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rint Hello World@Google의 이미지

qemu가 에러가 나는데 어떻게 해결할까요?

에러는 이렇게 뜹니다만

도메인 시작 도중 오류 발생 : internal error: qemu unexpectedly closed the monitor: 2023-04-07T09:02:45.429642Z qemu-system-x86_64: Spice: dispatcher.c:136:dispatcher_constructed: socketpair failed Permission denied

이츠나(イツナ)@Google의 이미지

리눅스의 vga(그래픽카드) 없이 부팅(=headless 모드?) 불가 문제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여 염치 불구하고 급히 가입하여 질문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데스크탑을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 리눅스를 설치하고 세팅하던 중 부팅 불능 문제에 빠졌습니다.
정확하게는 리눅스 부팅 이후 원격 ssh 접속이 되지 않는 것이 문제의 시작이였습니다.
(ssh 활성화와 포트 변경까지 하였으며 그래픽 카드 장착 상태에서 부팅시에는 정상적으로 ssh 접속됨을 확인하였습니다.)

먼저 특기할 하드웨어 스펙은 CPU가 인텔 제온 E3-1231v3 이므로 내장그래픽이 없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셋업 목적으로 GT730 을 장착시켜 리눅스를 설치한 이후 외장그래픽을 분리하여 사용할 생각이였습니다.

genesin의 이미지

윈도우 2019 DNS 레코드 안 보입니다

윈도우 2019서버에 DNS 레코드 안 보입니다

기존에 등록된 레코드들 정보가 안보이고

다시 레코드 등록 하면 "레코드가 이미 존재 합니다" 메세지 나옵니다

* 참고로 AD 서버는 없습니다
##proxy 하위 도메인 에도 레코드 정보가 없습니다

joyzini의 이미지

웹소켓(wss) 구성문제로 인해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apache에 톰캣을 같은 서버에 올려서 사용중인데
업무상 웹소켓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웹소켓쪽은 경험이 없다보니 어려움이 많네요.

현재 구성은
공인IP:1443 으로 접속
내부아이피:443 으로 포트포워딩 입니다. 80포트는 열어놓지 않았습니다.
톰캣은 8083,8084 http,https 구성되어있습니다.

server.xml 내역입니다.




/etc/httpd/conf.d/ssl.conf 쪽에 wss구성을 해야 되는걸로 아는데
현재는 이렇게만 되어 있습니다.

harry1329의 이미지

OS가 설치된 디스크에 파티션 추가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OS(우분투)가 설치된 디스크에 파티션 추가가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현재 상황은 /dev/nvme0n1(OS가 설치된 디스크)이 아래와 같이 5개로 나뉘어 있고

ytt123의 이미지

여러 명이 작업할 공유폴더에 대한 쓰기읽기실행 권한은 어떻게 주는게 좋은가요

여러 명의 사용자가 한 디렉토리에서 파일도 만들고 디렉토리도 만들고 하면서 읽기 쓰기 실행의 모든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려고 합니다. 가령 /shared 에서요. 즉 한 디렉토리를 완전히 공유시키고 싶은데요,

단순히 sudo chmod -R a+rwx /shared
이렇게 하면 되는건가요.

그러면 어떤 유저든 /shared 안에 언제든지 여러 계층의 폴더들이나 파일을 만들면, 누구든지 접근이 가능한건지요.

그리고 혹시 위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x 때문에 일반 파일에도 실행가능한 파일로 바뀌게 되는데요, 이를 방지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그러니까 모든 유저가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x 를 디렉토리에만 주고 싶은데 (파일이 아닌) 그렇게 선택적으로도 가능한지요.

감사합니다!!!

세벌의 이미지

디스크? 스토리지?

디스크와 스토리지 차이는 무엇인가요?

세벌의 이미지

sqldeveloper error or not?

sqldeveloper 질문.
Test 는 Success
첨부 파일.

그런데 connect 버튼 누르면...
연결되는 건지 마는 건지?
에러 메시지도 없고...
되는 건지 마는 건지 어디에서 확인하나요?

oracle 에 물어보는 게 정석이겠지만
oracle 홈페이지 어디서 어떻게 물어봐야 될지 모르겠어서
고수님 많이 오시는 kldp에 물어봅니다.

ytt123의 이미지

mac에서 터미널로 리눅스 컴에 접속해서 일하는데 속도가 너무 느려요

mac(mac studio 2022)에서 터미널로 리눅스 워크스테이션(Dell 타워형)에 연결해서 작업을 오래동안 해오고 있는데요,
사내 네트워크 환경이 슬슬 안좋아져서 그런지 언제부턴가 터미널로 작업할 때 특히 그래픽 띄워서 하는 작업이 지장을 많이 받네요.

뭔가 두 컴을 좀 더 빠르게 연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 지금은 맥은 사내 와이파이, 워크스테이션은 랜선으로 연결해서 사용중인데요, 좋은(?) 허브를 사서 그 허브에 두 컴을 연결하여 쓰는 방법만으로도 효과가 있을까요?
2. 아예 내부망을 만들면 될까요? (구성의 번거로움?)
3. 터미널로 접속하는 가장 가볍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쓰고 있는데 소프트웨어적으로 더 빠른 방법이 있나요?
4. 아님 물리적으로 가장 확실한(!) 컴터 나란히 두 대 놓고 쓰시는 분도 계시나요? 뭔가 책상이 거추장스러울거 같고..또 한개의 키보드/마우스로 모든 걸 통제하는 걸 좋아하기도해서..

환경 정비 중이라 아이디어를 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한글이 왜 깨질까요?

로키리눅스 9,1을 VM으로 설치했는데요

VM에서는 한글이 깨지고
푸티 터미널에서는 정상으로 잘 나오네요

둘다 잘 나오게 하는건 어려울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