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ghdals24의 이미지

리눅스 속도 문제 질문드립니다.

centos 이용하는 중입니다.

최초 접속할 땐 괜찮은데 접속 후에

마운팅된 스토리지로 이동하려고 하면

자동완성 기능도 늦고....

해당 스토리지에서 수행하는 명령어의 수행도 늦고 자동완성 기능도 늦고

그런 상황입니다.

마운팅은 제대로 되어 있는 것 같은데

(마운팅 해제했다가 다시 해보기도 해봤습니다.)

무슨 문제인가요...???

ccs****@Naver의 이미지

Ubuntu freeradius 서버 구축 중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개발일 하고있는 초보자입니다.
현재 radius 서버를 구축하여 WIFI모듈 (encryption = enterprise) 을 테스트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구축 중 난관에 봉착하여 여기 계신분들께 도움을 청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eap.conf 파일에서 default_eap_type를 peap으로 설정하고 radtest 까지 성공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클라이언트 측의 인증서가 없이도 연결이 됩니다.
(제가 알기론 peap도 인증서가 필요한 걸로 알고있습니다.)

연결 붙여본건 제가 사용하는 갤럭시 노트8이구요.
연결 후 IP로 Ping 날렸을때 정상 동작하였습니다.
열심히 구글링 결과 peap 설정부분에 EAP-TLS-Require-Client-Cert = yes라고 적어주면 인증서가 필요하도록
설정된다기에 추가해본 결과도 똑같이 인증서없이 정상 연결 되었습니다.

ssoobebe의 이미지

SVN Repository 중복 이름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SVN를 이용하여 형상관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기존에 존재하는 ABC라는 Repository를 dump뜨고 Repository를 삭제합니다.

2. 그 후 다시 ABC 동일한 이름으로 Repository를 생성한 후 dump뜬 파일을 load하였습니다.

load가 정확하게 이루어진 후 svn Repository Browser를 통해 접속하면

"error running context the server unexpectedly closed the connection"

라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서 하위 디렉토리를 들어갈 수 없습니다.

만약 ABC가 아닌 다른 이름의 디렉토리에 동일하게 load하면 browser에서 확인 및 접속이 가능합니다.

제 생각엔 이름이 중복된 디렉토리 문제로 보이고 기존 디렉토리가 서버에서 제대로 삭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문제의 해결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Repository 이름은 무조건 동일하게 하고 싶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yslq 5.7이상 설치시 문제가 생기네요

Centos 7.3 // mysql 5 7 14 설치시

service mysql start - SUCCESS가 뜨지만

/usr/local/mysql/bin/mysql -u root -p mysql의 경우

error: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NO)'
error: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당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과 처리방법을 알고싶습니다 고수님들 ...

jhoh0926의 이미지

윈도우 노트북으로 원격접속시 display 명령어

안녕하세요

윈도우 노트북으로 연구실의 우분투 컴퓨터에 접속하고, 서버로 들어가서 작업을 하려고 하는데요

cmder이나 윈도우 앱스토어에 있는 ubuntu 앱을 깔아서 원격접속은 잘 됩니다.

하지만 접속해서 display 명령어를 이용해서 png, jpg 등 그림파일을 띄우고 싶은데 되질 않네요...

display aaa.png

display: unable to open X server `' @ error/display.c/DisplayImageCommand/428.

위와 같은 에러가 뜨네요...

구글링을 해보고 따라해봐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ㅜㅜ 뭐가 문제일까요

Montak의 이미지

[우분투] 네트워크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우분투 서버에 관심을 갖게되면서 이것저것 공부중입니다.

현제 IBM x3350 서버의 이더넷 포트 2개로 테스트중인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
서버모델 : IBM x3350
우분투 : 16.04
-------------------------------------

서버 후면에 보면 이더넷 포트가 2개(구분을 위해 a, b) 있습니다.

a, b에 각각 다른 아이피 (서브넷, 게이트웨이 동일) IP를 설정하였고 ifconfig를 통해 확인하여도 정상적으로 IP설정이 되었습니다.
다른 서버에서 Ping을 보내어 정상 통신을 확인하였구요.

문제는 B 포트 랜케이블을 제거하였을 경우 입니다.

B포트를 제거 하였을 경우
제 상식으로는 B의 IP로는 통신이 안되어야 하는데
이상하게 통신이 됩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ysql db 에서 sqlite browser 로 실행시키는법..

mysql dump 파일을 sqlite browser 로 실행하려는데 실행이 안되더라구요..

찾아보는대.. 변환해주는 툴을 돈내고 써야한다는대.. 혹시 툴을 안쓰고 변환할수 있는방법이 있을까요..?

windows 에서도 변환이 가능한가요? 찾아 봤는데 리눅스만 나와있어서요..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ㅠㅠㅠㅠ

어려워요 ㅠㅠ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 item_geofunc.cc.o *는 512MB에서 mysql을 컴파일 할 때 컴파일되지 않습니다.

512 메모리에서 mysql을 컴파일 할 때 item_geofunc.cc.o 파일은 컴파일 되지 않습니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PM설치시 문제

APM

mysql-5.7.14.tar.gz
httpd-2.4.25.tar.gz
apr-1.6.5.tar.gz
apr-util-1.6.1.tar.gz
php-5.6.29.tar.gz
cmake-2.8.8.tar.gz
boost_1_59_0.tar.gz 설치시 mysql

cmake -DCMAKE_INSTALL_PREFIX=/usr/local/mysql -DWITH_EXTRA_CHARSETS=all -DMYSQL_DATADIR=/usr/local/mysql/data -DDOWNLOAD_BOOST=1 -DWITH_BOOST=/usr/local/src/boost_1_59_0 -DENABLED_LOCAL_INFILE=1-DWITH_INNOBASE_STORAGE_ENGINE=1 -DMYSQL_UNIX_ADDR=/tmp/mysql.sock -DSYSCONFDIR=/etc -DDEFAULT_CHARSET=utf8 -DDEFAULT_COLLATION=utf8_general_ci -DWITH_EXTRA_CHARSETS=all -DMYSQL_TCP_PORT=3306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bus-hangul 빌드 해보신 분 있나요

제가 사정이 있어서 ibus-hangul을 빌드하려 하는데 메뉴얼대로 했는데 잘 안되네요.
메뉴얼대로

./autogen.sh --prefix=/usr
make
sudo make install을 했는데 sudo make install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네요.

make[2]: *** [Makefile:637: install-nodist_setup_hangulPYTHON] Error 1
make[2]: Leaving directory '/home/onting/ibus-hangul/setup'
make[1]: *** [Makefile:883: install-am] Error 2
make[1]: Leaving directory '/home/onting/ibus-hangul/setup'
make: *** [Makefile:501: install-recursive] Error 1

ibus-hangul 빌드 해보신 분계시면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