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parkcy0113의 이미지

새로운 커널을 추가했는데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우분투 12.04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널을 공부해볼 목적으로 3.2버전의 커널을 받아서 추가로 설치하였구요
grub에 정상적으로 등록도 되었습니다.

문제는 grub화면에서 등록된 커널로 부팅하면 아무런 에러메세지 없이 보라색 화면이 가득하게 나오고 키가 먹통이 됩니다.
ctrl + alt + f1~ 쭉 눌러보고 아무키나 막 눌러봐도 아무런 반응이 없습니다.
하지만 복구모드로 진입하여 아무런 설정없이 바로 노말모드로 부팅을 다시하면 성공적으로 부팅이 됩니다.

버전도 바꿔보고 커널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하기만 6번째인데 마찬가지 입니다.
어느 부분에서 잘못되어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가요?

제가 초기에 우분투에서 gdm을 잘못 건드리는바람에 부팅시 텍스트모드로 들어가서 lightdm을 직접 켜줘야 x환경으로 넘어갈 수 있었습니다.
그것이 문제가 되는건가요? 부팅모드는 text모드입니다.

실력이 미천한지라 새벽까지 밤을새도 원인을 찾지 못하겠습니다.ㅜㅜ
어느 부분을 손봐야 할지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nice7285의 이미지

아파치 서버에 접속시 http 404 에러가 뜹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안녕하세요.

아파치 서버를 설치해서 다른 컴에서 접속을 하는데 http 404에러가 발생해서 어떻게 조치를 해야할지 여쭤봅니다. ㅠㅠ

증상은 아래와 같아요.

shine1054의 이미지

리눅스 넷트웍 질문 드립니다.

네트웍 설정 질문 드립니다.

현재 리눅스 컴퓨터에 2개의 랜카드가 있습니다.

1번 랜카드는 공용 허브에 물려 있습니다 공용 허브에는 윈도우 pc1과 리눅스 pc가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 컴퓨터의 2번 랜카드에는 윈도우 PC2번이랑 다이렉트로 랜끼리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연결 상태에서 허브에 연결된 윈도우 PC1번에서 리눅스 컴퓨터에 다이렉트로 연결된 윈도우 PC2번으로 데이터를 날리거나 핑 확인이 가능하가요 ?

연결 도 그림 첨부 하였습니다.

dltkddyd의 이미지

USB 메모리에 OS 설치하기 문제

16기가바이트 usb 메모리에 fedora14를 설치하던 중에 에러가 뜹니다. 제품은 sandisk고요. 예전에는 동일한 제품으로 설치가 제대로 됐는데 이번에는 설치 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 창이 뜹니다.

There is an error installing the live image to your hard drive. This could be due to your media. Please verify your installation media.

usb 메모리에 문제가 있다는 건데. 이 문제가 OS인 리눅스의 문제인가요, usb의 문제인가요? 이 지금 교환받은 다른 제품이 바로 sandisk인데 이런 문제가 생깁니다. 참 난감한데요. 교환해주던 직원도 좀 거짓말 보테면서 교환해주지 않으려고 변호하는 모습 보면서 좀 짜증이 나기도 하고요. 그래도 OS의 문제가 아닌 것이 확실하다면 확실하게 주장해서 양보를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는데요. 요즘 usb 좀 허접한 제품들이 많네요.

pci486의 이미지

고수님~~ 서버에 로드 에버리지가 139까지 치솟습니다..

서버에 로드 에버리지가 139까지 치솟다가
다시 떨어지곤 합니다.

지금 돌아가는 데몬이라곤 httpd, postfix 이놈인데
잠깐 저렇게 올라갔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곤 합니다.

혹시나 메일쪽 문제인가 싶어서 큐쪽도 살펴 보았지만 거긴 깨끝했습니다.

저거 어디서 부터 점검을 해나가야 잡을수 있을가요...

HacktivistSH9903의 이미지

리눅스 버전 마다 명령어 질문이요

제가 리눅스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혹시 우분투,데비안 등등 리눅스 마다 명령어가 다른가요 전 우분투 중심으로 공부할 예정이여서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hoochoona의 이미지

cache 지원할 물리 디바이스들을 lvm으로 묶어서 ssd로 cache지원하려는데요...

상황이 지금 해야되는 상황인지라...

SSD Caching Using dm-cache Tutorial

를 보면서 하고있었는데요.
제가 못하는건지~
하나의 물리장치로만 cache가 되더라구요. lvm으로 여러 물리 디바이스를 묶어서는 안되구요.
혹, 다른 방법이 있다면 고수님들의 조언 듣고싶습니다.

몇주 째 찾고는 있는데 시야가 좁은지 보이질 않네요... ㅜㅡㅜ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kbj4567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디버거 kgdb사용해보신분?

연결이 잘안되서 질문 올립니다..

qemu로 구성한 가상머신 환경에서는 gdb와 연결이 잘 되고 제어가 잘 넘어옵니다.

그런데, 문제가

host: PC ubuntu 12.04

guest: PC ubuntu 12.04

이렇게 구성하고 시리얼포트로 연결한상황입니다.

grub.cfg 에서 kgdbwait을 넣어주고 브레이크포인트에 잘 멈추며 연결까지는 문제없이 됩니다.

그런데 continue하여 shell까지 부팅이 된 상태에서

echo g > /proc/sysrq-trigger

이렇게 입력하면 커널만 블록되고 제어가 gdb로 넘어오지 않습니다.

특정 systemcall에 브레이크포인트를 잡아놓고 실행되게 하여도 똑같이 블럭되고 제어는 넘어오지않습니다.

이런 경우 경험해보신 분 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nomail의 이미지

[완료] GnuPG에서 공개키에 대해 sign-key, trust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GnuPG 사용 중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질문 좀 드립니다.
다른 사람의 공개키를 import했을 때 신뢰하는 의미로 trust를 해주는데요.
그런데 import 작업 후,
edit-key 메뉴에서 trust하는 것이랑 --sign-key로 서명하는 거랑 어떤 차이점 있는지요?
gnupg 매뉴얼도 읽어보고 여러블로그 글들을 읽어봤지만 명확하게 설명된 내용이 없더라구요.
초보를 위해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__)

tsabes의 이미지

windows에서 armcc 사용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windows에서 armcc 컴파일러로 빌드작업을 하고 있는데

armcc 설치 후 환경변수 등록도 다 되서

cmd 창에서 어느 경로든 armcc 커맨드가 동작을 하는 상태인데요

gmake 구문에서 armcc를 호출하면 정의되지 않는 명령어라는 문구가 나오며

컴파일이 중단되는데

혹시 이런 문제와 비슷한 경험을 갖고계신분은 도움말씀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