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tweedledum의 이미지

.

tweedledum의 이미지

.

yellowstone의 이미지

리눅스 커맨드 라인에서 나오는 확장, 매개변수등 이게 무슨 뜻인지 아시는 분?

리눅스 배우고 있는 입문자에 가까운 사람입니다.
제가 리눅스 커맨드 라인 완벽 입문서를 갖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echo 명령어 부분에서
확장, 변수, 매개변수등이 언급 되는데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책에서는 확장의 정의를 얘기 하고 있는데
"* 기호처럼 쉘에 여러 의미를 주는 경우, 단순히 연속된 문자열로 처리되는 것과 같은 몇 가지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확장이라고 하는데, 이 기능으로 인해 무엇이든 입력하면 쉘이 그것을 처리하기 전에 다른 무언가로 확장된다."
확장이 무슨 의미(뜻)인지, 저자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그 다음에 경로명 확장, 틸드(~) 확장 왜 자꾸 확장이란 말을 붙이는지....

리눅스 커맨드에 변수라는 의미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그 용어 인가요?
매개변수는 무슨 뜻인지.
리눅스 커맨드 라인 정말 어렵습니다...

tjdwo1289의 이미지

서버컴퓨터에 os설치시 설치가 안되는현상때문에 질문드립니다.

이번에 제가 서버컴퓨터에 os를설치해서 사용해보라고 한대를 받앗는데 모델명이 HP ProLiant Gen8 입니다.
근데 부팅을해서 리눅스를 설치를했는데 설치후에 리붓을하게되면 OS가 안깔린상태처럼 계속부팅이됩니다. 그래서 다시 cd를 넣어보면 또 다시 인스톨 하라고뜨고 ...
혹시 다른설정같은걸 바꿔줘야하는게 있나요 ? 아 그리고 os설치하기전에 잠깐뜨는 말중에 vmlinuz 라는 말이뜨는걸 봣는데 vm이면 가상머신이라고 생각되는데 그럼
계속 가상머신에다가 깔기때문에 리부팅할때마다 os가 안잡히는건가요 ? 만약 그렇다면 어디에서 설정을 바꿔줘야하나요 ?

junteken의 이미지

우분투 터치 사용중 sleep에 안들어가게 하는 방법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저전력 웹서버를 꾸며 볼려고 집에 사용하지 않는 갤럭시넥서스에 우분투터치를 깔고

APM설치를 완료 하였습니다.

한가지 문제가 있는데 폰에 전원을 켜고 바로 외부에서 접속하면 접속이 되는데

시간이 조금 지난후 접속하면 접속이 되지 않네요.

아마 폰전용으로 나와서 SLEEP모드로 들어가 있기 때문인거 같은데요

이거 안들어가게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vega4792의 이미지

우분투12.04. 한글언어팩 -> 영문언어팩으로 바꾸는 방법?

지금 현재 우분투 12.04LTS - server 버전을 설치하였습니다. (데스크탑 아님)

설치시 한글로 선택하여 설치하였는데...

언어를 영문으로 바꿀 수 있나요?

kardi07의 이미지

centos에서 톰캣 실행할시 계정권한에 따라 JRE_HOME을 못잡는 문제...

/etc/profile 에
환경변수 JAVA_HOME을 /usr/local/java 로 잘 잡아 두었습니다.
root계정으로 톰캣 실행할땐 JRE_HOME 이 환경변수에 잡혀있는 JAVA_HOME으로 잘 잡힙니다.

그런데...
root 계정말로 따로 관리자 계정a를 쓰기위해 다른 계정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sudo 권한은 wheel 그룹에 속한 계정이 사용할 수 있게 sudoers 편집했구요
관리자계정a는 wheel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그런데 관리자계정a로 톰캣을 실행시키면 JRE_HOME 이 /usr 만 나오고 끝납니다.

이게 무슨 현상일까요 ㅠㅠ

jekyll의 이미지

linux 싱글모드 질문드리겠습니다.

시스템이 행에 걸려 접속이 불가한 상황입니다.
행의 원인을 분석하고 싶지만 접속이 되지 않아
싱글모드에서 트러블슈팅을 해야 할 상황입니다.

1. 싱글모드에서 thread dump가 떠지는지 떠진다면 시스템 행에 걸린 원인을 찾을 수 있는지?

2. 싱글모드가 아니라 접속이 되지 않지만 다른 방법으로 시스템의 행 원인을 분석 할 수 있는지?

3. 싱글모드에서 strace 사용이 가능한지?

등등 궁금하네요
초보라서 많이 부족합니다
혹시 아시는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아참 OS재설치 및 싱글모드에서 rescue 등등은 불가합니다.
원인파악이 주요포인트 입니다.ㅠ

fat81의 이미지

PPPOE 테스트 환경 구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PPPOE 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 환경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PPPOE 서버와 클라이언트 즉 PC 2대, 그리고 서로 간에 랜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맞나요?

ADSL 을 지원하는 ISP 에 가입되어있지 않아도, ADSL 모뎀이 없어도 확인이 가능한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arrest05의 이미지

수세 리눅스 RPM UPDATE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세리눅스를 사용하는 장비를 다루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수세리눅스를 다뤄보기위해 OPNE SUSE 13.3 의 최신버전을 사용해봤었는데

YAST를 통한 rpm업데이트등 참 편리하더군요...

근대 막상 장비를 다루기 위하 os 버전을 확인하니 suse 9.2 pro... 아주 오래전에 나온 os버전이라 libstd도 5.0이고.. 패키지들 버전이 너무 옛날꺼라

새로이 업데이트 시켜주기 위해 YAST를 실행시켰는데 13.3 처럼 온라인에서 목록을 확인하여 표시가 안되더군요... 계속 CD넣으라는 소리만 뜨고... 이거 어떻게 해야하나요

9.2 버전도 최신의 수세버전처럼 YAST를 실행시켜 간단히 패키지 업데이트가 가능한가요? 안된다면.. 어떻게 업데이트해야하는지좀 알려주셨으면 감사합니다. 꾸벅 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