0.9 버그 입니다. 모질라 1.6, 불여시 0.8에서는 그런 현상이 없습니다.
fontconfig antialias 설정이 적용 안되고 글꼴이 무조건 AA로 보이는 것 같네요.
firefox 버그가 맞나요? 좀 이상한 점이 있어서.일단 트랑님
firefox 버그가 맞나요? 좀 이상한 점이 있어서.
일단 트랑님 지적대로 .xinitrc에(.xsession은 제 파일에 없더군요.)
more .xinitrc
1 #export GDK_USE_XFT=1
2 nabi &
3 export XMODIFIERS="@im=nabi"
4 gnome-session
5 #startxfce4
이렇게 GDK_USE...를 넣고 빼고 하면서 테스트 해보았으나 아무런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냥 포기하고 있었는데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http://www.silpapabsd.com/?page=view&ctn=tips&id=235 에 보면 XFCE에서 안티알리아싱을 끄기 위해서
/usr/X11R6/etc/xfce4/xinitr에
Xft.antialias: 0 <--- 이런 부분을 추가하는 글이 있습니다.
일단 전 XFCE가 gtk2.x를 쓰기 때문에 .fonts.conf만 지정하면 AA가 꺼지는것으로 알고있었는데, 왜 이런 설정이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게시판 있는 글대로 XFCE에 AA를 강제로 끄고 firefox를 실행해보았습니다.
그리고 gnome에서 firefox를 실행해보았습니다.
스크린샷은
http://tenet2.knu.ac.kr/~guru0109/phpBB2/viewtopic.php?p=255#255
에 있습니다.
XFCE에서는 AA가 꺼져있어서 firefox에서 폰트들은 AA가 꺼진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놈터미날의 글자들은 CouriewNew 14Font Bold쓰는데 이쁘지 않은것이 보입니다.
그놈에서 실행한 화면은 다음 그림인데요,
firefox 폰트는 안이쁘고 그놈터미날등은 AA가 꺼져있기 때문에 이쁜것 같습니다.
firefox의 버그라면 gnome이냐 xfce이냐에 따라 이렇게 AA가 바뀔수가 있는건가요?
ps)
자세한 제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cys@cyswork:~]$ pkg_tree firefox-0.9_4
firefox-0.9_4
...생략
|\__ XFree86-fontScalable-4.3.0
|\__ pango-1.4.0_1
\__ gtk-2.4.2
이런식으로 나온걸 봐서 firefox가 gtk2.x를 사용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gtkrc-2.0하는 파일은 없구요(없어도 별 문제가 없는것 같군요)
.gtkrc는 .gtkrc-1.2-gnome2로 alias해두고 이게 다시 .gtkrc.mine을 읽더군요.. 내용은
[cys@cyswork:~]$ more .gtkrc
style "gtk-default-ko" {
fontset = "-adobe-helvetica-medium-r-normal--*-120-*-*-*-*-*-*,\
-*-gulim-medium-r-normal--*-120-*-*-*-*-ksc5601.1987-0,\
-*-kodig-medium-r-normal--*-120-*-*-*-*-ksc5601.1987-0,\
-*-*-medium-r-normal--*-120-*-*-*-*-ksc5601.1987-0,*"
}
class "GtkWidget" style "gtk-default-ko"
입니다.
.fonts.conf파일은 위에서 제가 질문드린 글에 링크에 있는 파일이구요.
서명없어요.
흠.... 저는 fluxbox를 쓰고 있는데, firefox 0.9도 x
흠.... 저는 fluxbox를 쓰고 있는데, firefox 0.9도 xfs + xtt, xft2 전부 문제가
없었습니다. .gtkrc-2.0를 만드시고서 firefox의 글꼴 설정에 들어가셔서
Gulim-8.5 정도의 글꼴을 골라주시면 될 듯 싶는데요...
제가 알지 못하는 다른 문제가 더 개입이 되있는 것도 같군요.
