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vim 에서 한글문제

윈도우에서 gvim을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기본으로 한글을 치면 일본어로 되어져서
옵션을 찾아서 한글로 바꿀려고합니다.

그런데 툴바에 나오는 옵션을 모두 뒤져도
한글로 되게 세팅하는 옵션이 보이지를 않네요.
제가 눈이 나쁜가해서 다시 계속 찾아봐도
안보여서요.

다른 방법으로 하는가 해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아시는분의 도움말을 기다리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파치 컴파일 에러...

안녕하세요..
현재 리눅스로 php를 할려고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파치 설치시 에러가 발생해서 이렇게 적습니다.

아파치를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이렇게 했더니 에러가 발생하네요..
에러는 대충 이렇습니다.

Error could not find any of these C compilers any where in
your PATH gcc cc acc 89
Configure terminated

대충 컴파일러가 없다는것 같은데..
이걸 어떻게 해야 될까요..
좀 자세하게 갈켜주세요..
그럼..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초기 os 인스톨시 스카시카드 설정문제

인텔 440gx 보드를 를 쓰고 있습니다.
와우리눅스를 인스톨 할때 스카시아답터 로딩이라는 부분에서
서버가 서 버리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스카시카드의 특성을 타는듯 싶습니다. .. 아마도..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ps명령이 먹지 않을땐 어떻게 해야 하나여

뭘 어떻게 건드렸는지 몰라도....

ps명령이 먹질 않네여......

/bin디렉토리에 있는 다른 것들은 실행이 되는데 왜 하필....

ps만 먹질 않는지 모르겠네여....

알려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아미를 넷스케이프에서도 쓰려면 어떻해야 하나요?

아미를 실행하면 자꾸만 넷스케이프가 죽어버립니다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시

커널 컴파일을 하는데
make bzImage
이렇게 하면 /usr/src/linux/arch/i386/boot/
bzImage 가 생겨야 정상 아닙니까?
근데 생기지가 않내요..
어찌된 일일까요.
컴파일을 다시 첨 부터 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make clean 하면 되는 건가요?
여기있는 문서를 보면 이렇게 되면 잘못 된것이라고는 나오는데
어떻게 해서 옳게 바꾸워야 하는지 나와 있지가 않군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삼바-아이피로는접속되고호스트이름으로 안되는이유?

윈도우 2000에서 삼바서버가 뜨긴 뜹니다만..

이름으로 찾아서 클릭해보면 네트워크 경로를 찾지못한다고 나오네
요..

하지만 아이피 주소로 찾아서 클릭해보면 들어가 집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릴꼐요..

아래는 제 관련 파일설정입니다.
/etc/sysconfig/network

ETWORKING=yes
HOSTNAME="mylinux"
GATEWAY="203.228.128.129"
GATEWAYDEV="eth0"
FORWARD_IPV4="no"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BI 설치....갈쳐주세요

제가 초보라서 잘 몰라서 그러는데여.
지금 리눅스 서버에 DB는 mysql을 쓰고 있거든요.
Perl로 프로그래밍을 할려고 그러는데 DBI세팅 새로을 해야해요.
그런데 이전에 DBI가 잘못깔린것 같아 새버전으로 깔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전에 깔린 DBI를 지우는 방법하고 새로 깔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좀 갈
쳐 주세요.
초보라 여러분들의 도움이 필요하답니다. ㅜ,.ㅡ
꼭 답변 부탁드립니당...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is 에 대한 질문입니다.

nis 쪽 클라이언트인데요 클라이언트입장에서 설정하는게 모가 있나요?
ypbind데몬만 돌렸고요 그외 무신 특정하게 설정할게 있나 궁금해서요....
잘몰라서리..흑.......문서들보면 서버쪽인지 클라이언트쪽인지 명확히구
별을 안해서 헤깔려서요...................죄송..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윈도즈상에서 원격지의 컴을 켤수 있는 간단한 툴 좀 알려주세요

tcp/ip 를 통하여 집에서 학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power-on 하고
싶습니다. 마더보드시디에 딸려온 intel landesk manager 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만 자주 문제가 발생하고 사용하지도 않을 필요없는 것들이
많아서요

그외에도 magic_pkt 라는 것도 사용해보았습니다만 lan에 물려있는
컴에만 되고 tcp/ip 를 통해서 되질 않네요

kldp의 "Wake On Lan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를 읽어보았습니다만
링크된걸 다운해 사용해봐도 제가 허접해서 인지 영 신통찮네요.

그냥 윈도즈상에서 magic_packet 을 날려서 원격지의 컴을 부팅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