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dadada6245의 이미지

이클립스를 이용하여 C 언어를 이용한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undefined reference 에러가 나아요

소켓 프로그래밍 클라인언트 부분의 코드인데요.

컴파일 에러 : 참조 에러가 발생합니다.

Visual studio 에서는 에러가 안나고 잘되는 코드인데요

이클립스에서 C환경 구성하고 코드를 복사하여 실행하는데 참조 에러가 발생합니다.ㅠ

헤더 파일 없어서 그럴거라 생각되는데 맞는걸까요?

만약 그러면 헤더파일은 어떻게 구하죠?ㅠㅠ

visual studio에서 가져오면 되는건가..

ngj28의 이미지

vsftpd 에서 디렉토리를 바꾸는 방법

지금 제가 CentOS 6.3을 사용중입니다.

vsftpd 로컬유저와 가상유저를 전부다 사용하고 있는데

로컬유저의 디렉토리와 가상유저의 디렉토리를 다르게 쓰고 싶은데

vsftpd.conf 에서 local root 를 사용해버리면 가상유저든 로컬유저든 똑같은 곳에 사용됩니다.

이거좀 서로 틀리게 사용할수있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많은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pci486의 이미지

DNS 로드 밸런싱 하기

오늘도 불철주야 개%% 같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시느라 고생하시는 시스템 관리자 분들을 존경합니다.

로드 밸런싱에 관하여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이번에 회사에서 구축할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드 밸런싱 ]

| |
[DNS] [DNS]

제대로 표시가 되는지 모르겠네요..

2차 네임서버는 쓰지 않을겁니다. 두개다 마스터 입니다.
둘다 1차 네임서버로 로드밸런싱으로 묶을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설정을 해주어야되나요

이전에 어렴풋이 기억나는건 웹서버 로드 밸런싱 걸때는 로드밸런스 서버에도 아파치를 깔아서 80포트를 오픈 해준걸로 기억나는데..
만약 맞다면 저 경우도 로드 밸런싱 서버에 DNS 데몬을 올려줘야되는것인지요..

참고할수 있는 문서나 방법등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ji0223의 이미지

d

ngj28의 이미지

CentOS 6.3 vsftpd 사용하는데 가상유저와 기존에 있는 로컬계정까지 같이 쓸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ftp 설정하려는데 가상유저는 쉽게 세팅이 되었으나...

로컬계정은 같이 접속이 되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로컬계정으로 세팅바꾸면 가상유저로 접속이 되지않고..

둘 동시에 할수있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pure-ftpd 는 동시에 가능해서

vsftpd도 가능하다고는 들었는데 방법을 못찾겠네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entos 6.3 을 사용중입니다.

pci486의 이미지

KVM에 대하여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오늘도 불철주야 스크립트 삽입 공격으로 인하여 몸살을 앓고 계신 시스템 관리자분들을 존경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KVM 관련으로 자료를 찾아보다가 한가지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이런저런 자료를 정리해보자면
가상화 작업을할때 실제적인 물리 랜카드에는 ip를 할당하지 말고 브릿지로 사용할 렌카드를 만드러서 그곳에 물리 ip를 연결해라..
라고 느껴지더군요..( 잘못 이해한거였으면 수정 바랍니다..)

그럼 상식적으로 1서버에 4대의 가상서버가 돌아간다고 했을때
4대 전부 외부에서 아이피로 접근을 할수 있게 할려면 실제적으로 물리 ip 가 4개가 필요한것이 되는건가요.

1개의 아이피로 어떻게 할수 없을까 하다가..
그냥 뻘 생각으로 가상화 서버 상위에 사설 아이피를 지정해 줄수 있는 장비를 놓구( 편하게 공유기 라고 하겠습니다. )
그 장비에서 각 가상머신으로 사설아이피를 지정한후 공유기에서 물고 있는 ip + 포트로 접근했을때 사설아이피로 보내버리는 방법이 잠깐 번뜩였다만..
이 안에 대해선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여쭈어 보고싶네요.

bumworld의 이미지

centos 5.9에서 apache 2.4.6을 컴파일해서 설치 했습니다. 그런데 계속해서 Forbidden이 발생 합니다.

centos 5.9에서 apache 2.4.6을 컴파일해서 설치 했습니다.

apache : /usr/local/apache2.4.6
home : /home/bumworld/webapps/site1

httpd.conf에서 vhost 설정을 주석 풀어 줬구요.

httpd-vhosts.conf 파일은 아래와 같이 설정 했습니다.

/home/bumworld/webapps/site1 디렉토리는 chmod -R 777 /home/bumworld/webapps 로 설정해서 모든 권한은 다 오픈했구요.

그런데도 계속해서 Forbidden이 발생하는 이유가 뭘까요...ㅠ.ㅠ

도움 부탁드립니다.

arrest05의 이미지

Linux 패키지 업데이트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Linux 패키지 업데이트에 관한 질문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Linux OS는 OpenSus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OpenSuse의 경우에는 Yast를 사용하면 연관된 의존성까지 설치를 해주게 되는데..

저희 회사에서 쓰는 장비들이 Network를 막아놔서 Yast를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업무관련 보고에서 Network를 사용하게끔 해달라고 요청을 했는데요
(하나씩 다운받아서 설치하고 싶지만.. os버전이 9.2로 너무 오래되어서 해당 rpm을 찾을 수가 없네요.. ㅠ 의존성때문에 모두 다운받는것도 힘들기도 하구요..)

그러면 해당사이트의 ip와 port를 알려주면 일시적으로 뚫어주겠다고만 하네요..

Yast가 Download.OpenSuse.org로 연결해서 다운받는거 같긴한데....

pci486의 이미지

스트리밍 서버 구축을해서 서비스를 한다는데..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일단 포멧방식은 mp4 가 될거 같습니다.
리눅스에 저 포멧을 ie브라우져, 안드로이드, iso 에서 같이 사용 가능한 패키지가 존재하나요..

그냥 업체에서 제공해주는 윈도우 서버 임대해서 쓰면될거 같은데..
비싸다고 구축할려고 한답니다.

근데 문제는 전용서버가 아니라...
클라우드에서 구축하랍니다..

클라우드에서 미디어 서버 구축해서 실제 서비스 돌리는 경우가 있나요?;;;
거기다가 파일 1개당 용량이 8기가라덩데...
무슨 블루레이 디스크를 통채로 올리는것같은 느낌이...

아무튼 고수분들의 친절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k1d0bus3의 이미지

cluster(block) size와 파일시스템 성능의 상관관계

ext2/3/4, fat16/32, ntfs 의 파일시스템들은

512~수메가의 클러스터 사이즈를 가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장장치의 용량은 상관없이, 오직 고성능(read/write 속도)을 원한다면

파일시스템이 지원하는 최대사이즈의 클러스터를 선택하는게 현명한가요?

아님 고려해야 할 다른 변수들이 있습니까?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