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rankenmk2의 이미지

CentOS 서버 종료시 로그를 원격지 서버로 복사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AWS 서비스를 이용중인데 비용절감을 위해 심야에는 서비스 서버중 일부를 종료할 예정입니다.

해당 적업을 하면서 문제가 웹로그를 수집하기위해 서버가 종료되기전 원격지로 로그를 전송해야 하는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etc/rc.d/rc0.d 디렉토리 안에 scp로 로그를 보내는 스크립트를 만들어도 영 동작을 하질 않네요.

네트워크가 끊어져서 못보내나 싶어 제일 앞에 echo `date` >> /tmp/log 로 날짜를 찍게 해도 안 찍히는 걸로 봐선

아예 스크립트 자체가 실행되지 않는거 같습니다.
( /etc/rc.d/init.d/script 로 스크립트를 만들고 /etc/rc.d/rc0.d 안에 S99script 라는 이름으로 심볼릭 링크를 걸었습니다.)

rc0.d 디렉토리에 스크립트를 넣고 따로 해줘야 하는 작업이 있을까요?

또는 서버 종료시 스크립트가 자동실행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leolo의 이미지

apache에서 DocumentRoot 디렉토리 변경 방법.

제가 질문 드리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http://10.0.2.32/49test.jsp 와 같이 특정 파일에 대해서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경우,
서버의 특정 디렉토리가 DocumentRoot 가 되도록 하는 방식을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http://10.0.2.32/49test.jsp 로 클라이언트가 접근할 경우
DocumentRoot "/home/test/www/testweb/49" 가 되고,

나머지 URL 접근시에는
DocumentRoot "/home/test/www/testweb" 되도록 하는 설정을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

astzlra955의 이미지

Vim에서 Ctag를 사용할 때, Ctrl + ] 단축키 동작을 :tselect 로 변경할 수 있을 까요?


이전에 우분투에서 Ctag를 설치하고 사용할 때에는

Ctrl + ] 단축키로 함수의 선언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같은 이름을 갖는 함수 list 가 출력되고, 선택해서 원하는 함수 선언부로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Fedora 서버에 Ctag를 설치하고 사용하려고 하고 있는데,

Ctrl + ] 단축키를 누르면, 아무리 함수 선언이 여러개 있어도

함수 list가 출력되지 않고, 한 곳으로만 이동하는군요.

이게 맞는 함수 선언이면 좋겠는데, 전혀 관계없이 이름만 같은 함수로 이동하니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tselect

매번 명령어에 함수 이름을 입력해서 이동하려니 불편하군요..

- 결론적으로
Ctrl + ] 단축키를 통해서 :tselect 명령어와 같이 함수 list가 출력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kaoryang의 이미지

쿠분투 설치하고 이틀 지나서 업데이트 받았는데??!!

컴파일이 다 먹통입니다.
GCC, G++, Java, 개발환경이 다 먹통이 되버렸다는...

국내 사이트는 글자들이 양쪽에서 압착해 놓듯이 겹쳐서 알아보도 못하는 상황이고,..

다시 갈아엎을라니 막막하네요.

sjp6107의 이미지

dhclient: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crypto1.0.0 : 어쩌고 이게 뜨네요 계속 ifup ifdown 해서 인터넷 연결하려하는데...

git깔려고하다가

처음에 openssl0.9.8 버전이 없다고 떠서

0.9.8 버전을 깔았습니다.

그리고 libcrypto 어쩌고 뜨길래 폴더 확인해 봤더니

libcrypto0.9.8과 libcrypto1.0.0 버전 둘다 있어서

libcrypto1.0.0 버전을 지웠거든요

그다음부터 이렇게 되네요..

path를 설정해줘야하는건지

1.0.0 새로 깔아도 계속 뜨네요 ㅠ 어떻게 하죠?

bonhyuk2의 이미지

VirtualBox 설치후 휴지통을 우클릭 하면 로그아웃 됩니다..

Ubuntu 12.04 64Bit 를 사용중인데
VirtualBox 설치 후 작업중에 갑작스럽게 로그아웃 되거나
휴지통을 우클릭 하면 무조건 로그아웃 됩니다 ㅠㅠ

로그아웃 직전에 메시지가 다음과 같이 뜹니다.
==========================================================
could not write bytes: Broken pipe
* Starting crash report submission daemon
saned disabled: edit /etc/default/saned
* Starting CUPS printing spooler/server
* Starting anac(h)ronistic cron
* Stopping anac(h)ronistic cron
* Checking battery state...

ljh30633의 이미지

Source Insight Context 윈도우 창 속도가 갑자기 느려 졌어요...

몇년 전에도 이런적이 있었는데

소스 파일 내에 변수 원형이 어디 선언 되어 있는지 찾을 때

커서가 해당 위치에만 있어도 Context window창에 바로 나타나잖아요?

근데 갑자기 오늘 부터 Context weindow창 변수 뜨는데 5~10초 걸리네요 답답하게/!!!!!!!!!!!!!!!

Source insight 지우고 다시 깔고

프로젝트 리빌드 , Synchronize file, rebuild 재부팅..............으어

했는데 안되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혹시 이런적 있으신 분 도움좀 으.........

stground의 이미지

linux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mount 시 에러.

안녕하세요

리눅스 초보중에 초보입니다.

지금 리눅스는 CentOS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다른서버의 윈도우 공유폴더를 mount 하고 싶은데요.

mount -t vfat -o username=user,password=password //xxx.xxx.xxx.xxx/sss_aaa /data2/aaa

라고 넣으면

mount: special device //xxx.xxx.xxx.xxx/sss_aaa does not exist 라고 뜨고

mount -t cifs -o username=user,password=password //xxx.xxx.xxx.xxx/sss_aaa /data2/aaa

라고 넣으면

mount error(112): Host is down
Refer to the mount.cifs(8) manual page (e.g. man mount.cifs)

위와같이 뜹니다.

해결방법을 아무리 찾아봐도 모르겠네요.. 도와주세요 ㅠㅠ

mijong321의 이미지

라즈베리 사용 초보자입니다. sd카드 shell에서 꼭 포멧시키고 싶습니다. 잘안되서 질문드려요 ㅠㅠ

초보라 답답해도 이해 부탁 드립니다. ^^;;;;;
라즈베리파이 sd 카드 포멧을 툴이아니라 shell 에서 해보고 싶은데
sudo fdisk -l
이거 하니까 sd카드가 안잡혀서
df -h
하니까 여러개
mijong-ui-MacBook-Pro:raspberry mijong$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iused ifree %iused Mounted on
/dev/disk0s2 233Gi 34Gi 199Gi 15% 8893562 52175878 15% /
devfs 191Ki 191Ki 0Bi 100% 660 0 100% /dev
map -hosts 0Bi 0Bi 0Bi 100% 0 0 100% /net
map auto_home 0Bi 0Bi 0Bi 100% 0 0 100% /home
/dev/disk1s2 260Mi 258Mi 2.0Mi 100% 65969 506 99% /Volumes/PyCharm

gurumong의 이미지

Group에 대해서...

/etc/passwd의 사용자 계정에 설정된 gruop를 기본 그룹이라고 한다고 들었습니다
웹서칭을 해보니 사용자가 로그인 작업을 수행시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소속 그룹으로 설정된다고 되어있는데

그렇다면 /etc/group에 설정된 그룹은 로그인해도 해당 그룹으로 설정이 안된다는 말일까요!?
왜 이렇게 사용자가 속해있는 그룹에 대한 설정 파일이 두가지나 되는지에 대해서 의문입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