참고가 될까 싶어 스샷 한 번 올려 보겠습니다. XFT2를 쓰는 fluxbox와
firefox 0.9 입니다.
[quote="ysch0i"]firefox 버그가 맞나요? 좀 이상한 점
모질라 1.7, 불여시 0.9 버그는 다른 gtk2 프로그램에 반해서 fonts.conf설정에서 antialias 옵션이 적용되지 않는다 입니다. gnome-font-properties에서 흑백 또는 손질하기 에서 부드럽게 하기 - 없음을 했을 때는 AntiAlias가 꺼지는 기능이 있습니다(fontconfig 설정을 무시하고 강제로 지정 -
GDK_USE_XFT 설정은 GTK+ 2.2부터 기본 값이 1입니다.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트랑님 이건 다른 질문인데요저도 데뱐 쓰는데요 데뱐유저스에서 트랑님
트랑님 이건 다른 질문인데요
저도 데뱐 쓰는데요 데뱐유저스에서 트랑님 글 많이 봣습니다.
지금 쓰고 있는 xwindos매니저 어떤건가요?
fluxbox인가요? 저도 그거 쓰는데
트랑님거 이뻐보이는군요 저도 이걸로 바꿔보고
싶어서^^;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데뱐설치과정이나
엑스윈도와 한글화 과정을 좀 적어주시면 안될까나요?
위에 스크린샷보니 한글이 참 이뿌게 나오던데
전 잘안되서요
세상에 내 맘 대로 되는건 없다
세상은 노력하는 자만이 성공할수 있다.
아님 말고
[quote]fluxbox인가요? 저도 그거 쓰는데 트랑님거 이뻐보이는군
흐흐흐... 쓰고 계신데 바꿔보신다니요. :wink:
아마 theme을 말씀하시는 듯 싶네요.
http://www.themedepot.org/ 나
http://themes.freshmeat.net/browse/962/
에 가보시면 많은 theme들이 있으니 마음에 드시는 걸 골라서
받아다 쓰시면 되겠구요. 제 경우에도 Fluxaqua란 theme을 받아다가
살짜기 글꼴이나 몇 군데를 손질해서 쓰고 있는 것이랍니다.
일단 제 ~/.fluxobx를 올려볼테니 한번 참조를 해보시고 theme 부분을
복사하셔서 쓰시던지요. theme의 수정은 쉽습니다. 한번만 style 파일을
열어보시면 압니다. 제가 혼자서 정리를 하고 있는 삽질 노트의 표현을
빌어서 말해본다면,
기계공고 다니다, 컨닝해서 꼴등에서 두번째 했던 강철중도 알고 걔네
동네에 똥쟁이 종수란 놈이 있는데 그런 종수한테 물어봐도 압니다.
그리고 데비안 설치 ~ 한글화는 데비안 사용자 모임의 위키가 정말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저도 그걸 보고서 따라한 것 뿐이죠. theme의
한글 글꼴 설정만 잘 잡아주시면 될 겁니다.
트랑님 감사합니다.테마를 받아서 선택하면 되는것을 ^^;패널에 나
트랑님 감사합니다.
테마를 받아서 선택하면 되는것을 ^^;
패널에 나비 붙이신건 어떻게 하신건지?
신기하네요
혼자서 정리하고 있다는 삽질노트가 있다고 적혀있는데
나중에 그노트좀 저좀 복사해주시면 안될까나요?
복사해주신다면 나중에 밥한끼 쏘겟습니다
(어디에 사시는지 ㅎㅎ)
세상에 내 맘 대로 되는건 없다
세상은 노력하는 자만이 성공할수 있다.
아님 말고
노트 복사는 글씨도 개발이고 뭐 하여튼 그래서 공개하는 건 좀 뭣하구요.
노트 복사는 글씨도 개발이고 뭐 하여튼 그래서 공개하는 건 좀 뭣하구요. :wink:
나중에 정리를 해서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툴바에 나비가 붙는 건
0.9.9 버전을 쓰시면 됩니다. fluxbox 홈페이지에 가보세요.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